$\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복구의 유형과 사전 계획에 대한 이론적 고찰: 미국의 재난복구를 중심으로
What's the Disaster Recovery? Types and Preimpact Plan of Recove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0, 2011년, pp.267 - 273  

이재은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재난 복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재난 복구의 유형화와 사전 복구 계획의 설계에 관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복구는 재난 발생 직후부터 피해 지역이 재난 발생 이전 상태로 회복 될 때까지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이다. 그리고 복구 단계는 비상대책 기간, 복원 기간, 재건 기간, 개발 재건 기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복구 대책 또한 구호와 재활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단기 복구 대책과 재건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장기 복구 대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전 복구 계획을 설계하는 경우, 재난 복구 조직의 명확한 설정과 주요 이해관계자의 확인, 임시 주거지의 위치 선정, 중요한 과업 수행 방식의 사전 결정, 피해자들이 이용당하지 않도록 계약자 허가 부여와 모니터링, 소매가격의 통제, 역사적 유물 유적이 있는 장소에서의 복구 작업 수행 방안, 그리고 복구 기간 동안 재난 피해 완화를 위한 법률 제정의 목표 구현 인식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types of recovery activities and the major contents of preimpact recovery plan through theoretical review. Disaster recovery is to provide immediate support during the early recovery period necessary to return vital life support systems to minimum ope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기반시설은 상ㆍ하수도, 전력, 연료, 정보통신, 그리고 교통ㆍ수송 체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궁극적인 목표는 해당 지역의 삶의 질을 재난 이전과 똑같은 수준으로 되돌리는 것이다.
  • 몇몇 사례에서, 복구 기간은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면한 목표는 지역의 사회기반시설을 복구하는 것이다. 사회기반시설은 상ㆍ하수도, 전력, 연료, 정보통신, 그리고 교통ㆍ수송 체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복구 조치는 삶의 질(quality of life)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물리적 부분을 적어도 재난 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한편, 가능하다면 개선하는데 목표가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 복구의 의의와 활동, 계획 등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 복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재난 복구의 유형화와 사전 복구 계획의 설계에 관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 복구란 무엇인가? 재난 복구(recovery)는 재난이 발생한 직후부터 피해 지역이 재난이 발생하기 이전의 원상태로 회복될 때까지의 장기적인 활동 과정인 동시에, 초기 회복기간으로부터 그 지역이 정상 상태로 돌아올 때까지 지원을 제공하는 지속적인 활동이다. 재난 복구단계의 활동은 피해지역이 원상복구를 하는데 필요한 원조 및 지원활동으로 전형적인 배분정책의 영역에 속하는 활동으로 볼 수 있다[1].
단기적인 복구활동으로는 어떠한 것이 주요 활동으로 전개되는가? 단기적인 복구활동으로는 우선, 단기 복구계획의 수립, 주요 피해상황의 조사 및 평가, 잔해물의 제거, 임시 수용시설의 마련, 작업 등에 의한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상담조사 프로그램의 시행 등이 주요 활동으로 전개 된다. 장기적인 복구활동으로는 장기 복구계획의 수립, 재정지원의 확보, 생활편의 시설의 재건, 지역사회 사업 분야의 재건, 재난관리 법령의 정비, 지역사회의 경제 재건 및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발․시행, 재난대응 능력의 보강 등을 하게 된다.
Rubin이 제시하는 효과적인 복구 전략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여기서 그는 복구에 필수적인 주요 요소로 개인적 리더십, 활동 능력, 활동 내용에 대한 지식을 예시하면서, 효과적인 복구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10]. 첫째, 해당 지방정부가 지니고 있는 자원들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주정부 와 연방정부의 재정적 및 기타 자원의 지원 확보 방안에 대해 친숙해야 한다. 둘째, 공공관리자들은 해당 지역의 희생자와 그 가족들뿐만 아니라 재난관리 활동가들과 자원봉사자들의 복구활동을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 J. Petak,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5(Special Issue, Jan.), pp.3-7, 1985. 

  2. 박동균, 박창근, 송철호, 오재호,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3. D. McLoughlin,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5(Special Issue, Jan.), pp.165-172, 1985. 

  4. 유현정, 이재은, 노진철, 김겸훈, 재난을 바라보는 다섯가지 시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D. M. Hartsough, "Stress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in Three Major Disasters," Disaster Work and Mental Health: Prevention and Control of Stress among Workers, (M.D.: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Vol.13, p.8, 1985. 

  6. 이재은, 재난관리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6. 

  7. W. L. Waugh, "Regionalizing Emergency Management: Counties as State and Loc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54, No.3, pp.253-258, 1994. 

  8. R. W. Perry,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Evacuating Threatened Populations, CT: JAI Press, Inc., 1985. 

  9. A. K. Settle, "Financing Disaster Mitiga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5(Special Issue, Jan.), pp.101-106, 1985. 

  10. C. B. Rubin, "Recovery from Disaster," Thomas E. Drabek, and Gerard J. Hoetmer. eds.,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1991. 

  11. P. J. May, Recovering from Catastrophes: Federal Disaster Relief Policy and Politics, CT: Greenwood Press, 1985. 

  12. R. Sylves, Disaster Policy and Politics: Emergency Management and Homeland Security, Washington, D.C.: CQ Press, 2008. 

  13. 문현철, "국가재난관리체제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법적 고찰", 한국위기관리논집, 제4권, 제1호, pp.84-104, 2008. 

  14. J. E. Haas, R. W. Kates, and M. J. Bowden, Reconstruction Following Disaster,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977. 

  15. L. G. Canton, Emergency Management: Concepts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Programs, N.J.: John Wiley and Sons, Inc., 2007. 

  16. G. D. Haddow, Jane A. Bullock, and Damon P. Coppola.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3rd. ed. New York: Elsevier Inc., 2008. 

  17. 이재은, "재난관리에서의 민.관.군 협력체계 구축 방안: Jennings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3권, 제1호, pp.62-74, 2007. 

  18. M. K. Lindell, Carla Prater, and Ronald W. Perry,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N.J.: John Wiley and Sons, Inc., 2007. 

  19. B. D. Phillips and David M. Neal. Recovery. William L. Waugh, Jr. and Kathleen Tierney,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2nd ed., Washington, D.C.: ICMA Press, 2007. 

  20. 조종묵, 류상일, 이재은, "재난관리기관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1호, pp.107-12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