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병초 자생지의 환경생태학적 특성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of Natural Growth Region in Rhododendron Brachycarpum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10, 2011년, pp.1319 - 1328  

이병철 (아침고요수목원) ,  심이성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환경원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ododendron brachycarpum is a evergreen broad-leaved shrub and belongs to the Ericaceae family and the Rhododendron genus. It is well known for its beautiful leaves and flowers. There are 11 species of the Rhododendron genus in Korea. It includes 3 species - Rhododendron brachycarpum, Rhododendr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서식지 개체 수목의 수령 측정은 만병초의 한 해에 한 마디씩 분얼되는 생장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 개화율 조사는 육안 조사로 하여 각 방형구에 화아유도가 일어난 꽃 봉우리의 유무로 측정하였고 화아유도가 일어나기 전의 조사지점은 종자의 유무로 조사하였다. 개화주와 결실주가 많은 지역은 만병초 자생지의 보존과 유지 및 증식에 가장 좋은 서식지가 되리라 사료된다.
  • 따라서 각 서식지의 현황을 조사하여 각 방형구당 사람에 의한 훼손유무를 확인 하였고, 또 육안으로 식별 할 수 있는 병·해충의 피해도 조사하여 각 서식지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서 피해요인을 모니터링 하였다.
  • 서식지 위협 요소 분석은 각 방형구의 주된 큰 위협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서식지의 생태환경으로 인한 상층 교목의 현황과 그로 인한 영향평가와 주변 관목과의 경합으로 발생하는 피압 정도를 파악하였다. 만병초 자생지가 대부분 국립공원이나 산림 보존구역 안에 있어 비교적 훼손이 덜 되었지만 관람탐방로나 등산로 인근에 서식지가 있는 곳도 있어 도로 개설로 인한 물리적 영향도 조사하였다. 만병초는 예로부터 귀중한 약용수종으로 인식되어 민간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쓰여서 오랜 기간 무분별한 산채에 의한 지속적인 피해가 있어왔다.
  • 만병초의 자생지 환경조사와 생태조사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여 서식지를 최대한 보존하고, 불가피한 경우 서식환경을 대체하여 조성, 복원 또는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강구 하고자 만병초의 집단서식지 9개지역 18곳의 방형구를 탐사하였다. 그 결과 홍(1984)은 만병초의 자생지 분포 고도가 690~1,190 m로 보고한 바 있으나, 본 조사를 통해 밝혀진 자생지 고도는 1,200~1,526 m의 범위로 26년 동안에 약 500 m 정도 식생고도가 올라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자생지의 위치는 모든 조사지에서 방향이 북사면에 위치하고 있었다.
  • 서식지 위협 요소 분석은 각 방형구의 주된 큰 위협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서식지의 생태환경으로 인한 상층 교목의 현황과 그로 인한 영향평가와 주변 관목과의 경합으로 발생하는 피압 정도를 파악하였다. 만병초 자생지가 대부분 국립공원이나 산림 보존구역 안에 있어 비교적 훼손이 덜 되었지만 관람탐방로나 등산로 인근에 서식지가 있는 곳도 있어 도로 개설로 인한 물리적 영향도 조사하였다.
  • 조사대상지와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생육하는 식물종, 식생, 식물군집구조 조사와 군집도가 높은 만병초의 서식환경조사는 방형구내에 분포하는 식생형에 대해서는 먼저 상관적으로 식물군락의 유형을 파악하였고, 출현하는 모든 수종에 대해 수고와 흉고직경을 통한 매목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고 6 m 이상을 상층, 2 m 이하를 하층, 그 사이를 중층으로 구분하였다. 조사지점의 흉고직경 결정은 지표면에서 1.
  • 2 m정도에서 측정하고, 2cm 간격으로 기입하며, 수고는 1 m 간격으로 기입한다. 식물군락에 있어 엽군의 수직적인 배열 상태인 군락의 계층구조를 본 조사에서는 교목층(8.0 m 이상), 아교목층(2.0~8.0 m), 관목층(0.8~2.0 m), 초본층(0.1~0.8) 및 이끼층(0.1 m이하)의 5개 층으로 구분하여 조사 하였다(Monk, 1969). 조사구안의 환경요인과 수관 층위별 출현수종의 우점도는 단위공간의 식물군집을 외관상 지배하고 있는 우점종을 조사하여 각 층별 식피율 및 수고 조사를 하고 군락의 계층 구조별 식피율, 지표면에 식물체가 덮히는 비율 등에 관한 대표적인 군락의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 1 m이하)의 5개 층으로 구분하여 조사 하였다(Monk, 1969). 조사구안의 환경요인과 수관 층위별 출현수종의 우점도는 단위공간의 식물군집을 외관상 지배하고 있는 우점종을 조사하여 각 층별 식피율 및 수고 조사를 하고 군락의 계층 구조별 식피율, 지표면에 식물체가 덮히는 비율 등에 관한 대표적인 군락의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 조사대상지와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생육하는 식물종, 식생, 식물군집구조 조사와 군집도가 높은 만병초의 서식환경조사는 방형구내에 분포하는 식생형에 대해서는 먼저 상관적으로 식물군락의 유형을 파악하였고, 출현하는 모든 수종에 대해 수고와 흉고직경을 통한 매목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고 6 m 이상을 상층, 2 m 이하를 하층, 그 사이를 중층으로 구분하였다.
  • 지리적 특성은 방위, 고도(GPS V, Garmin), 경사(NEC-6TM/360PC) 등을 측정 하여 각 방형구 마다 기록하여, 전체 평균값과 자생지 별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Table 1).

대상 데이터

  • 자생지 생육환경 조사를 위해 만병초 집단 서식지를 탐사하여 약수산(2개), 계방산(2개), 개인산(2개), 안산(2개), 점봉산(2개), 오대산(2개), 설악산(2개), 함백산(2개), 태백산(2개) 등 총 9개 지역에 10 10 m의 방형구 18개를 설치하고 조사하였다(Fig. 1).
  • 조사 시기는2010년 4월 18일 강원도 홍천의 약수산을 시작으로4월 25일 계방산, 5월 11일 강원도 인제의 개인산, 5월 17일 안산, 5월 25일 점봉산, 강원도 평창의 오대산, 6월 21일 인제의 설악산, 7월 8일 함백산, 7월 9일 태백산 지역 탐사를 시행하였다.
  • 첫 탐사지인 약수산(A)은 조사시기가 4월 중순이지만 주로 북사면에 자생하고 있어서 잔설이 1m 이상 아직 쌓여 있었다. 주목 군락의 하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가 급하고 사람들의 채집으로 인한 잘려진 가지가 많이 관찰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병초는 무엇인가? 만병초는 진달래과(Ericaceae), 진달래속(Rhododendron)에 속하는 상록활엽관목으로 꽃과 잎이 아름다운 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홍, 1984). 진달래과 식물은 1,000여종으로 남북 양반구의 온대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되고 일부는 열대의 고산에도 서식하고 있다(Christopher, 1996).
봄에 잎이 싹트는 시기가 비교적 늦어 늦은 봄에 발생하기 쉬운 서리피해를 막을 수 있는 생리적 특징도 가지는 상록성 식물이 낙엽성 식물보다 고산지대에 적합한 이유는 무엇인가? 상록성 식물은 낙엽성 식물에 비하여 비교적 오랫동안 잎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광합성을 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잎의 효율성이 높고 뿌리나 줄기가 대부분 다년생으로 영양분이나 에너지 이용에 유리하여 생육환경이 열악한 고산지역에서 우점이 가능하다(Taiz와 Zeiger, 2006). 또한 봄에 잎의 싹이 트는 시기가 비교적 늦기 때문에 늦은 봄에 발생하기 쉬운 서리피해를 막을 수 있는 생리적 특징이 있다(Kong 과 Watts, 1993).
상록성 식물이 서리피해에 강한 이유는 어떤 특징 때문인가? 상록성 식물은 낙엽성 식물에 비하여 비교적 오랫동안 잎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광합성을 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잎의 효율성이 높고 뿌리나 줄기가 대부분 다년생으로 영양분이나 에너지 이용에 유리하여 생육환경이 열악한 고산지역에서 우점이 가능하다(Taiz와 Zeiger, 2006). 또한 봄에 잎의 싹이 트는 시기가 비교적 늦기 때문에 늦은 봄에 발생하기 쉬운 서리피해를 막을 수 있는 생리적 특징이 있다(Kong 과 Watts, 1993). 일반적으로 한반도에 서식하는 상록활엽수는 남부도서와 남해안 일대에만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김, 1999), 한랭한 기후조건에 서식이 가능한 형태와 생리생태적 특성을 지닌 일부 상록활엽성 종은 한반도의 고산지대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공,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공우석, 2002,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 37(4), 357-370. 

  2. 국립환경과학원, 2007, 멸종위기 야생식물의 지속적 보전을 위한 방안. 

  3. 김태욱, 1999, 한국의 수목, 교학사, 242. 

  4. 홍혜옥, 1984, 한국산 만병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5. 홍혜옥, 이기의, 유근창, 1984, 한국산 자생 만병초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 25(1), 50-55. 

  6. Christopher, B. K, 1996,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k Rhs Encyclopedias, 868-882. 

  7. Kong, W. S., Watts, D., 1993, The Plant Geography of Korea, 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229. 

  8. Leach, D. C, 1961, Rhododendrons of the world and how to grow them, C. Scribner's Sons, New York, 544. 

  9. Maximowicz, C. J., 1870, Diagnoses breves plantarum Japoniae et Mandshuriae, Bull. Acad. Imp, Sci. St. Petersb, 15, 225-231. 

  10. Monk, C. D., Child G. I., Nicholson, S. A., 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11. Nakai, T., 1917,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XIII., Botanical Magazine, Tokyo, 31,1-66. 

  12. Nilsen, E. T, 1987, Influence of water relations and temperature on leaf movements of Rhododendron species, Plant Physiol, 83, 607-612. 

  13. Nilsen, E. T, 1992, Thermonastic leaf movements: A synthesis of research with Rhododendron, Bot. J. Linn, Soc, 110, 205-233. 

  14. Sean, H. G., 2003, Flora-A Gardener's Encyclopedia, Timber press, 1144-1201. 

  15. Taiz, L. C., Zeiger, E. D., 2006, Plant Physiology, Sinauer Associates, 201-211. 

  16. Vetaas, O. R., 2002, Realized and potential climate niches: a comparison of four Rhododendron tree species, Journal of Biogeography, 29, 545-5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