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항 신뢰구간에서 극단값의 영향
The Influence of Extreme Value in Binomial Confidence Interval 원문보기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v.18 no.5, 2011년, pp.615 - 623  

류제복 (청주대학교 통계학)

초록

이항비율에 대한 구간추정에 다양한 신뢰구간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뢰구간들은 모비율 p가 0이나 1에 근사할 때 포함확률이 신뢰수준(또는 명목수준, 1 - ${\alpha}$)을 크게 벗어난다. 이는 극단적인 관찰값의 영향 때문이다. Vollset (1993), Agresti와 Coull (1998), Newcombe (1998), Brown 등 (2001) 등은 극단값의 조정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극단값들이 이항비율에 대한 신뢰구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6개의 신뢰구간들에 대해서 수치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methods are used in interval estimation for binomial proportion; however the coverage probabilities of most confidence intervals depart from the confidence level when the binomial population proportion closes to 0 or 1 due to the extreme value. Vollset (1993), Agresti and Coull (1998), Newc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표본이 작은 경우 극단값에서의 신뢰구간이 포함확률이나 신뢰구간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되므로 적절한 극단값 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극단값에서의 조정을 하기 전에 이항비율에 대한 신뢰구간에서 표본에 따른 극단값의 영향력이 어는 정도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신뢰구간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포함확률과 신뢰구간에 대한 기대폭이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도 이들 두 가지의 평가기준을 사용해서 극단값이 포함확률과 기대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극단값에서의 영향력을 조정해주기 위해서 Vollset (1993), Agresti와 Coull (1998), Newcombe (1998), Brown 등 (2001), 그리고 류제복 (2010) 등은 이항비율에 대한 구간추정에서 극단값에서의 대체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항비율에 대한 신뢰구간 추정에서 극단값의 영향력을 대표적인 6개의 신뢰구간에 대해서 수치적으로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n과 p가 작은 경우 6개 신뢰구간 모두에서 극단값에 민감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함확률이란? 포함확률(coverage probability)은 주어진 모수값에서의 신뢰구간이 그 모수값을 포함할 확률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Wald신뢰구간의 대안으로, 선형보간법을 사용하는 신뢰구간은? Clopper와 Pearson (1934)은 정규근사이론을 사용하지 않고 선형보간법(interpolation)을 사용해서 이항 비율에 대한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정확신뢰구간이라 한다. 이 신뢰구간은 모든 모수 값에서 포함확률이 명목수준 (1 − α)를 초과해서 보수적인 신뢰구간으로 간주된다.
극단적인 관찰값의 영향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은? 이항비율에 대한 구간추정에 다양한 신뢰구간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뢰구간들은 모비율 p가 0이나 1에 근사할 때 포함확률이 신뢰수준(또는 명목수준, 1 - ${\alpha}$)을 크게 벗어난다. 이는 극단적인 관찰값의 영향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류제복 (2010). Wald 신뢰구간에서 극단값 조정의 효과, , 28, 29-34. 

  2. 류제복, 이승주 (2006). 낮은 이항 비율에 대한 신뢰구간, , 19, 217-230. 

  3. Agresti, A. and Coull, B. A. (1998). Approximate is better than "Exact" for interval estimation of Binomial proportions, The American Statistician, 52, 119-126. 

  4. Blyth, C. R. and Still, H. A. (1983). Binomial confidence interva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8, 108-116. 

  5. Borkowf, C. B. (2006). Constructing binomial confidence intervals with near nominal coverage by adding a single imaginary failure or success, Statistics in Medicine, 25, 3679-3695. 

  6. Brown, L. D., Cai, T. T. and DasGupta, A. (2001). Interval estimation for a binomial proportion (with discussion), Statistical Science, 16, 101-133. 

  7. Brown, L. D., Cai, T. T. and DasGupta, A. (2002). Confidence intervals for a binomial proportion and asymptotic expansions, The Annals of Statistics, 30, 160-201. 

  8. Clopper, C. J. and Pearson, E. S. (1934). The use of confidence or fiducial limits illustrated in the case of the binomial, Biometrika, 26, 403-413. 

  9. Ghosh, B. K.(1979). A comparison of some approximate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Binomial parameter,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 894-900. 

  10. Jovanovic, B. D. and Levy, P. S. (1997). A look at the Rule of three, The American Statistician, 51, 137-139. 

  11. Newcombe, R. G. (1998). Two-sided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single proportion: Comparison of seven methods, Statistics in Medicine, 17, 857-872. 

  12. Schader, M. and Schmid, F. (1990). Charting small sample characteristics of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binomial parameter, Statistical Papers, 31, 251-264. 

  13. Vollset, S. E. (1993). Confidence intervals for a binomial proportion, Statistics in Medicine, 12, 809-824. 

  14. Wilson, E, B. (1927). Probable inference, the law of succession, and statistical inf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2, 209-21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