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성과 자폐성장애는 어떻게 공존하는가? 자폐성장애 영재의 인지메카니즘에 대한 이해
How Does Giftedness Coexist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SD)? Understanding the Cognitive Mechanism of Gifted ASD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3, 2011년, pp.595 - 610  

송광한 (원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중특수아동(twice-exceptional)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역설적이지만 이제는 폭넓게 인식되어 있다. 그 중 한 유형인 자폐성장애 영재는 한 개인에게 자폐성장애와 영재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이다. 영재성을 포함한 다른 인지현상들도 그렇지만 자폐성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 영재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체적인 이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한 인간능력 통합모델을 바탕으로 어떻게 영재성과 자폐성장애가 공존할 수 있으며,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여 자폐성장애 영재의 특성을 생성해내는지를 보여주는 자폐장애성 영재의 인지 메카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그 인지 메카니즘에 따르면 두뇌 인지공간의 과도한 성장은 자폐성장애를 초래하는 인지구조상의 원인으로 인지공간이 지나치게 커지면 단기 기억이 더 강해지고 인지처리가 더 용이해져 두뇌 내 인지활동을 더 많이 하고 잘하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부족한 외부 현실세계 안에서의 사고가 줄어 자폐성장애의 특성을 보이게 된다. 이런 인지구조는 또한 자폐성장애 영재로 하여금 특정분야에서 영재성을 발현시키도록 작용한다. 이 논문은 자폐성장애 영재가 자신의 관심분야에 집착하여 영재성을 발현시키려는 노력을 제한하고, 대신 자신의 영재성을 자폐성장애를 극복하는데 사용하도록 교육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자폐성장애 영재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교육적 접근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과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coexistence of giftedness and disorder in an individual, but the twice-exceptional is widely recognized now. Gifted autistic spectrum disorder is one of its subtypes in which giftedness exis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ASD) simultaneously. Like other construct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델에서는 상호 기능적 관련성에 기초하여 인지구조와 메카니즘, 그리고 구체적인 일반지능(g)의 기능을 제시하여, 일반지능이 어떻게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다양한 분야별 능력이나 지능으로 보이게 되는지, 또 다양한 분야별 지능과 능력들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고, 여러 가지 인지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환경 속에서 영재성, 학습장애, 자폐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인지특성들을 빚어내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이 통합모델에서 제시하는 인지 메카니즘을 통해 영재성과 자폐성장애가 공존하는 자폐성장애 영재의 그 공존 양상과 인지 메카니즘을 제시하는데 있다. 다양한 인지현상이 생성되어 나오는 근원적인 인지구조와 메카니즘을 통해 자폐성장애 영재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이 분야의 이론적 기여뿐만 아니라 자폐성장애를 지닌 영재들의 발굴과 그들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지원방법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영재성을 지닌 자폐성장애 아동들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고(Cash, 1999), 이들에 대한 논의가 영재성 안에서 연구되는 일이 드문(Nicpon, Allmon, Sieck, & Stinson, 2011) 현 시점에서, 영재성과 자폐성 장애 두 가지 인지현상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또한 아직까지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영재성과 자폐성장애에 대한 개념과 자폐성장애 영재의 특성 양상을 살펴본다.
  • 이 논문은 자폐성장애 영재의 인지 메카니즘을 인간능력 통합모델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요약하자면 자폐성장애의 인지구조상의 근본 원인은 두뇌 인지공간(mental spaces)의 과도한 성장에 있으며, 그로인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손, 의사소통의 질적 결손, 그리고 반복적인 행동과 제한된 관심(Hill & Frith, 2003) 등 자폐성장애의 주요 특징을 보이는 한편, 이런 장애를 지닌 영재는 자신의 영재성을 외부와의 상호작용 없이 내부 인지공간에서만 지식을 형성하는데 사용한다는 것이다.
  • 이런 이중특수아동이라는 현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영재성과 장애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치유 방향을 모색하기는 쉽지 않다. 인지현상에 대한 주요 이론인 일반지능이론과 다중지능이론이 견지에서 이런 이중특수아동을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우선 일반지능이론(Carroll, 1993; Spearman, 1927)에서는 지능이 상위의 일반능력(g: general factor)과 하위의 분야별 특수능력(s: specific factor) 두 가지 요소로 이루진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성장애 영재란? 이중특수아동(twice-exceptional)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역설적이지만 이제는 폭넓게 인식되어 있다. 그 중 한 유형인 자폐성장애 영재는 한 개인에게 자폐성장애와 영재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이다. 영재성을 포함한 다른 인지현상들도 그렇지만 자폐성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 영재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체적인 이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자폐성 장애 영재들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은? 이런 점에서 볼 때, 자폐성 장애 영재들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은 다음 두 가지로 제안할 수 있다. 하나는 주의집중을 통제하는 훈련방법이다.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외부상황에 주의집중을 필요로 하는 신체활동이나 작업을 통해 내적 사고의 편향성을 줄어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직접 경험을 통한 외부세계에 대한 기억과 지식의 형성으로 외부세계와의 연결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즉, 외부 감각자극을 받아들여 내부 감각자극과 결합시키고 외부 환경에 대해 적응적 반응을 일으키는 감각적 통합이 발생한다(Ayres, 1979). 강압적인 방법이라 하더라고 주의집중을 통제하여 외부 자극이 정상적으로 내면화되고 자폐성장애의 특성이 매우 호전되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Helt, Kelley, Kinsbourne, Pandey, Boorstein, Herbert, & Fein, 2008). 또 다른 방향은 학습을 통한 훈련으로, 감각 자극들 사이의 관련성을 잘 이해할 수 있는 자폐성장애 영재의 경우 효과적일 수 있다. 예컨데, 시각적 기능이 우월한 자폐성장애 영재에게는 거울을 이용하여 흉내 내기, 비디오 촬영,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ies), 연재 만화 대화(Comic Strip Conversation) 등과 같은 시각적 접근을 통해 사회성훈련을 하였을 때 효과적이며(Klin & Volkmar, 1995; Grandin, 1992), 언어능력이 뛰어난 일부 자폐성장애 영재는 책이나 언어적 설명을 통해 사회성 향상 훈련이나 외부세계의 실용적 지식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습득한 사회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은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직면하게 될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Channon et. al., 2001). 결국 자폐성장애 영재에 있어 그의 영재성은 자신을 장애로부터 탈출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무기가 될 수 있다. 장애는 영재성 때문에 생기는 것(Goschwind, 1982; West, 1991)이 아니라 영재성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이 논문의 결론은 현행 영재성 판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 의하면, 자폐성장애가 영재성으로 보이도록 오인하는 결과물을 산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영재성에 대한 판별에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컨데, 자폐성장애에게 유리한 두뇌 내적 인지활동에 기초하여 산출된 지적 결과물(IQ점수, 학업성취, 창작물)을 통해 영재성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실제 지능 수준이 영재로 불릴 만큼 높지 않을 경우라도, 감각정보의 집착에 의한 결과물의 수준을 보고 영재로 구분될 수 있다. 역으로 실제로 영재수준의 지능을 지니고 있지만 특정 분야의 지적 결과물에 기여하는 감각정보의 집착성이 없어 평범하게 인식되어 영재 판별에서 제외되는 부류의 영재들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의 결과는 교육 전반에 걸쳐 최대의 교수 방법인 책을 통한 학습과 창의적 사고 등 내부 인지활동과 물질문명의 창조에 경쟁적으로 집착하도록 하는 교육과 사회의 방향이 과연 옳은 것인지에 대한 점검을 요구한다. 두뇌 속 세계에서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저장하고 끝없이 새로운 세계의 창조를 장려하는 것이 과연 자신과 인류의 생존 환경에 궁극적으로 이로움을 가져다 줄 수 있는가, 오랜 역사를 통해 지나치게 화려한 물질문명을 꿈꾸며 이루어오고 있는 인간의 물질세계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두뇌 내적 사고가 자폐성장애 증상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에서 벗어나 인간의 마음을 포함한 살아 움직이는 세계 전체를 그대로 보고 그 본질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으로 그 세계와 함께 호흡하면서 사는 사람이 건강한 영재성을 지닌 사람이 아닌가 등의 의심을 해 보게 만든다.
이중특수아동이란 어떤 아동을 말하는 것인가? ‘이중특수아동(twice-exceptional)’이란 용어는 영재성과 인지장애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영재를 가리키는 것으로(Coleman, Harradine, & King, 2005; Nicpon, Allmon, Sieck, & Stinson, 2011) 학습장애 영재(gifted with learning disabilities), 주의력결핍장애 영재(gift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그리고 자폐성장애 영재(gifted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등이 이에 속한다. 영재성과 장애의 두 가지 인지현상이 공존한다는 사실은 역설적으로 보여 이해하기 쉬운 일이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ssouline, S. G., Foley N. M., & Doobay, A. (2009). Profoundly gifted girl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 psychometric case study comparison. Gifted Child Quarterly, 53, 89-105. 

  2. Ayres,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 Baddeley, A. D., & Logie, R. H. (1999). Working memory: The multiple component model. In A. Miyake, & P. Shah (Eds.). Models of working memory: Mechanisms of active maintenance and executive control (pp. 28-6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Baum, S. M., & Owen, S. V. (2004). To be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Strategies for helping bright students with LD, ADHD, and mor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 Brody, L. E., & Mills, C. J. (1997). Gifte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issu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0, 282-296. 

  6. Carroll, J. B. (1993). Human cognitive abilities: A survey of factor-analytic stud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Casanova, M. F., Switala, A. E., Trippe, J., & Fitzgerald, M. (2007). Comparative minicolumnar morphometry of three distinguished scientists. Autism, 11, 557-569. 

  8. Case, R. (1985). Intellectual development: Birth to adulthood. New York: Academic. 

  9. Case, R. (1992). (Ed.). The mind's staircase. Exploring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children's thought and knowledg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0. Case, R., Demetriou, A., Platsidou. M., & Kazi, S. (2001). Integrating concepts and tests of intelligence from the differential and developmental traditions. Intelligence, 29, 307-336. 

  11. Cash, A. B. (1999). A profile of gifted individuals with autism: The twice-exceptional learner. Roeper Review, 22, 22-27. 

  12. Channon, S., Charman, T., Heap, J., Crawford, S., & Rios, P. (2001). Real-life-type problem-solving in Asperger's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1, 461-469. 

  13. Coleman, M. R., Harradine, C., & King, E. W. (2005). Meeting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twice exceptional.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8, 5-6. 

  14. Donnelly, J. A., & Altman, R. (1994). The autistic savant: Recognizing and serving the gifted student with autism. Roeper Review, 16, 252-256. 

  15. Feldhusen, J. E., & Jarwan, F. A. (1993).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youth for educational programs. In K. A. Heller, F. J. Monks, & C. De Wet (Eds.), A kaleidoscope of diverse populations in gifted education: Critical issues in the field. Waco, TX: Prufrock Press. 

  16. Gallagher, S. A., & Gallagher, J. J. (2002). Giftedness and Asperger's syndrome: A new agenda for education. Understanding Our Gifted, 14, 1-9. 

  17.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18. Gathercole, S. E. (1998). The development of memor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9, 3-27. 

  19. Geschwind, N. (1982). Why Orton was right. Annals of Dyslexia, 32, 13-30. 

  20. Gillberb, C., & Coleman, M. (1992). The biology of the autistic syndromes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Gottfredson, L. S. (2002). g: Highly general and highly practical. In R. Sternberg (Ed.), The general factor of intelligence: How general is it? (pp.331-38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 Grandin, T. (1992). An inside view of autism. In E. Schopler & G. B. Mesibov (Eds.), High 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m (pp. 105-128). New York: Plenum Press. 

  23. Grandin, T. (1995). Thinking in picture. New York: Doubleday. 

  24. Happe, F., & Frith, U. (2009). The beautiful otherness of the autistic mind.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64, 1345-1350. 

  25. Helt, M., Kelley, E., Kinsbourne, M., Pandey, J., Boorstein, H., Herbert, M., & Fein, D. (2008). Can children with autism recover? If so, how? Neuropsychol Rev, 18, 339-366. 

  26. Hill, E. L., & Frith, U. (2003). Understanding autism: insights from mind and brai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58, 281-289. 

  27. Huber, D. H. (2007). Clinical presentation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in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28. Jensen, A. R. (1988). The suppressed relationship between IQ and the reaction time slope parameter of the Hick function. Intelligence, 26, 43-52. 

  29. Julie, A., & Reuben, A. (1994). The autistic savant: Recognizing and serving the gifted student with autism. Roeper Review, 16(4), 252-256. 

  30. Kanner, L. (1968). Autistic disturbances of affective contact. Acta Paedopsychiatr, 35(4), 100-136. 

  31. Klein, P. D. (1997). Multiplying the problems of intelligence by eight: A critique of Gardner's theory.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22, 377-394. 

  32. Klin, A., & Volkmar, F. R. (1995). Guidelines for parents: Assessment,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Asperger Syndrome. Pittsburgh, PA: Learning Disabilities Association of America. 

  33. Matthews, D. J. (1993). Domains of development: Linguistic giftedness understood contextually. Exceptionality Education Canada, 3(3), 1-23. 

  34. Meyer, J. A. (2001-2002). Cognitive pattern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sessme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27, 27-35. 

  35. Morgan, H. (1996). An analysis of Gardner's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Roeper Review, 18, 263-269. 

  36.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2008). NAGC position paper: Use of the WISC-IV for gifted identification. Retrieved September 7, 2011, from http://www.nagc.org/uploadedFiles/Information_and_Resources/Position_Papers/WISC-IV.pdf 

  37. Neihart, M. (1999). The impact of gifted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at does the empirical literature say? Roeper Review, 22(1), 10-17. 

  38. Nicpon, M. F., Allmon, A., Sieck, B., & Stinson, R. D. (2011). Empirical investigation of twice-exceptionality: Where have we been and where are we going? Gifted Child Quarterly, 55, 3-17. 

  39. Park, C. (1982). The siege: The first eight years of an autistic child. Boston: Back Bay Books. 

  40.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6. 

  41. Rimland, B,. & Fein, D. (1988). Special talents of autistic savants. In L. K. Obler, & D. Fein (Eds.). The Exceptional Brain (pp. 155-169). New York: Plenum Press. 

  42. Rimland, B., & Hill, A. L. (1983). Idiot savant. In J. Wortis (Eds.),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pp.155-169). New York: Plenum Press. 

  43. Song, K. H. (2009). Understanding giftedness through general and domain-specific aspects of intellig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44. Song, K. H. (2010). Understanding autism in a cognitive mechanism: Why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autism appear. 한국특수교육학회, 45(2), 115-130. 

  45. Song, K. H., & Porath, M. (2005). Common and domain-specific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 integrated model of human abilities. High Ability Studies, 16, 229-246. 

  46. Spearman, C. (1927). The abilities of man. London: MacMillan. 

  47. Sternberg, R. (1988).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Sullivan, R. (1992). Rain Man and Joseph. In E. Schopler, & G. Mesibov (Eds.), High-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m (pp. 243-250). New York: Avon. 

  49. Terman, L. M. (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4. The gifted child grows 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0. Treffert, D. A. (1988). The idiot savant: A review of the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5, 563-572. 

  51. Weinfeld, R., Barnes-Robinson, L., Jeweler, S., & Shevitz, B. (2002). Academic programs for gifted and talented/learning disabled students. Roeper Review, 24, 226-233. 

  52. West, T. G. (1991). In the mind's eye: Visual thinkers, gifted people with learning difficulties, computer images, and the ironies of creativity. Buffalo, NY: Prometheus Books. 

  53. Winner, E. (1996). Gifted children. New 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