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농도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에서 식물성장에 미치는 부식산의 영향
Effects of Humic Acids on Growth of Herbaceous Plants in Soil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6 no.1, 2011년, pp.51 - 61  

김기섭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성기준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rmination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actical concentration levels at which plants can reproduce naturally during the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and heavy metals. The effects of humic acids on plant growth and soil physi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부식산(HA)의 적용은 식물상정화에서 식물의 생장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복합 오염물질에 의해 고농도로 오염된 토양에 식물상정화법를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오염된 토양을 치유하기 위하여 식물상정화법을 적용 할 경우 적합한 농도수준과 적용 가능한 식물을 선정하며, 또한 부식산을 첨가하였을 경우에 정화식물의 생장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중금속과 유류로 복합오염된 토양을 치유하기 위하여 식물상정화법을 적용 할 경우 적합한 농도수준과 적용 가능한 식물을 선정하고, 또한 부식산을 첨가하였을 경우에 정화식물의 생장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발아실험 결과 유류와 중금속으로 복합오염된 토양의 경우 자연적인 식물의 재생산 가능성을 고려할 때 본 실험에서 적용한 처리농도 2수준(구 토양환경보전법 상 토양오염 우려기준)에서 식물상정화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상정화법은 어떠한 장점때문에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에 많이 사용되는가? 최근 이러한 식물의 기능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이나 지하수를 치유하는 식물상정화법(phytoremediation)이 시도되고 있다(Schnoor et al, 1995; US EPA, 1999a). 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정화하는 식물상정화법(phytoremediation)는 오염지역의 정화와 생태계복원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경제적 이며 다양한 오염물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복원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환경 친화적인 복원 기술이다(옥용식 외, 2004; Gatliff, 1994; Macek et al., 2000).
최근에는 식물상정화법을 가지고 어떠한 노력들이 시도 되고 있는가? 식물상정화법에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주요 기작은 식물에 의한 직접흡수(phytoextraction), 식물뿌리와 삼출물에 의한 안정화(phytostabilizaiton) 및 활성화된 근권 미생물에 의한 분해(rhizodegradation) 등이다(환경부, 2007; Simonich and Hites, 1995; Schnoor 1998). 최근에는 토양과 수체 등 다양한 매체에서 그리고 오염물질의 제거뿐만이 아니라 오염물질의 이동제어, 토양개량 및 해당 생태계복원(restoration)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 되고 있다(김경훈 외 2003; ITRC, 2001; US EPA, 2001).
식물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식물은 생태계의 기반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서 육지와 수체에서 또한 식물의 줄기가 뻗어나가 있는 대기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박소영과 성기준, 2007; US EPA, 2000). 식물은 생태계 전체를 지탱 하는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출발지이며, 유기물 생산과정 중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장이고, 탄소를 저장하는 탄소 저장소이며, 물을 저장하기도 내뿜기도 하며, 토양에서의 물질순환을 제어한다. 아울러 분해자인 미생물에서부터 먹이사슬 최상층에 존재하는 육식동물에게까지 영양물질의 공급원으로 또한 그들의 서식처로서 그곳에 더불어 사는 다양한 생물들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다(성기준, 2005). 최근 이러한 식물의 기능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이나 지하수를 치유하는 식물상정화법(phytoremediation)이 시도되고 있다(Schnoor et al, 1995; US EPA, 1999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경훈, 성기준, 장윤영, 이철효, 2003, 탄화수소계 화합물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Phytopile 적용효과, 한국폐기물 학회지, 20(8), 793-799. 

  2. 김홍기, 서동철, 정용화, 강창순, 손보균, 이도진, 강종구, 박문수, 허종수, 김봉수, 조주식, 2007, 부식산 사용이 토마토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26(4), 313-318. 

  3.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p. 450. 

  4. 농촌진흥청, 2009, 과원토양관리, p. 209-219. 

  5. 박소영, 성기준, 2007, 실내포름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식물의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6(2), 197-202. 

  6. 성기준, 2005, Phytoremediation as an innovative technology for multimedia remediation and restoration, 지하수관리기술 워크샵, 강원대학교, p. 44-65. 

  7. 옥영식, 김정규, 양재의, 김휘중, 유경영, 박창진, 정덕영, 2004, 중금속 오염토양의 식물정화 기술과 형질전환 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7(6), 396-406. 

  8. 환경부, 2002,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9. 환경부, 2007, 오염토양 정화방법 가이드라인, p. 228. 

  10.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11. Aiken, G.R., Mcknight, D.M., and Wershaw, R.L., 1985, Humic Substances in Soil, Sediments, Water, John Wiley & Sons. Inc., p. 457-476. 

  12. Athar, R. and Ahmad, M., 2002, Heavy metal toxicity: Effect on plant growth and metal uptake by wheat, and on free living azotobacter,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38, 165-180. 

  13. Bio Ag Technologies International, 1999, Humic acid structure and properties, p. 1-12. 

  14. Chen, Y. and Aviad, T., 1990, Effects of humic substances on plant growth, Soil. Sci. Soc., Madison, Wisconsin, USA, p. 161-186. 

  15. Kumar, D., Shivay, Y.S., 2008, Definitional glossary of agricultural terms, Vol. 1, I K International Publishing House, p. 49-50. 

  16. Gadd, G.M. and Griffiths, A.J., 1978, Microorganisms and heavy metal toxicity, Microbial Ecology, 4, 303-317. 

  17. Gatliff, E.G., 1994, Vegetative remediation process offers advantages over traditional pump-and-treat technologies, Remediation, Summer, 343-352. 

  18. Interstate Technology and Regulatory Cooperation Work Group, 2001 Technical/regulatory guideline: Phytotechnology technical and regulatory guidance document. p. 84. 

  19. Johnson, C.M., Stout, P.R., Broyer, T.C., and Carlton, A.B., 1957, Comparative chlorine requirements of different plant species, Plant and Soil, 13(4), 337-353. 

  20. Macek, T., Mackova, M., and Kas, J., 2000, Exploitation of plants for the removal of organics in environmental remediation, Biotechnology advances, 18, 23-34. 

  21. Miller, R.R., Phytoremediation, 1996,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ies Analysis Center, PA. USA. 

  22. Preston, C.M., Dudley, R.L., Fyfe, C.A., and Mathus, S.P., 1984, Effects of variations in contact times and copper contents in a $^{13}C$ CPMAS NMR study of samples of four organic soils, Geoderma, 33, 245-253. 

  23. Schnoor, J.L., Light, L.A., McCutcheon, S.C., Wolfe, N.L., and Carreira, L.H., 1995, Phytoremediation of organic and nutrient contaminants. Environ. Sci. Technol. 29(7), 318-323. 

  24. Schnoor, J.L. 1998, Phytoremediation.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y Analysis Center, Pittsburgh, PA. 

  25. Schnoor, J.L., 2002, Phytoremedi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GWTAC, TE-02-01. p. 45. 

  26. Simonich, S.L. and Hites, R.A., 1995, Organic pollutant accumulation in vegetation, Environ. Sci. Technol., 29(12), 2905-2914 

  27. Sparks, D.L., 1995, Environmental soil chemistry.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28. Stevenson, F.J., 1994. Humic chemistry: Genesis, Composition, Reaction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9. US EPA, 1999a, Phytoremediation resource guide, EPA 542-B-99-003. 

  30. US EPA, 1999b, Phytoremediation Resources Guide, EPA 542-B-99-003. 

  31. US EPA 2000, Introduction of phytoremediation, EPA/600/R-99/107. 

  32. US EPA 2001,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 water at hazardous waste sites, EPA/540/S-01/500. 

  33. Volk, B.G. and Schnitzer, M., 1973,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for assessing subsidence in Florida Histosols, Soil Sci. Soc. Am. Proc., 37, 886-888. 

  34. Watkins, C.H. and Hammerschlag, R.S., 2003, The toxicity of chlorine to a common vascular aquatic plant, Water Research, 18(8), 1037-1043. 

  35. Weis, J.S., Glover, T., and Weis, P., 2004, Interactions of metals affect their distribution in tissues of Phragmites australis, Environ. Poll., 131, 409-415. 

  36. Zelazny, L.W. and Carlisle, V.W., 1974, Physical, chemical, elemental, and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 analysis of selected Florida Histosols, SSSA Spec. Publ., 6, p. 63-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