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야생 한국고라니의 내부기생충 감염률 조사
A survey on gastrointestinal parasites of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gyropus) in Chungbuk province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4 no.3, 2011년, pp.259 - 263  

최성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  나기정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지차호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dlife has been recognized that has important role as reservoir hosts of disease affecting both people and livestocks. However, information intestinal helminths of Korean water deer were limited. We obtained 20 feces from Korean water deers that were transferred to veterinary hospital in Chungbu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apreoli와 미확인 Theileria 종이 감염되어 있음을 보고하였다(Han 등, 2009). 하지만 충북지역 고라니의 연충 감염상에 대해서는 조사된 바가 없어,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 내원한 고라니를 대상으로 내부 기생충 감염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라니가 선호하는 서식지는 어디인가? 한편 우리나라의 고라니는 식량과 약재로 이용하기 위한 과도한 덫의 설치와 밀렵이 이루어져, 그 수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현재는 일부 섬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 풍부한 개체 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oke와 Farrel, 1998). 고라니는 다양하고 폭 넓은 지역에서 서식하지만, 그 중에서도 조밀한 숲과 초지를 선호하여 산지의 저지대나 강가, 농가의 경작지에서도 발견된다. 경작지로 내려온 고라니는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어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야생동물 보호 및 수렵 등에 관한 규정에 수렵 동물로 지정 되어 많은 수의 고라니가 포획되고 있다.
야생 우제류가 질병 전파의 매개, 보유, 증폭자 역할을 한 선례가 있는가? 야생동물은 인간과 가축의 질병 전파에서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며 그 보유자이자 증폭자가 될 수 있다(Thompson 등, 2009). 야생 우제류의 경우 브루셀라병의 매개체로 작용하며(McCorquodale과 DiGIacomo, 1985), 아프리카 물소는 남아프리카에서 가축의 구제역과 우결핵 전파에 관여해왔다(Sutmoller 등, 2000; Renwick 등, 2006). 아프리카 혹 멧돼지도 아프리카 돼지 열병의 전파에 관여했으며(Plowright 등, 1969), 이 밖에도 야생 사슴에서 가축으로 전파 가능한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 많은 사례가 보고되었다(Böhm 등, 2007).
충북대학교 동물 병원에 내원한 야생 고라니 20두의 내부 기생충 감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변 부유법을 통한 충란과 포낭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1. 야생 한국고라니 20두의 분변에서 기생충란과 포낭 검출률은 85% (17/20두)이였다. 2. 동정 분리된 충란과 난포낭의 종류는 7종이었다. 원선충란 11두, 세경모양선충란 14두, 분선충란 1두, 모세선충란 9두, 편충란 7두, 흡충란 3두, 콕시듐 4두이었다. 3. 혼합감염 실태는 단일 감염 15% (3/20두), 이중감염 20% (4/20두), 삼중감염 15% (3/20두), 사중감염 30% (6/20두), 오중감염 5% (1/20두)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길준철. 2004. 한국 야생 포유동물의 기생충 감염상.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2. 어경영. 2010. 충남 서산간척지역 너구리, 삵, 고라니의 배설물검사를 통한 내부기생충 감염실태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3. 정기수. 2010. 한국산 야생동물의 위장관내 기생성 연충류 분포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논문. 

  4. 조영숙, 이정원, 정윤신, 소승영, 박현종, 조호성, 김범석, 임채응. 2010a. 사육사슴 및 야생고라니의 Neospora caninum에 대한 항체가 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3: 271-274. 

  5. 조영숙, 정윤신, 소승영, 설민숙, 조호성, 김범석, 임채응. 2010b. 사육사슴 및 야생고라니에서 소 세균성 전염 병에 대한 혈청학적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3: 249-254. 

  6. 조영숙, 추금숙, 이정원, 카머게리, 체가로바이리나, 설민숙, 박현종, 김범석, 임채응. 2009. 사육사슴 및 야생고라니의 소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대한 혈청학적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2: 111-117. 

  7. 환경부 자연보전국 자연자원과. 2008. 수확기 야생동물 피해 방지단 확대 운영. KDI 경제정보센터. http://epic.kdi.re.kr/epic/epic_view.jsp?num95989&menu1. 

  8. Allen GM. 1940. Mammals of China and Mongolia, Part two. pp. 1126-1261.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New York. 

  9. Bhalerao GD. 1942. On two helminths of domestic ruminants in India. Parasitology 34: 133-137. 

  10. Bohm M, White PCL, Chambers J, Smith L, Hutching MR. 2007. Wild deer as a source of infection for livestock and humans in the UK. Vet J 174: 260-276. 

  11. Butzler W. 1990. Grzimek's Encyclopedia Mammals, Vol. 5. pp. 198-199.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New York. 

  12. Cooke A, Farrell L. 1998. Chinese Water Deer. pp. 1-32. The Mammal Society, London and the British Deer Society, Fordingbridge. 

  13. Cote SD, Rooney TP, Tremblay JP, Dussault C, Waller DM. 2004. Ecological impacts of deer overabundance. Ann Rev Eco Syst 35: 113-147. 

  14. Haigh JC, Mackintosh C, Griffin F. 2002. Viral, parasitic and prion diseases of farmed deer and bison. Rev Sci Tech Off Int Epi 21: 219-248. 

  15. Han JI, Jang HJ, Lee SJ, Na KJ. 2009. High prevalence of Theileria sp. in wild Chinese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gyropus) in South Korea. Vet Parasitol 164: 311-314. 

  16. McCorquodale SM, DiGIacomo RF. 1985. The role of wild north American ungulates in the epidemiology of bovine brucellosis: a review. J Wildl Dis 21: 351-357. 

  17. Pande BP, Bhatia BB. 1960. On Ogmocotyle indica (Bhalerao, 1942) Ruiz, 1946 (Trematoda), the notocotylid monostome of Indian ovines, and its pathogenicity. J Parasitol 46: 800-802. 

  18. Plowright W, Parker J, Pierce MA. 1969. Epizootiology of African swine fever in Africa. Vet Rec 85: 668-674. 

  19. Price EW. 1954. A new trematode from the lesser panda, Ailurus fulgens. J Parasitol 40 (suppl.):38-39. 

  20. Renwick AR, White PCL, Bengis RG. 2006. Bovine tuberculosis in southern African wildlife: a multi-species host-pathogen system. Epidemiol Infect 135: 529-540. 

  21. Sutmoller P, Thompson GR, Hargreaves SK, Foogin CM, Anderson EC. 2000. The foot-and-mouth disease risk posed by African buffalo within wildlife conservancies to the cattle industry of Zimbabwe. Prev Vet Med 44: 43-60. 

  22. Thompson RCA, Kutz SJ, Smith A. 2009. Parasite zoonoses and wildlife: Emerging Issu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6: 678-693. 

  23. Zhang E. 1998. Uniparental female care in the Chinese water deer at whipsnade wild animal park, England. Acta Theriol Sin 18: 178-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