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한 월경곤란증이 있는 여성의 체험
Lived Experience of Women with Severe Dysmenorrhea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3, 2011년, pp.304 - 315  

김현경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women with severe dysmenorrhea. Methods: Hermeneutic phenomenology by van Mannen and feminist philosophy informed this study involving 20 women who were 10~40 years old. Data was collected by us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곤란증의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 월경곤란증의 치료는 증상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식이변경, 토론, 운동, 이완요법, 스트레스관리, 빛요법, 대안요법, 영양제, 호르몬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의사를 찾는 여성은 일부분에 불과하여 월경곤란증을 가진 미국 여성의 7.
월경곤란증은 많은 여성이 가지고 있는 생식기계 건강의 주요문제라고 판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월경곤란증은 많은 여성이 겪고 있는 건강문제로서 전체 여성의 50~90%가 통증을 비롯한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 중 5~10%는 매우 심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 비해 초경의 연령은 낮아지고 있으며, 저 출산으로 인해 수유기와 임신기가 감소함으로서 월경의 횟수는 증가하였고, 환경변화로 인해 월경곤란증을 주 증상으로 하는 여성생식기계의 질환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Gilly, 2001). 2006~2008년 통계청의 질병소분류별 상병급여 현황을 보면 여성 생식기관 및 월경주기와 관련된 통증은 69%, 자궁근종은 53%, 자궁내막증은 69%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이와 같이 월경곤란증은 많은 여성이 가지고 있는 생식기계 건강의 주요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월경곤란증은 무엇인가? 월경곤란증은 여성이 경험하는 통증을 젠더(gender)와 연관시켜 의미를 확장할 수 있는 특징적 현상이다. 월경은 여성의 정상적인 생물학적 현상이지만 동반되는 증상은 매우 다양하여 개인은 저마다 독특한 월경주기를 경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bdul-Razzak, K. K., Ayoub, N. M., Abu-Taleb, A. A., & Obeidat, B. A. (2010). Influence of dietary intake of dairy products on dysmenorrhea. Th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36(2), 377-383. 

  2. Burchfield, R. W. (1989).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 Butt, F. S., & Chesla, C. (2007). Relational patterns of couples living with chronic pelvic pain from endometrio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7(5), 571-585. 

  4. Choi, E. H. (2009). Comparison of effects lavender abdominal massage and inhalation on dysmenorrhea, pain,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3), 420-430. 

  5. Cosgrove, L., & Riddle, B. (2003). Constructions of feminity and experiences of menstrual distress. Women & Health, 38(3), 37-58. 

  6. Davis-Floyd, R. E. (1994). The technocratic body: American childbirth as cultural express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8(8), 1125-1140. 

  7. De Beauvoir, S. (1994). Le deuxieme sexe (H. S. Cho, Trans.). Seoul: Ulyoo. (Original work Published 1949) 

  8. Duerr, H. P. (2003). Intimitat (K. S. Park, Trans.). Seoul: Hangil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9. Eriksen, M. (2009). Authentic leadership: Practical reflexivity, self-awareness, and self-authorship.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33(6), 747-771. 

  10. Gilly, A. (2001). Woman's sexual health (2nd ed.). London: Harcourt. 

  11. Gording, J. M. (1996). Sexual assault history and women's reproductive and sexual health.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 101-121. 

  12. Grace, V. M., & MacBride-Stewart, S. (2008). "How to say it?": Women's description of pelvic pain. Women & Health, 46(4), 81-98. 

  13. Ham, M. Y., Han, K. S., You, S. O., & Park, K. S. (199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dysmenorrhea experience of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5(2), 245-253. 

  14. Hong, Y. R. (2005). The effects of hand acupuncture therapy on dysmenorrh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1), 109-116. 

  15. Jung, H. M., & Kim, Y. S. (2004). Factors affecting dysmenorrhea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0(2), 196-204. 

  16. Jung, H. S. (1996). Menstrual experience of adolescent gir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2), 257-270. 

  17. Kim, H. (2009). Gong Mu Do Ha . Seoul: Munhakdongne. 

  18. Kim, J. E. (1993). A model of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factors influencing college women'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 (2), 224-244. 

  19.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Statistical report of the disease. Retrieved September 2, 2010, from http:// www.kosis.kr 

  20. Kowalski, R. M., & Chapple, T. (2000). The social stigma of menstruation: Fact or fic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4, 74-80. 

  21. Kvale, S. (1998). Interviews: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K. R. Shin, Trans.). Seoul: Hanaeuhak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22. Marckovic, M., Manderson, L., & Warren, N. (2008). Endurance and contest: Women's narratives of endometriosis. Health, 12(3), 349-367. 

  23. Meadows, L. M., & Morse, J. M. (2001). Constructing evidence within the qualitative project. In J. M. Morse., J. M. Swansen., & A. Kuzel. (Eds.), Nature of qualitative evidence (pp. 187-200). Thousand Oaks, CA: Sage. 

  24. Northrup, C. (2000). Women's bodies, women's wisdom. (H. J. Kang, Trans.). Seoul: Hanmunhwa.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25. Park, N. I. (2008). Dictionary of Korean. Seoul: Seoheamunjib. 

  26. Rho, J. E. (1995). A study if the experience of menstruation and the cultural taboos. Women's Studies Review, 12, 373- 374. 

  27. Santer, M., Wyke, S., & Warner, P. (2008). Women's management of menstrual symptoms: Findings from a postal survey and qualitative interviews. Social Science & Medicine, 66(2), 276-288. 

  28. Schipper, M. (2010). Never marry a woman with big feet. (C. H. Han, Trans.). Seoul: Bookscope.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29. Steinem, G. (2002). Outrageous acts and everyday rebellions. (H. Y. Yang Lee, Trans.). Seoul: Hyunsilmunhwayungu. (Original work published 1978) 

  30. Sveinsdottir, S., Lundman, B., & Norberg, A. (2002). Whose voice? Whose experiences? Women's qualitative accounts of general and private discussion of premenstrual Syndrome. Scanda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16(4), 414-423. 

  31. Van Mannen, M. (1994).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K. R. Shin, Trans.). Seoul: Hyunmu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