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자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요양시설 노인의 구취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Nursing Staff on Halitosis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in a Long-term Care Facility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7 no.3, 2011년, pp.243 - 258  

박경애 (가야대학교 호텔조리영양학과) ,  최스미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  박명숙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oral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 providers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a long-term care fac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at a long-term care facility located in K metropolitan city using a nonequivalent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취 정도는 구강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보조원 1인이 연구자에게 1시간 동안 측정방법을 훈련받고 측정법의 일관성을 확인받은 후 대조군과 중재군을 대상으로 총 3회 측정하여 평균한 값으로 하였다(McConnell 등 2007).
  • 따라서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 속도에 의해 요양시설 입소노인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노인들의 대부분이 신체적, 기능적으로 의존적인 노인들로 고령으로 갈수록 구강위생상태의 악화로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영양상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맞는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간호자인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요양보호사에게 6주간 교육하여 입소노인에게 구강간호 제공 후 체질량지수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맞는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간호자인 간호사, 간호조무사 및 요양보호사에게 6주간 교육하여 입소노인에게 구강간호제공 후 구강위생상태 지표인 구취와 체질량지수 및 영양소 섭취량을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 적용 전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자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입소노인의 체질량지수와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K 광역시 소재 1개 요양시설에서 입소노인 대조군 27명, 중재군 24명, 총 51명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자인 간호사,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6주간의 강의 및 실무훈련 중심의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후 입소노인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설계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서울소재 S 대학의 연구대상자 보호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았다.
  • 본 연구는 본 연구자가 미국, 일본, 호주 등 국외 요양시설 입소노인 구강간호지침, 문헌고찰, 국내 치과분야 전문가, 노인전문간호사 및 요양시설 간호사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간호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여(Park 2010)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을 6주간 간호자에게 교육하여 입소노인에게 구강간호 제공 후 체질량지수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에 의한 치아상실과 구강통증이 노인의 영양불량 및 체중감소를 초래하는 이유는? 구강질환은 노인대상자의 전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강질환에 의한 치아상실과 구강통증은 노인대상자의 식사량 감소로 이어져 대상자의 영양불량 및 체중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2008년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은 60.
간호자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입소노인의 체질량지수와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에서 조사 대상자의 영양소섭취 상태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던 것은?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시설 간호자를 위한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의 임상적용이 구강 위생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간호자 구강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입소소인의 영양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요양시설 거주 노인에게 특히 리보플라빈과 엽산이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러한 영양소섭취 상태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노인의 영양소 섭취에 장애가 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노인의 식이섭취조사 결과는? 선행연구결과에서 노인의 식이섭취조사 결과 섭취량이 영양권장량(영양섭취기준) 미만이었던 영양소는 칼슘, 리보플라빈(Son & Lee 1999; Kim 등 2002; Yang 2005), 에너지, 비타민 A(Son & Lee 1999; Kim 등 2002), 단백질(Kim 등 2002; Yang 2005), 비타민E(Kim 등 2002), 비타민 C(Son & Lee 1999) 및 철분(Yang 2005)이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와 유사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보건복지부 요양보험운영과 (2010): 2009 노인복지시설현황. 문영사. 서울. pp.3-5 

  2. 우종인, 김기웅, 김성윤, 김주한, 우성일, 윤종철, 이강욱, 이군희, 이동영, 이정희, 주진형, 한설희 (2003): 치매 진단 평가를 위한 한국판 CERAD 평가집.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pp.9-113 

  3. 유윤정, 최봉규, 옥승호, 박영민, 김 정 역 (2001): 구강미생물학. 군자출판사. 서울. pp.233-335 

  4. 최혜미, 강순아, 김경원, 김정희, 김창임, 김초일, 김현아, 김희선, 남기선, 민혜선, 변기원, 송경희, 송은승, 송지현, 여의주, 윤은영, 이홍미, 임경숙, 장경자 (2009): 21세기 영양학. 제 2개정판. 교문사. 서울. pp.209-213 

  5. Appllonio I, Carabellese C, Frattola A, Trabuchi M (1997): Influence of dental status on dietary intake and surviva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subjects. Age Ageing 26(6): 445-455 

  6. Choi HS, Moon HK, Kim MH, Choi JS (2010):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s of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 by dental status. J Korean Diet Assoc 16(1):22-38 

  7. Chung SH (2006): The effects of an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J Korean Acad Nus 36(1):84-93 

  8.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3):189-198 

  9. Frenkel HF, Harvey I, Newcombe RG (2001): Improving oral health in institutionalised elderly people by educating caregiver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9(4):289-297 

  10. Guggenheimer J, Moore PA (2003):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 Am Dental Assoc 134(1):61-69 

  11. Han YH, Yon MY, Hyun TS (2005): Folate intake estimated with an updated database and its association to blood folate and homocysteine in Korean college students. Eur J Clin Nutr 59(2):246-254 

  12. Jager S, Koster-Schmidt A, Schade M, Heudorf U (2009): Oral hygiene in nursing home residents. impact of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me for the nursing personnel on the resident's oral health. Bundesgessundheitsblatt Gesundheitsforschung Gesundheitsschuutz 52(10):927-935 

  13. Jin HO, Yim HS (2001): Major foods for folate and their folate content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152-158 

  14. Kim CY (2006): (The)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aged with dementia in the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for aged. Masters degree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32 

  15. Kim EH (2008): Evaluation of health status and dietary intakes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rural area by retaining risk factor of chronic disease and seasonal variation. Masters degree thesis. Dankook University. pp.6 

  16. Kim HS, Kim JS, Song RY (2001): Assessment of vitamin E status of female nursing - home resi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0(4):411-419 

  17. Kim HY, Lee SH, Lim YL (1995): A study on the dietary and nutrition intake of the elderly resident in nursing hom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5(2):69-83 

  18. Kim KN, Hyun TS, Lee JW (2000a):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 5(3):475-483 

  19. Kim MH, Lee JC, Bae YJ (2009): The evaluation study on eating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elderly people residing in Samcheok according to ag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4(5):495-508 

  20. Kim SH, Jung JA, Lee BJ, Kim DK (2007): Public health dentistry: Comparison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people Lived in nursing home with private hom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 Korean Acad Dental Health 31(3):366-375 

  21. Kim WY, Ahn SY, Song YS (2000b): The nutritional statu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multivitamin-mineral supplementation in nursing-home resident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5(2):201-207 

  22. Kim YH, Lee HO, Chang R, Cho RW (2002): A study on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the disease distribution in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I). Korean J Community Nutr 7(4):516-526 

  23.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KNHANES IV). Seoul. pp.1-327 

  24. Korean Society for Neurorehabilitation (2005):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 Available from http://www.ksnr.or.kr/popup/main_pop_02.html. Accessed May 11, 2009 

  25. Kwak KS, Bae YJ, Kim MH (2008):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the low-income elderly residing at home or in health 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4(4):337-350 

  26. Lamy H, Mojon PH, Kalykakis G, Legrand R, Butz-Jorgensen E (1999): Oral status and nutrit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Dentistry 27(6):443-448 

  27. Lee SY, Won JW, Park HS, Choi HL, Kim BS (2005): Estimation of body height in Korean elderly. J Korean Geriatri Soc 9(4):266-270 

  28. MacEntee MI, Wyatt CC, Beattie BL, Paterson B, Levy-Milne R, McCandless L, Kajanijian A (2007): Provision of mouthcar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 educational trial.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5(1):25-34 

  29. McConnell ES, Lekan D, Hebert C, Leatherwood L (2007): Academic-practice partnerships to promote evidence-based practice in long-term care: oral hygiene care practices as an exemplar. Nursing Outlook 55(2):95-105 

  30. Park JH, Kwon HK, Kim BI, Choi CH, Choi YH (2002):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resident in free asylum. J Korean Acad Dental Health 26(4):555-566 

  31.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2006):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n J Nutr 39(1):58-73 

  32. Park MS (2010): The effect of oral health care education for care provider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Docto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39-45 

  33. Shin DS, Jung YM (2008):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QoL) and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women. J Korean Acad Fundam Nurs 15(3):332-341 

  34. Son SM, Lee YN (1999):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elderly residing in Puchon city. I. Anthropometric Data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91-1397 

  35. Sumi Y, Ozawa N, Miura H, Michiwaki Y, Umemura O (2010): Oral care help to maintain nutritional status in trail older people. Arch Gerontol Geriatr 51(2):125-128 

  3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of Intake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1-22 

  3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CAN-Pro version 3.0.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38. The Statistics Korea (201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Accessed December 20, 2010 

  39.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1):65-76 

  40. Yang SB, Moon HS, Han DH, Lee HY, Chung MK (2008): Oral health status and treatment need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J Kor Acad Prosthodont 46(5):455-468 

  41. Yang KM (2005):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people in Gyeong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1018-1027 

  42. Yim KS (2008): Nutrient intake assessment of Korean elderly living in Inje area, according to food group intake frequency. Korean J Food Culture 23(6):779-792 

  43. Yon MY, Hyun T (2005): Additional data for the folate database for foods common in Korea. Korean J Nutr 38(7): 586-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