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음향과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초지 분포 추정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System and Kompsat-2 Image to Estimate Distribution of Seagrass Bed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7 no.3, 2012년, pp.181 - 188  

김근용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엄진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최종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김광용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초지의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안에 분포하는 해초지 규모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다. 장흥군 회진면 일대의 해초지를 대상으로 수중음향측심기와 고해상도 Kompsat-2($4{\times}4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식생유무를 탐지하고 분포크기를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분석의 정확도는 음향측심기를 통해 얻은 자료분석과 이를 비교하여 검증되었다. Kompsat-2 영상분석으로 계산된 회진면 일대의 해초지 면적은 약 $3.9km^2$로 수중음향 탐사를 통해 구해진 $4.5km^2$ 보다 과소평가 되었다. Kompsat-2 위성영상을 객체기반 영상분류법으로 해초 식생을 분석한 결과는 수중음향 결과 값에 대해 90%의 정확도를 보였는데, 이와 같이 높은 정확도는 Kappa 지수(0.85)로도 확인되었다. 또한 위성영상과 수중음향 결과 간의 유사도는 77.1%로 비교적 높았다. 생물 비파괴적인 수중음향조사와 Kompsat-2 영상분석으로 국내 연안에 산재해 있는 해초지 식생의 광역적인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보다 정확한 탐지를 위해서 다양한 고해상도 위성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seagrass beds, their distributional information in Korean coastal wat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we used hydroacoustic system to collect accurate bathymetry and classification of seagrass, and Kompsat-2 (4 m spatial resolution) image for detection of seagr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크기의 패치로 구성된 득량만의 해초지를 대상으로 수중음향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비식생 지역과 양식장을 구분하여 해초지 식생의 크기를 계산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연안에서 해초지의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고 보전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의 생물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광역대 생태조사가 절실한데,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고해상도 Kompsat-2 영상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분석기술의 정확도를 수중음향 탐사와 비교 평가할 것이다.
  • 해초지에 대한 연구인력과 연구방법의 제한으로 국내 연안에 분포하는 해초식생의 시공간 분포특징과 장기변화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생물을 훼손하거나 파괴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 초지 생태연구를 위한 광역조사가 가능한 수중음향탐사 기술과 인공위성영상 분석을 적용해 보고,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해초지 분석의 정확도를 점검하여 원격탐사를 통한 연안 생태연구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또한 수백 개의 밴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초다분광 영상 (hyperspectral image)과 같은 분광해상도가 뛰어난 영상을 이용할 경우, 분류지표 즉 해초지, 식생이 없는 갯벌, 양식장 등이 보다 쉽게 구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시기의 해초지 분포특성에 대해 한가지의 위성영상만을 이용하였지만,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위성영상을 활용하고 분석시기와 조사장소를 추가하여 연안 해초지의 생태적 기능 유지와 보전에 필요한 광역적 분석방법의 확립이 시급한 과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초지는 어떻게 연안 생태계의 물질 순환을 주도하는가? 다양한 연안생물의 서식처인 해초지(seagrass beds)는 광합성을 통해 유기 쇄설물을 생산하고 용존 유기물을 분비하여 연안 생태계 내의 물질순환을 주도한다(Phillips and Meñez, 1988; Thresher et al., 1992).
Kompsat-2 위성영상을 객체기반 영상분류법으로 분석한 결과 어느정도의 정확도를 보였는가? 5km^2$ 보다 과소평가 되었다. Kompsat-2 위성영상을 객체기반 영상분류법으로 해초 식생을 분석한 결과는 수중음향 결과 값에 대해 90%의 정확도를 보였는데, 이와 같이 높은 정확도는 Kappa 지수(0.85)로도 확인되었다.
해초지는 연안에서 어떤 장소인가? , 1992). 또한 경제적 가치가 큰 어류의 산란 및 성육장을 제공하고 퇴적물의 부유와 이동을 제어하여 저질을 안정화시키고 있어 연안에서 생태적 가치가 매우 큰 장소이다(Duffy,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돈혁, 조성호, 라형술, 김종만, 나정열, 명정구, 2006. 수중음향을 이용한 해초 서식처(Seagrass Habitats)의 공간 및 수직 분포 추정. Ocean and Polar Research, 28: 225?236. 

  2. 김근용, 김주형, 김광용, 2008. 디지털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광양만 잘피(Zostera marina L.)의 피도와 생물량 추정. Algae, 23: 83-90. 

  3. 김정배, 박정임, 이근섭, 2009. 득량만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한국수산학회지, 42: 509-517. 

  4. 김정배, 박정임, 최우정, 이재성, 이근섭, 2010. 섬진강 하구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및 생태적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43: 351-361. 

  5. 민지은, 유주형, 최종국, 박흥식, 2010.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호초 서식환경 모니터링: 축라군 웨노섬을 중심으로. Ocean and Polar Research, 32: 53-61. 

  6. 박정임, Wentao Li, 김정배, 이근섭, 2009. 이식된 잘피의 생산성 및 형태적 특성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4: 41-47. 

  7. 최동림, 노재훈, 유주형, 이재학, 장풍국, 이태희, 최동한, 2010a. 2008년 여름철 북부 동중국해에서 대규모 녹조(가시파래) 출현. Ocean and Polar Research, 32: 351-359. 

  8. 최종국, 유주형, 엄진아, 노승복, 노재훈, 2010b.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퇴적환경 및 저서미세조류 환경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2: 67-78. 

  9. 최태섭, 김광용, 이병권, 이정석, 2005. 잘피의 광합성에 대한 중금속 및 TBT의 독성 영향과 중금속 흡수에 대한 연구. Algae, 20: 157-166. 

  10. 해양수산부, 2007. 득량만 환경보전해역 환경관리방안 연구. 171 pp. 

  11. Barille, L., M. Robin, N. Harin, A. Bargain, and P. Launeau, 2010. Increase in seagrass distribution at Bourgneuf Bay (France) detected by spatial remote sensing. Aquat. Bot., 92: 185-194. 

  12. Duarte, C.M. 1991. Seagrass depth limits. Aquat. Bot., 40: 363-377. 

  13. Duffy, J.E. 2006. Biodiversity and the functioning of seagrass ecosystems. Mar. Ecol. Prog. Ser., 311: 233-250. 

  14. Fairbanks, C. and J.G. Norris, 2004. Whatcom County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survey methods. Fairbanks Environmental Services, Inc Marine Resources Consultants. 

  15. Foody, G.M. 2002. Statu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accuracy assessment. Remote Sens. Environ., 80: 185-201. 

  16. Hsieh, P.F., L.C. Lee, and N.Y. Chen, 2001. Effect of spatial resolution on classification errors of pure and mixed pixels in remote sensing,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39: 2657-2663. 

  17. Kim, K.Y. and T.S. Choi, 2004. Variability in abundance and morphological attributes of Zostera marina L.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Bot. Mar., 47: 287-294. 

  18. Laurent, E.J., H. Shi, D. Gatziolis, J.P. LeBouton, M.B. Walters and J. Liu, 2005. Using the spatial and spectral precision of satellite imagery to predict wildlife occurrence patterns. Remote Sens. Environ., 97: 249-262. 

  19. Lee, S.Y., C.J. Kwon, S. Lee, and C.I. Choi, 2002. Distribution of eelgrass, Zostera marina L. on coast of the Koreas peninsula: Preliminaty study for eelgrass restoration. Ocean and Polar Research, 24: 55-61. 

  20. Lee, S.Y., J.B. Kim, and S.M. Lee, 2006. Temporal dynamics of subtidal Zostera marina and intertidal Zostera japonica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Mar. Ecol., 27: 133-144. 

  21. McKenzie, L.J., M.A. Finkbeiner, and H. Kirkman, 2001. Methods for mapping seagrass distribution. In: Global Seagrass Research Methods, edited by Short, F.T. and R.G., Coles, Elsevier, Amsterdam, Natherlands, pp. 101-121. 

  22. Mumby, P.J., E.P. Green, C.D. Clark, and A.J. Edwards, 1998. Digital analysis of multispectral airborne imagery of coral reefs. Coral Reefs, 17: 59-69. 

  23. Mumby, P.J., W. Skirving, A.E. Strong, J.T. Hardy, E.F. LeDrew, E.J. Hochberg, R.P. Stumpf, and L.T. David, 2004. Remote sensing of coral reefs 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 Mar. Pollut. Bull., 48: 219-228. 

  24. Pasqualinia, V., C. Pergent-Martinia, G. Pergenta, M. Agreila, G. Skoufasb, L. Sourbesc, and A. Tsirika, 2005. Use of SPOT 5 for mapping seagrasses: An application to Posidonia oceanica. Remote Sens. Environ., 94: 39-45. 

  25. Phillips, R.C. and E.G. Menez, 1988. Seagrasse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26. Sabol, B.M., R.E. Melton Jr., R. Chamberlain, P.H. Doering, and K. Haunert, 2002. Evaluation of a digital echosounder system for detection of submersed aquatic vegetation. Estuaries, 25: 133-141. 

  27. Sagawa, T., A. Mikami, T. Komatsu, N. Kosaka, A. Kosako, S. Miyazaki, and M. Takahashi, 2008. Mapping seagrass beds using IKONOS satellite image and side scan sonar measurements: a Japanese case study. Int. J. Remote Sens, 29: 281-291. 

  28. Song, C., C.E. Woodrock, K.C. Seto, M.P. Lenney, and S.A. Macomber, 2001. Classification and change detection using Landsat TM data: When and how to correct atmospheric effects? Remote Sens. Environ., 75: 230-244. 

  29. Thresher, R.E., P.D. Nichols, J.S. Gunn, B.D. Bruce, and D.M. Furlani, 1992. Seagrass detritus as the basis of a coastal planktonic food chain. Limnol. Oceanogr., 37: 1754-1758. 

  30. Treitz, P.M., P.J. Howarth, R.C. Suffling, and P. Smith, 1992. Application of detailed ground information to vegetation mapping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digital imagery. Remote Sens. Environ., 42: 65-82. 

  31. Wabnitz, C.C., S. Andrefouet, D. Torres-Pulliza, F.E. Muller-Karger, P.A. Kramer, 2008. Regional-scale seagrass habitat mapping in the Wider Caribbean region using Landsat sensors: Applications to conservation and ecology. Remote Sens. Environ., 112: 3455-3467. 

  32. Winfield, I.J., C. Onoufriou, M.J. O'Connell, M. Godlewska, R.M. Ward, A.F. Brown, and M.L. Yallop, 2007. Assessment in two shallow lakes of a hydroacoustic system for surveying aquatic macrophytes. Hydrobiologia, 584: 11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