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품 가격 추정에 있어서의 예술적 가치의 의의: 경매와 비경매 시장의 비교
Artistic Value and Art Price: A Comparison between Auction and Non-auction Marke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0, 2012년, pp.4432 - 4439  

신형덕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김태황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과) ,  김명수 (가톨릭대학교 정경학부 경제학과) ,  김영선 (명지대학교 예술체육대학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미술품 가격 추정 모델에서는 자료의 한계상 주로 경매 시장에서의 미술가격을 기준으로 헤도닉 모형을 제시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품이 거래되는 시장으로서 경매 시장 뿐만 아니라 비경매 시장도 포함된 미술시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시장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헤도닉 모델들이 미술품 가격에 대해 작가 요소, 미술품 요소 등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헤도닉 요인만을 통해 미술품 가격 추정을 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요인을 추가하여 과연 이 요인의 추가가 미술가격 추정 모델의 설명력을 높여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매와 비경매 시장으로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순수한 헤도닉 가격 추정 모델과 그 모델에 예술적 가치 요인을 추가한 가격 추정 모델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경매와 비경매 시장으로 구분한 경우에는 비경매 시장의 매매에 있어서 예술적 가치 요인이 추가된 가격 추정 모델에서 유의적으로 실제 매매가격과 더 일치하는 가격 추정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가격 추정 헤도닉 모델에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인 요인을 포함시켰을 때에 미술품 거래 시장의 형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모델의 설명력 향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미술품 가격 결정 분야의 연구에 기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on art pricing mostly focused on auction data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non-auction market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on both auction and non-auction markets to see the difference in art pricing mechanisms of both markets. Especially, while prior hedonic models included only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미술품 가격 추정 요인의 영향력에 있어서 경매 시장과 비경매 시장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기존 연구들이 정량적인 헤도닉 모델로서 가격 추정 모델을 세웠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변수를 도입하여 이러한 변화가 미술품 가격 추정 모델의 설명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비록 200개 미만의 한정된 미술작품이긴 하지만 각 작품의 예술적 가치에 대해 전문가의 평가를 반영하고, 각 작품의 작가의 인지도에 대해서도 전문가의 평가를 구해서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한된 정보만을 이용하는 헤도닉 모델의 방법론을 극복하고 보다 포괄적인 정보를 이용한 모델을 시도했다는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예술적 가치를 전문가의 평가를 바탕으로 정량화하여 헤도닉 모형에 추가할 때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영향력이 미술품 거래 시장을 구분하는 기준 중 하나인 경매 시장과 비경매 시장에 있어서 차별적으로 존재하는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 물론 헤도닉 모형에서 이용하는 요인들은 결국 정성적 연구들이 발견한 가격결정요인들 중에서 수집 가능한 객관적 정보를 이용한다는 것을 상기할 때,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는 본래적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예술적 가치를 전문가의 평가를 바탕으로 정량화하여 헤도닉 모형에 추가할 때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영향력이 미술품 거래 시장을 구분하는 기준 중 하나인 경매 시장과 비경매 시장에 있어서 차별적으로 존재하는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제품과는 다른 미술품만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술품 가격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오랜 동안에 걸쳐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1-4]. 미술품은 다른 제품과는 상이한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는데, 먼저 복수로 생산되지 않는 유일성을 지니고 있고, 재산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자본자산과는 달리 보유에 대한 렌트를 창출하는 대신 유지보수 비용이 소요되며, 전시를 통해 공익을 창출하는 공공재적인 성격을 띤다[5,6]. 또한 미술품은 사용 가치와 더불어 예술적 가치가 그 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미술품이 거래되는 비경매 시장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미술품이 거래되는 비경매 시장은 아트페어, 화랑, 개인 거래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아트페어도 작가가 개별적으로 참여하는 아트페어와 화랑이 중심이 되어 참여하는 아트페어로 구분될 수 있다.
온라인 경매 시장에는 어떤 방식이 있는가? 온라인 경매 시장은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등장한 시장으로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하고 온라인으로 연결된 경매자들이 경쟁을 하는 시장이다. 여기에는 확정된 시간에 경매가 종료되는 fixed end time 방식과 마지막 입찰이 발생한 후 일정시간(예를 들어 5분)이 지난 후에야 경매가 종료되는 flexible end time 방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 Singer, "Microeconomics of the Art Market",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1, pp. 21-40, 1978. 

  2. B. S. Frey and W. W. Pommerehne, "Art Investment: An Empirical Inquiry", Southern Economic Journal, 56(2), pp. 396-409, 1989. 

  3. J. W. Nahm, "Price Determinants of Art Price: Is it Proportional to Size?", The Korea Economic Research, 56(2), 139-161, 2008. 

  4. H. Cho and J. Kim, "The Price Determinants in Korean Art Auction Market",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17(4), pp. 73-95, 2009. 

  5. B. Choi, "The Key of Art Market, Art of the price structure and the reality of Korea", Modern Art Laboratory, 17(4), pp. 73-95, 2005. 

  6. H. Kwon, H. Lee, J. Lee and J. Song, "Factors of China Art Price Formation: Focusing on Contemporary Artis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2), pp. 629-639, 2011. 

  7. O. Velthuis, "Symbolic Meanings of Prices: Constructing the Value of Contemporary Art in Amsterdam and New York Galleries", Theory and Society, 32(2), pp. 181-215, 2003. 

  8. H. Bonus and D. Ronte, "Credibility and Economic Value in the Visual Art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1(3), pp. 103-118, 1997. 

  9. M. Rengers and O. Velthuis, "Determinants of Prices for Contemporary Art in Dutch Galleries, 1992-1998",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6(1), pp. 1-28, 2002. 

  10. D. W. Galenson and B. A. Weinberg, "Age and the Quality of Work: The Case of Modern American Painter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8(4), pp. 761-777, 2000. 

  11. L. Singer and G. Lynch, "Public Choice in the Tertiary Art Market",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18, pp. 199-216, 1994. 

  12. L. Andre and G. Varet, "On Pricing the Priceless: Comments on the Economics of the Visual Art Market", European Economics Review, 39, pp. 509-518, 1995. 

  13. H. Higgs and A. Worthington, "Financial Returns and Price Determinants in the Australian Art Market, 1973-2003", The Economic Record, 81(253), pp. 113-123, 2005. 

  14. R. J. Agnello and R. K. Pierce, "Financial Returns, Price Determinants, and Genre Effects in American Art Investment",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20(4), pp. 359-383, 1996. 

  15. J. W. Nahm, "Price Determinants and Financial Returns in Korean Art Investment", The Korea Economic Research, 59(1), pp. 5-25, 2011. 

  16. M. Hutter, C. Knebel, G. Pietzner and M. Schafer, "Two Games in Town: A Comparison of Dealer and Auction Prices in Contemporary Visual Arts Market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31, pp. 247-261, 2007. 

  17. S. Schonfeld and A. Reinstaller, "The Effects of Gallery and Artist Reputation on Prices in the Primary Market for Art: A Not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31(2), pp. 143-153, 2007. 

  18. J. Kagel and D. Levin, "The Winner's Curse and Public Information in Common Value Auctions", American Economic Review, 76(5), pp. 894-920, 1986. 

  19. J. Park and H. Shin, "Would Online Artwork Auction Be Better Than Offline? Focusing on the Impacts of Price Determinants on the Fetching Price", Korean Management Review, 41(4),pp. 789-80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