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마선 조사 건조과일의 품질평가 및 물리적 판별
Quality Evaluation and Physical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Dried Fru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559 - 1564  

정재훈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윤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덕조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포도(Thailand산), 건망고(Philippine산), 건무화과(Iran산)를 0~5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총균수 및 기계적 색차를 측정하고 조사여부 판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총 균수 측정 결과 3 kGy 이상으로 조사된 시료에서는 대부분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과일의 색차 측정에서, 건망고의 색 변화가 방사선조사에 가장 민감하였다. PSL 측정 결과, 건포도의 경우 비 조사시료는 음성으로, 조사시료는 중간 값으로 확인되었고 건망고의 경우 모든 시료가 음성으로 확인되었으며, 무화과의 경우 5 kGy 조사시료만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건조과일의 경우 PSL 측정법은 screening 방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낮았다. TL 측정 결과 건무화과의 경우 조사시료는 $150{\sim}200^{\circ}C$ 사이에서 특유의 발광곡선을 나타내었고, 신호 강도 또한 조사선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TL 적용이 가능하였다. ESR 측정 결과 건포도와 건망고의 경우 조사시료에서 multi-component 신호를 보여주었고, 신호 강도 역시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ESR 적용이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isins (Thailand), dried mangos (Philippines), and dried figs (Iran) were gamma-irradiated (0~5 kGy), and their quality and detec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t safe levels when samples were irradiated at higher than 3 kGy. In color change after irr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조사된 건조과일의 미생물 및 색도 확인을 통하여 시료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고, 조사여부 판별을 위한 물리적 방법인 PSL, TL, ESR(Electron Spin Resonance)을 이용하여 건조과일에 대한 검지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과일이 지닌 수분만 제거하는 방식으로 가공된 건조과일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식품 공전에 의하면 과·채 가공품류란 과일류 또는 채소류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하거나,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과·채가공품, 과·채퓨레·페이스트로 정의되고 있고, 대장균은 음성이어야 하고, 타르색소는 검출되 어서는 아니된다고 규정되어 있다(1). 생과일이 지닌 수분만 제거하는 방식으로 가공된 건조과일은 미생물 및 효소에 의한 부패나 변질이 방지되고, 영양성분 또한 생과일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밝혀지면서(2-4) 한결 간편하게 즐길수 있는 가공제품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수산물무역 정보에 따르면 과일의 수입량은 2009년 654,713톤, 2010년 821,102톤, 2011년 923,080톤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고, 2011년 수입된 과일 중 포도는 건조품으로 3,928,569 kg을, 망고는 신선제품 및 건조품으로 1,891,797 kg을, 무화과는 신선제품 및 건조품으로 269,671 kg을 차지하였다(5).
식품 공전에서 과·채 가공품류가 어떻게 정의되어 있는가? 과일의 건강효과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과일의 가공형태도 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식품 공전에 의하면 과·채 가공품류란 과일류 또는 채소류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가공하거나,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과·채가공품, 과·채퓨레·페이스트로 정의되고 있고, 대장균은 음성이어야 하고, 타르색소는 검출되 어서는 아니된다고 규정되어 있다(1). 생과일이 지닌 수분만 제거하는 방식으로 가공된 건조과일은 미생물 및 효소에 의한 부패나 변질이 방지되고, 영양성분 또한 생과일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밝혀지면서(2-4) 한결 간편하게 즐길수 있는 가공제품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건포도, 건망고, 건무화과를 0~5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총 균수와 기계적 색차를 측정하니 어떤 결과가 나타났는가? 건포도(Thailand산), 건망고(Philippine산), 건무화과(Iran산)를 0~5 kGy로 감마선 조사한 후 총균수 및 기계적 색차를 측정하고 조사여부 판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총 균수 측정 결과 3 kGy 이상으로 조사된 시료에서는 대부분 검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건조과일의 색차 측정에서, 건망고의 색 변화가 방사선조사에 가장 민감하였다. PSL 측정 결과, 건포도의 경우 비 조사시료는 음성으로, 조사시료는 중간 값으로 확인되었고 건망고의 경우 모든 시료가 음성으로 확인되었으며, 무화과의 경우 5 kGy 조사시료만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건조과일의 경우 PSL 측정법은 screening 방법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FDA. 2011. Korea Food Standard Code.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3.jsp?idx85. 

  2. Marques LG, Silveira AM, Freire JT. 2006. Freeze-drying characteristics of tropical fruits. Drying Technol 24: 457-463. 

  3. Hawlader MNA, Perera CO, Tian M, Yeo KL. 2006. Drying of guava and papaya: Impact of different drying methods. Drying Technol 24: 77-87. 

  4. Erbay Z, Icier F. 2009. Optimization of drying of olive leaves in a pilot-scale heat pump dryer. Drying Technol 27: 416-427. 

  5. KATI. 2011. 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 homepage. Available from http://www.kati.net/sta/staRes1.do?menuCode120&parentCode1&url%2Fsta%2FstaRes1&topMenuCode120 

  6. IAEA. 2011.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homepage. Available from http://nucleus.iaea.org/ifa/FoodAuthorisationDisplay.aspx 

  7. Kume T, Furuta M, Todoriki S, Uenoyama N, Kobayashi Y. 2009. Status of food irradiation in the world. Raidat Phys Chem 78: 222-226. 

  8. KFDA. 2009. Korea Food Code. 2-1-9-2-1-10. 

  9. KFDA. 2009. Notification on the Detection Methods for Irradiated Food. No. 2009-44. 

  10. APHA. 1976.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1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p 697. 

  11. Cho HO, Byun MW, Kwon JH, Lee JW. 1987.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ethylene oxide fumigation on the quality of dried marine products (shrimp, anchovy). Kor J Food Hygiene 2: 21-27. 

  12.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 2002.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us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English version of DIN EN13751. 

  13. Johnston DE, Stevenson MH. 1990. The proceedings of an international symposium organized by the food chemistry group of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as part of the annual chemical congress: food irradiation and the chemist.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Special publication, Cambridge, UK. No 86. 

  14.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 2002.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us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English version of DIN EN13751. 

  15. Schreiber GA. 1996. Thermo-luminescence an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techniques to identify irradiated foods. In Detection Methods for Irradiated Foods. Mc-Murray, Stewart CH, Gray EM, Pearce J, eds.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UK. p 121-123. 

  16.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 1997.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from which silicate minerals can be isolated. Method by thermoluminescence. English version of DIN EN 1788. 

  17. Schreiber GA, Ziegelmann B, Quitzsch G, Helle N, Bogl KW. 1993. Luminescence techniques to identify the treatment of foods by ionizing irradiation. Food Struct 12: 385-396. 

  18. Schreiber GA, Helle N, Bogl KW. 1995. An interlaboratory trial on the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pices, herbs, and spice-herb mixtures by thermo-luminescence analysis. J AOAC Int 78: 88-93. 

  19. Schreiber GA, Hoffmann A, Helle N, Bogl KW. 1994. Methods for routine control of irradiate food: Determination of the irradiation status of shellfish by thermoluminescence analysis. Raiat Phys Chem 43: 533-544. 

  20. EN 1787. 2002. Foodstuffs-Detection of irradiated food containing cellulose. Method by ESR spectroscopy. Brussels, Belgium. 

  21. Stewart EM, Stevenson MH, Gray R. 1994. Use of ESR spectroscopy for the detection of irradiated Crustacea. J Sci Food Agric 65: 191-197. 

  22. Origin. 1999. Origin tutorial manual. version 6.0. Microcal Software Inc., Northampton, MA, USA. p 20-45. 

  23. SAS. 2001. SAS Users guide. version 8.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4. WHO. 1994. Safety and nutritional adequacy of irradiated food. Geneva, Switzerland. 

  25. Goldblith SA, Proctor BE. 1956. Radiation preservation of milk and milk products I. Background and problems. J Dairy Sci 39: 374-378. 

  26. Jeon KH, Oh SW, Lee NH, Kim YJ, Park KJ, Kim YH. 2008. Quality properties of the refrigerated or frozen irradiated beef pat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437-444. 

  27. Han IJ, Park JN, Park JG, Song BS, Lee JW, Kim JH, Ryu HS, Park JR, Chun S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lk porridge (Tarakjuk) sterilized with radiation techn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85-891. 

  28. Rico CW, Kim GR, Ahn JJ, Kim HK, Furuta M, Kwon JH. 2010. The comparative effect of steaming and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ri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Food Chem 119: 1012-1016. 

  29. Oh SH, Lee YS, Kim JH, Kim JH, Lee JW, Kim MR, Yook HS, Byun MW. 2006. Effect of pH on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during ${\gamma}$ -irradiation processing using sugar and sugar-glycine solutions. Food Chem 94: 420-427. 

  30. Song HP, Kim BD, Shin EH, Song DS, Lee HJ, Kim DH. 2010.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yam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7: 494-499. 

  31. Jeong J, Lee E, Kwon JH. 2001. The detection of irradiated agricultural commodities by origins with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analysi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91-295. 

  32. Jo D, Kwon JH. 2002. Characteristics of thermoluminescence and electron spin resonance and organoleptic quality of irradiated raisin and dried banana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609-614. 

  33. Kwon JH, Jeong JY, Chung HW. 2002. Thermo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minerals separated from potatoes of different origins of production. Radiat Phys Chem 63: 415-418. 

  34. Beneitez P, Correcher V, Millan A, Calderon T. 1994. Thermoluminescence analysis for testing the irradiation of spices. J Radioanal Nucl Chem 185: 401-410. 

  35. Bustos ME, Romero ME, Gutierrez A, Azorin J. 1996.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mangoes by means of ESR spectroscopy. Appl Radiat Isot 47: 1655-1656. 

  36. Raffi JJ, Benzaria SM. 1993.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foods by electron spin resonance techniques. J Radiat Steril 1: 281-304. 

  37. Engin B, Aydas C, Polat M. 2011. Detection of gamma irradiated fig seeds by analysing electron spin resonance. Food Chem 126: 1877-18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