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6, 2012년, pp.418 - 423
서진석 (국립산림과학원) , 김종인 (국립산림과학원) , 황성욱 (국립산림과학원) , 박상범 (국립산림과학원)
원통형 단판적층재(LVL)의 구조재 이외의 공예재 등의 용도개발을 위하여 원통형 단판적층재의 내수접착성과 도장처리에 따른 내마모성 및 표면경도를 측정하였다. 레조시놀 수지와 경화제(paraformaldehyde)를 100 : 5의 혼합비로 하여 접착 경화한 원통형 단판적층재의 전체적인 접착층에 대한 삶음박리 접착력은 양호한 편이었다. 내마모성은 횡단면이 접선단면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접선단면에 자외선 차단 오일을 도장 처리한 경우 내마모성이 향상되었다. 표면경도는 횡단면의 경우, 낙엽송 중심재가 라디에타소나무 단판적층 부위보다 높았고, 접선단면의 경우에는 접착층 부위가 단판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In order to develop the end use of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LVL) such as wooden crafts, the water proof-bonding strength, the resistance to abrasion and the surface hardness by painting the surface of LVL were investigat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water proof-bonding str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단판적층재란? | 단판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는 로터리레이스 또는 슬라이서 등에 의해 절삭한 단판을 섬유 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적층하여 접착한 재료로서 주로 일반재와 구조용재로 쓰인다. 단판적층재는 그 특징이 치수안정성이 좋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재료간의 변이성이 적어 예측 가능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 |
단판적층재의 특징은? | 단판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는 로터리레이스 또는 슬라이서 등에 의해 절삭한 단판을 섬유 방향으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적층하여 접착한 재료로서 주로 일반재와 구조용재로 쓰인다. 단판적층재는 그 특징이 치수안정성이 좋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재료간의 변이성이 적어 예측 가능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산 중․소경재를 고부가 가치화 시켜 활용할 수 있는 유효한 방안 중 하나이다(오, 2011). | |
원통형 단판적층재의 개발과 관련한 국내 연구 사례는? | 5 mm 이하로 줄임으로써 파괴계수와 탄성계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Berard 등, 2011b ).국내에서는 중공형 단판적층 원통 기둥재와 유사한 형태로서 원목의 중심부를 환삭 가공하여 중공(中空) 구조의 “스킨팀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실대 재의 중공가공기계 개발과 스킨팀버의 열기건조기술, 약제주입처리기술, 내력구조부재 개발 및 생활용품․산업용품류의 시제품 개발이 이루어졌다(이등, 2011). |
강춘원, 김남훈, 김병로, 김영숙, 변희섭, 소원택, 여환명, 오승원, 이원희, 이화형. 2008. 신고 목재물리 및 역학. 향문사: 308-307.
이남호, 김광철. 2011. 스킨팀버 제조기술 및 용도개발. 산림청.
한국표준협회. 2004. 목재의 경도시험 방법. KS F 2212.
한국표준협회. 2008. 천연무늬목 치장 마루판-내마모성 시험 방법. KS F 3111.
홍순일. 1999. 상대습도 변동하의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단판적층재 Drift Pin 결합부의 크리프 변형 거동. 임산에너지 19(2): 84-91.
Berard, P., P. Yang, H. Yamauchi, K. Umemura, and S. Kawai. 2011. Modeling of a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I: mechnical properties of hinoki (Chamaecyparis obtusa) and the reliability of a nonlinear finite elements model of a four-point bending test. J Wood Sci 57: 100-106.
Berard, P., P. Yang, H. Yamauchi, K. Umemura, and S. Kawai. 2011. Modeling of a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II: a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butt joint. J. Wood Sci. 57: 107-113.
Hata, T., K. Umemura, and S. Kawai. 1998. Continuous manufacturing of cylindrical-LVL by using "spiral-winding method". 47rd Annual meeting of Japan wood research society: 92-95.
Hata, T., K. Umemura, H. Yamauchi, A. Nakayama, S. Kawai, and H. Sasaki. 2001. Design and pilot production of a "spiral-winder" for the manufacture of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J. Wood Sci. 47: 115-123.
Inaba, D., M. Morita, H. Nakano, A. Takenaka, and S. Kawai. 2003. Continuous manufacture of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53rd Annual meeting of Japan wood research society: 19-20.
(財)日本合板檢査會. 2003. 構造用單板積層材の日本農林規格.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