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래버린스 위어를 이용한 침사지 내 침전효율 개선
Improvement of Sedimentation Rate in the Settling Basin by Labyrinth Weir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2 no.3B, 2012년, pp.153 - 159  

조훈식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여창건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환경안전연구실) ,  임장혁 (현대건설(주) 기술개발원 에코에너지부) ,  이승오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침사지 내부 수공구조물(격벽)로 사용되고 있는 둔턱을 대체하여 일반형 사다리꼴 래버린스 위어 (generic labyrinth weir)와 변형된 형태인 경사형 마루 래버린스 위어(inclined crest labyrinth weir)를 제시하였으며, 래버린스 위어 적용시 발생하는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이용하여 침사지에서 침전율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수두비 (headwater ratio) $H_t/P$, 와 확폭비(magnification ratio) L/W, 그리고 총 마루길이 당 유입유량 $q_L$을 침전효율의 주요 분석지표로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침사지 형상과 래버린스 위어를 적용한 래버린스 침사지 형상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래버린스 위어를 적용한 침사지는 확폭비 변화에 따른 전수두비의 변동이 침전효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래버린스 위어 반복배열수(N)가 2~4개 일 때 침전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회기분석을 통해 침전효율이 개선되는 유입조건 및 형상은 총 마루길이 당 유입유량이 $q_L{\geq}3.5cm^2/s$인 조건과 확폭비가 $L/W{\leq}3.5$ 인 경우 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침전효율이 개선되는 구간을 도표상으로 표현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지표를 통해 오탁수 유입량 및 침사지 소요면적 등 설계조건에 따른 적합한 침전효율을 갖는 구조적으로 최적화된 래버린스 침사지의 기초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oposed modified settling basins transformed by substituting the downstream sill for low head weirs such as generic labyrinth weir and inclined crest labyrinth weir worked as internal baffles.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insid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 m의 아크릴 직사각형 수로로 기존의 계단식 침사지를 소규모로 제작하였다. 본 실험의 목적은 실제 침사지 내 침전양상에 대해 정성적인 분석을 통한 특성파악이므로 축척효과의 영향은 배제하였다.
  • 77로 나타나 선형과 비선형의 형태가 유사한 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래버린스 위어 적용에 따른 침사효율이 개선되는지 여부와 그 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침사효율 개선의 임계치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3차 대수함수를 적용한 회기분석을 통해 변곡점을 기준으로 래버린스 위어 적용에 따른 침사효율 개선의 임계치는 7%(침사량 증가)로 판단하였으며, 침사개선 구간(그림 7 내 음영구간)을 선정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래버린스 위어를 적용한 침사지의 확폭비(L/W) 변화에 따른 침사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상사성을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실제 공사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장방형 계단식 침사지를 1/20 축적으로한 소규모 실험(pilot test)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내부 수공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기존의 침사지(CASE 1) 형태와 래버린스 침사지(CASE 2~6)형태로 구분하였다.

가설 설정

  • 규조토는 생성될 때 같이 퇴적한 점토, 모래, 화산회 등이 혼재하고 많은 수분도 함유하고 있어 실트질 모래와 같은 점착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비슷한 입경 및 비중을 지녀 본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유재영, 2000). 또한 실제 침사지 내 둔턱 및 측벽 저면에는 자갈 등의 자체여과처리 시설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수리모형실험에서는 모형수로 내 수공구조물을 통한 월류에 의해 하천으로 재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표 1은 모형 침사지 설계 조건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준설여수 중 미립자에 대한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한 이유는? 준설공사현장의 준설토 투기장 운영에 있어 일반적으로 준설토 성분 및 준설여수로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중 준설토는 별도의 분리처리과정을 통해 재활용되거나 폐기처리하고 침사지 내로 유입된 준설여수는 침사과정을 거친 후 하천으로 재배수 된다. 그러나 준설여수 중 미립자(실트 및 점토)는 일반적인 침사공정으로는 제거효율이 낮으며 하천으로 재유입되는 처리수의 탁도가 높아 2차적인 하천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사회적으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하천정비사업 중 준설토 투기장 운영에 있어, 투기장 및 침사지 부지가 협소하고 높은 공정 부하율로 인하여 침전공정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래버린스 위어는 길어진 마루길이로 인해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기존의 둔턱은 사다리꼴 형태의 광정 위어로 작용하여 월류시 수심에 따른 연직성분 유속의 변화율이 크게 발생하지만, 본 연구에서 적용한 래버린스 위어는 연직방향 유속의 변화율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전수두와 위어 높이의 비인 전수두비가 낮은 조건에서는 그 변화율이 더 적어 침전물의 재부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리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길어진 마루길이로 인해, 유입유량의 변화에 대하여 기존의 둔턱에 비해 월류수심의 변화폭이 적어 안정적으로 통수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동일한 침사지 폭에 대하여 단일 래버린스 위어의 배열 반복수를 변화시키는 실험을 통해 마루길이와 폭의 비인 확폭비와 총 마루길이 당 유입유량에 따른 대한 침사량을 분석하였다.
준설공사현장에서 침사지 내로 유입된 준설여수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하천으로 재배수되는가? 준설공사현장의 준설토 투기장 운영에 있어 일반적으로 준설토 성분 및 준설여수로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중 준설토는 별도의 분리처리과정을 통해 재활용되거나 폐기처리하고 침사지 내로 유입된 준설여수는 침사과정을 거친 후 하천으로 재배수 된다. 그러나 준설여수 중 미립자(실트 및 점토)는 일반적인 침사공정으로는 제거효율이 낮으며 하천으로 재유입되는 처리수의 탁도가 높아 2차적인 하천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진섭, 정성희, 김종범, 김재호(2007) 99mTc 추적자를 이용한 하수처리 시설 내 침전조의 정류벽 설치 유무에 따른 유체거동 변화측정. 방사선방어학회지, 대한방사선방어학회, 제32 권 제3호, pp. 117-122. 

  2. 김혜숙, 신미수, 이상일, 장동순(2001) 부유고형물질 제거를 위한 침전조 설계 연구. 200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 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245-249. 

  3. 박호상(2010) 경사형 마루 래버린스 위어의 수리학적 특성,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4. 신현철(2001) 고속응집부상분리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5. 안효원, 김정현, 권순범, 박노석(2004) 고탁도 원수대책을 위한 소규모 정수 시스템 개발, 한국수자원공사. 

  6. 유원일(2010) '4대강 사업' 현장조사 보고서, 시민환경연구소. 

  7. 유재영(2000) 규조토와 그 응용, 한국광물학회..산업광물은행. 광물과 산업, 제13권 제1호, pp. 39-50. 

  8. 이채영, 박승용, 유황룡, 강윤구, 박창욱, 배병욱(2008) 준설토 투기장의 부유토사 유출 저감방안, 2008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지반환경공학회, pp. 343-346. 

  9. 임장혁(2008) Labyrinth 위어 형상에 따른 유량계수 산정,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10. Tamayol, A., Firoozabadi, B., and Ahmadi, G. (2008) Effects of inlet position and baffle configuration on hydr. performance of primary settling tanks, J. Hydraul. Eng., Vol. 134, No. 7, pp. 1004-1009. 

  11. Falvey, H.T. (2003) Hydraulic Design of Labyrinth Weirs, ASCE PRESS. 

  12. Hay, N. and Taylor, G. (1970) Performance and design of labyrinth weirs, J. Hydraul. Eng., Vol. 96, No. 11, pp. 2337-2357. 

  13. Jamshidnia Hamidreza and Takeda Yasushi, (2009) UVP Measurement of Flow around a Baffle in a Rectangular Open Channel, Journal of Flui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 No. 3, pp. 758-774. 

  14. Lee, S.O, Sturm, T.W., Cho, Y.S., and Kim, C.W. (2007)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Flow through an oil/grit separator,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aulic Engineering and Research (IAHR), 32nd Congress, Venice, Italy, July 2007. 

  15. Lux, F. and Hinchliff, D.L. (1985) Design and construction of labyrinth spillways, 15th Congress ICOLD, Lausanne, Switzerland, IV(Q59-R15), pp. 249-274. 

  16. Rossini, M., Garrido, J.G., and Galluzzo, M. (1999) Optimization of the coagulation-flocculation treatment : influence of rapid mix parameters, Water Res., Vol. 33, No. 8, pp. 1817-1826. 

  17. Taylor, G. (1968) The performance of labyrinth weirs. PhD thesis, University of Notingham, Notingham, England. 

  18. Woo, H.S., Julien, P.Y., and Richardson, E.V. (1986) Wash load and fine sediment load, J. Hydraul. Eng., Vol. 112, No. 6, pp. 541- 5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