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지형 마늘의 농업수리학적 재배적지 분류
Water Balance-based Farmland Suitability for Southern-type Garlic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4 no.6, 2012년, pp.19 - 28  

김용완 (한국시설안전공단 수자원팀)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김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장민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환경기반공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arried out farmland suitability analysis for southern-type garlic cultivation considering soil and temperature as well as water deficit conditions. The spatial extent was limited within the area derived by Kim et al. (2012) using just soil and temperature constraints. Daily soil mois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작물의 재배지의 변화 속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보다 효과 적인 작물의 재배를 위해서는 작물의 재배적지 분석을 통한 재배지의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분석을 위하여 생육단계별 기온조건과 농촌진흥청의 토양조건 재배적지지도를 바탕으로 과거 10년간의 작물의 소비수 량과 부족수량을 격자단위의 일토양수분 모델로 모의함으로써 농업수리학적 조건에서의 재배적지를 분류하였다. 작물재배에 적합한 농업수리학적 조건을 가진 지역은 주로 호남지역과 남해안 지역에 분포하였다.
  • 작물 재배지의 선택은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재배적지를 판단하고 지역에 맞는 합리적인 조건일 때 재배지로 선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기온과 토양요인만을 고려했던 기존의 재배 적지 분석에 농업수리조건을 고려함으로써 난지형 마늘의 재배 적지 분류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작물의 재배적지 분석의 궁극적 목표는 여러 가지 적지 조건을 계량하고 포괄하여 시의성을 갖게끔 하는 것이므로 향후 자연조건을 비롯하여 작물생리적 특성, 영농편의성, 그리고 시장경 제성 등 여러 가지 차원의 조건들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과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 작물생육에 있어서 절대적인자인 물의 이용을 고려하는 것은 토양과 기온조건과 더불어 작물에 대한 영향을 엄밀히 분석하여 적지분석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난지형 마늘 재배적지 분류를 위하여 기존의 수행하였던 Kim et al. (2012)의 토양과 기온요인만의 재배적지 기준에 더하여 토양수분 물수지 평가를 통한 농업수리학적 조건을 고려하는 난지형 마늘의 재배적지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최근 10년간의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재배적지 분포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종류는 재배 기온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마늘은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는 대표적인 월동 작물인데 고추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대표적인 조미 채소로 2011년 전국적으로 재배된 면적이 24,035 ha이고, 총생산량은 295,002 ton에 달한다 (FAO, 2009). 마늘의 종류는 크게 남해안 및 제주도 등 기온이 높은 지역, 즉 신안, 무안, 해남, 고흥, 남해 등 국내 마늘 재배면적의 80 %를 차지하는 난지형 마늘과 의성, 단양 등 비교적 기온이 낮은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되는 한지형마늘로 나뉜다 (Ha et al., 2003; Shin et al.
2006년 기준으로 난지형 마늘 주산지에서 마늘 재배면적 조사 결과 신안군, 고흥군, 해남군의 재배면적은 얼마인가? 난지형 마늘 주산지의 경우 토양, 기온, 농업수리 요인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지와 적지의 면적은 해남군 20,187 ha, 고흥군 13,018 ha, 신안군 4,715 ha, 남해군 1,319 ha, 그리고 무안군 349 ha 순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Table 7). 재배면적 조사 자료를 보면 2006년을 기준으로 신안군이 3,098 ha를 재배하였고 고흥군이 2,645 ha, 그리고 해남군은 1,954 ha이었다. 적지분석 결과와 비교해보면 농업수리학적 관점에서 해남군과 고흥군에선 난지형 마늘 재배를 위한 적지가 여전히 많은 것을 알 수있다 (DATC, 2007).
2011년 우리나라 마늘의 재배 면적 및 총생산량은? 마늘은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는 대표적인 월동 작물인데 고추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대표적인 조미 채소로 2011년 전국적으로 재배된 면적이 24,035 ha이고, 총생산량은 295,002 ton에 달한다 (FAO, 2009). 마늘의 종류는 크게 남해안 및 제주도 등 기온이 높은 지역, 즉 신안, 무안, 해남, 고흥, 남해 등 국내 마늘 재배면적의 80 %를 차지하는 난지형 마늘과 의성, 단양 등 비교적 기온이 낮은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되는 한지형마늘로 나뉜다 (H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amyang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DATC), Crops Technical Information. http://damnong.jares.go.kr. Accessed 01 Oct., 2011. 

  2.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http://faostat.fao.org. Accessed 01 Oct., 2011. 

  3. Gwak, T. S., J. H. Ki, Y. E. Kim, H. M, Jeon, and S. J. Kim, 2008. A Study of GIS Prediction Model of Domestic Fruit Cultivation Location Changes by the Global Warming -Six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10(3): 93-106 

  4. Ha, J. 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Crops and Climate Elements in Korea : The Case of Early Rice, Garlic, Winter Chinese Cabbage. M.S. Thesis, Seoul, Ind.:Konkuk University. 

  5. Heo, I. H., W. T. Kwon, Y. M. Chun, S. H. Lee, 2006. The Impact of Temperature Rising on the Distribution of plant : in Case of Bamboos and Garlic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15(1): 67-78 (in Korean). 

  6. Jang, D. H. and J. H. Park, 2008. A Change on the Distribution of Kiwifruit Cultivation due to Temperature Rising in the Jeonnam Southern Coast.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5(1): 83-92 (in Korean). 

  7. Kim, H., H. J. Kim, S. M. Choi, and S. H. Lee, 2011. A GIS-based Analysis for Suitable Site of Chisandra Chinensis Cultivation -Focused on Jangsu County Forest.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1):41-47 (in Korean). 

  8. Kim, Y. J., W. Y. Lee, J. N. Kim, 2008.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3-44 (in Korean). 

  9. Kim, Y. W., S. K. Hong, and M. W. Jang, 2011. Comparison between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f Temperature Data for Garlic Cul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5): 1-7 (in Korean). 

  10. Kim, Y. W., S. K. Hong, Y. H. Kim, and M. W. Jang, 2012. Assessing Southern-type Garlic Suitability with regards to Soil and Temperature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2): 266-271 (in Korean).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2. Statistics on Agricultural Production. Http://kosis.kr. Accessed 01 Sep., 2012. 

  12. Lee, G. S., T. J. Kim, and J. M. Sim, 2007. The Selection of Suitability Area for Black Raspberry Cultivation considering GIS-Based Soil Erosion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5D): 673-678 (in Korean). 

  13. Namhae Agriculture Technologe Center (NATC), 2011. New year practical training farmers, 45-46. Namhae, Korea. 

  14. Nam, S. S., I. H. Choi, J. K. Bang, K. H. Kang, C. D. Jeong, 2008. Studies on cultivation method using large bulbils of 'Nsmdo' cultivar in Southern type garlic. Journal of Crop Science Research Collection of Writings, 9: 477-492 (in Korean). 

  15. Perera, L. K., K. Kajiwara and R. Tateishi, 1993. Land suitability assessment by GIS for paddy cultivation in SriLanka. With a concern on environmental protecti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IGARSS apos;93. Better Understanding of Earth Environment, 4: 2076-2078. 

  16. Rural Research Institute (RRI), 2005.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for Upland Crops in Jeju,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7. Shin, J. H., J. C. Ju, O. C. Kwon, S. M. Yang, S. J. Lee, and N. J. Sung,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17(3): 237-245 (in Korean). 

  18. Tran, T. D., 2006. Using GIS and AHP technique for land-use suitability analysis. International symposium on geoinformatics for spati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earth and allied scienc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