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와 치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수준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i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and Dental hygienis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1, 2012년, pp.5196 - 5205  

김미영 (경남정보대학교 간호과) ,  김영미 (부산천연가스발전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간호사와 치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2010년 9월부터 12월까지 부산, 경남지역의 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와 치위생사 399명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e test, spearman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간호사는 3.48점, 치위생사는 3.51점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 차이를 보인 항목은, '부서내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영역 중 '직원배치'(t=2.841, p<.01), '직속상관 관리 태도'(t=-2.471, p<.05), '사고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t=-3.356, p<.01)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와 치위생사에게서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경력 주당 근무시간이었다. 결론 : 간호사와 치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수준은 중간정도 수준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경력, 주당 근무시간 등이 고려된 접근과 적절한 근무시간 정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level of perception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by nurses and hygienist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0 using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questio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와 치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수준 및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인 간호사 및 치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AHRQ의 HSOPSC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사 268명과 치위생사 13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와 치위생사 두 직종의 환자문화에 대한 인식수준을 파악하여 국내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환경의 실정은? 의료 환경은 날로 발전하는 의료기술로 전문성 증가와 분업화, 정보의 과잉 속에 노출되어 있지만, 이에 반해 병원에서의 사고와 실수들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환자의 안전은 한층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1]. 더욱이 국내 의료계는 환자안전 사고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태 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Korea Consumer Agency[2]의 관련 조사에 따르면 병원사고의 1위가 안전관리소홀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병원사고의 1위는? 의료 환경은 날로 발전하는 의료기술로 전문성 증가와 분업화, 정보의 과잉 속에 노출되어 있지만, 이에 반해 병원에서의 사고와 실수들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환자의 안전은 한층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1]. 더욱이 국내 의료계는 환자안전 사고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태 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Korea Consumer Agency[2]의 관련 조사에 따르면 병원사고의 1위가 안전관리소홀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 환자안전 실례를 살펴보면, 한 해 동안 의료과실로 98,000명 정도가 사망하고 있으며, 의학적 상해는 1,500만 명에 이르며 이들의 상당수가 예방 가능한 오류라고 보고하고 있다[3].
미국 환자안전 실례를 살펴보면, 한 해 동안 의료과실로 98,000명 정도가 사망하고 있으며, 의학적 상해는 1,500만 명에 이르며 이들의 상당수가 예방 가능한 오류인데 이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미국은 증가하는 환자안전관련 문제에서 예방가능한 오류를 감소시키고자 전국 환자안전센터(International Hospital Center for Patient Safety : NCPS)의 설립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환자안전국제분류체계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 ICPS)와 환자안전국제연맹(The World Alliance for Patient Safety), 병원개선협의회(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를 조직하는 등 환자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1990년부터 지속되고 있다[1]. 반면, 우리나라는 환자안전에 대한 항목이 2004년 의료기관 평가제도에 포함되면서부터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4], 법적인 분쟁건수의 증가 추세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환자안전문화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과 현실적인 법률 보호와 같은 개선의 필요성에 의해 추진된 ‘의료사고 예방 및 피해구제에 관한 법률’이 2011년 3월 국회를 통과하여 2012년 4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 등의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S. Koh, Are patients safe in hospital?.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5(4), 567-568, 2008. 

  2. Korea Consumer Agency. Study of Medical complication about Safety supervision in hospital. http://www.kca.go.kr/ 2006. 

  3.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y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National Academy Pres, 2001. 

  4. J. H. Lee, S. I. Lee,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5(1). 9-18, 2009.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http://www.mw.go.kr/front/mw_sch/index.jsp 

  6. M. R. Kim,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1-8, 2011. 

  7. S. Bodur, E. Filiz, A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in primary healthcare service in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1(5), 348-355, 2009. 

  8. J. Jeong, Y. J. Seo, E. W. Nam,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1), 91-109, 2006. 

  9. J. H. Jeong, J. S. Koh, J. G. Park, H. D., Kim, M. G., Yoon, S. J., et al. Perceived level analysi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Radiology workers, Medical Conference Presentation Skill, 12(1), 177-184. 2009. 

  10. J. W. Lee, Y. S. Eo,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2), 759-769, 2011. 

  11. J. H. Park, Y. H. Sung, K. O. Park, Y. M. Kim, H. K. Nam, K. S. Kim,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Standard Nursing Practice Times of the Reference Nursing Activities,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17-29, 2006. 

  12. S. J. Shin, J. H. Son, Y. K. Cho, D. Y. Ryu, D. S. Ma,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 and Their Practic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7(1), 25-30. 2007. 

  13. J. H. Jang, S. L. Hwang, H. R. 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of Radiographic Safety Control and Job Stress in Dental Hygienis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0(4), 265-271. 2010. 

  14. E. J. Kang, K. H. Lee, O. J. Ju,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Safety in Dental Radiographic Room,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5(2), 83-88. 2005. 

  15. E. K. Kim, M. A. Kang, H. J. Kim,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321-334, 2007. 

  16. S. K. Kim, H. J. Lee, E. G. Oh,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57-67, 2010. 

  17. E. N. Noh, Analysis of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ospital Workfo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8. 

  18. Agency of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Publication (AHRQ,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AHRQ Publication No. 04-0041, from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rvindx.htm, 2004. 

  19. Q. Y. Je,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07. 

  20. K. H. Lee, Y. S. Lee, H. K. Park, J. O. Rhu, I. S. Byun,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04-214, 2011. 

  21. J. H. Choi, K. M. Lee, M. A. Le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2010. 

  22. J. H. Park, Y. H. Sung, K. O. Park, Y. M. Kim, H. K. Nam, K. S. Kim,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Standard Nursing Practice Times of the Reference Nursing,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17-29, 2006. 

  23. M. H. Nam, The Cognition Level on the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in Bus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Busan, 2010. 

  24. M. A. Kang, J. E. Kim, G. A. Ahn, E. Kim, S. H. Kim, Physician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ly culture and medical error report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stration, 15(5), 110-135, 2005. 

  25. M. H. Carmel, L L. Kate,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8(4), 281-286, 2006. 

  26. A. W. Wu, S. Folkman,S. J. Mcphee, B. Lo. Do house officers learn from their mistakes?, Journal of America Medical Association, 265, 2089-2094, 1991. 

  27. Y. J. Lee,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11. 

  28. K. J. Hwang, G. S. Lee, S. H. Kim, J. S. Lee, K. O. Lee, S. M. You, et al. Adjustment of Proper Shift hours by improving the nursing reporting syste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1), 5-33, 2001. 

  29. S. K. Kim, H. J. Lee, E. G. Oh,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57-67, 2010. 

  30. P. J. Pronovost, B. Weast, C. G. Holzmueller, B. J. Rosestein, R. P. Kidwell, K. B. Haller,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2, 405-410,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