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향후 방향
Current Trends and Future-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1, 2012년, pp.5229 - 5237  

송창순 (전남과학대학,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업치료사의 환자중심훈련(patient-centered practice)은 치료사에게 환자와 그 가족의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환자의 기능부전을 찾아야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검사 및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사용빈도 및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평가에 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하는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6명이었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평가관련 정보,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내용, 성인 평가도구 및 아동평가도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6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일 환자 수는 10인 이상 15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평가는 20분 이상 4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환자 재평가 주기는 1개월과 기능적 차이가 보일 때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신경계 관련 도구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은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한 평가도구는 '상지운동기능'은 JHFT, '인지 및 지각'은 MMSE-K, '일상생활동작'은 MBI, '작업수행'은 COPM이 가장 많았다.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는 '인지-지각 평가도구'는 MVPT,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는 Wee-FIM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도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울.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의 사용빈도와 그 평가도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사항을 알아볼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수행할 때 환자수행중심 평가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cupational therapist is required for patient-centered approaches to actively seek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clinical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trends and to suggest future-oriented view of examination and assessment used by neur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종류 및 영역별 평가도구 선택 시 고려사항을 성인과 아동으로 분리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적절한 교육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만들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그를 바탕으로 환자중심 치료를 위한 환자중심 평가를 제언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여 각각 주로 사용하는 평가도구를 조사하였고, 그 평가도구들을 선택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하였는지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 평가도구를 선택할 때 성인과 아동의 차이 없이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중추신경계질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면허증 소지자를 신경계작업치료사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총 6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기술통계를 적용하여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유형 별 사용빈도, 백분율 등을 분석하였다.
  • 국내에서는 평가도구에 대한 인식 및 교육 부족과 정확한 사용 매뉴얼에 대한 지식부족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적절한 교육의 밑거름이 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만들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그를 바탕으로 환자중심 치료를 위한 환자중심 평가를 제언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적 접근법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신경계질환자의 장애와 관련된 손상 혹은 기능적인 제한을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검사하고 평가하는 것은 작업치료적 접근법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정확하고 적절한 평가를 위해서는 수행중심검사도 필요하지만, 환자중심검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작업치료사가 환자관리의 첫 단계에 체계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이유는? 작업치료사는 적절한 임상적 추론과 작업치료적 지식에 기초하는 임상적 의사결정을 충분한 정보를 얻은 후에 시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작업치료사는 환자의 문제와 그에 적합한 작업치료적 내용을 선택하기 위하여, 환자관리의 첫 단계에 체계적인 검사(examination)를 수행한다[1].
작업치료사의 핵심적인 업무는 무엇인가? 적합한 검사를 위하여, 작업치료 분야에서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크게 환자나 그 보호자에 의한 직접적인 자가보고(self-report)형식과 환자가 수행하는 것을 작업치료사가 관찰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수행중심(performancebased)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1]. 작업치료사의 핵심적인 업무 중 하나는 환자와 그의 가족의 관점을 포함하고 실제 환자의 생활환경에서 그들이 수행하는 작업수행력을 평가하는 환자 중심 치료(patient-centered approach)이 다[4]. 즉 자기보고방식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 환자의 독립적인 수행여부 뿐만 아니라, 환자의 가정 환경 및 지역사회의 참여 수준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 V. Radomski,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ed.", pp1-55, Churchill Livingstone, 2010. 

  2. J. Cremeens, C. Eiser, and M. Blades, "Characteristics of health-related self-report measures for children aged three to eight yea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Qual Life Learning Disabl, 15(4):739-754, 2006. 

  3. J. Kramer, P. Bowyer, J. O'Brien, et al., "How interdisciplinary pediatric practitioners choose assessments", Can J Occup Ther, 76(1), 56-64, 2009. 

  4. T. Brown, S. Rodger, A. Brown, et al., "A profile of Canadia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Occp Ther Health Care, 21(4):39-69, 2007. 

  5. G. Weinstock-Zlotnick and J. Hinojosa, "Bottom-up or top-down evaluation: Is one better than the other?", Am J Occup Ther, 58(5), 594-599, 2004. 

  6. S. Rodger, G. T. Brown, and A. Brown, "Profile of pa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Australia", Aus Occup Ther J, 52(4):311-325, 2005. 

  7. C. Kisner, and L. A. Colby, "Therapeutic exercise", pp4-19, DavisPlus, 2008. 

  8. S. Y. Park, and E. Y. Yoo, "The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 Kor Occup Ther, 10(2):99-108, 2002. 

  9. E. Y Yoo, M. Y. Jung, S. Y. Park, et al., "Current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J Kor Occup Ther, 14(3):27-37, 2006. 

  10.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Am J Occup Ther, 56:609-639, 2002. 

  11. M. Law, C. Baum, and W. Dunn,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pp10-51, Slack, 2001. 

  12. J. Fricke and S. Darzins, "Meas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upporting best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Aus Occup Ther J, 53(3):246, 2006. 

  13. H. Marsh, G. Richards, S. Johnson, et al.,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hychometric properties and a multitrait-multimethod analysis of relations to existing instruments", J Sport Exer Psycho, 16(3):270-305, 1994. 

  14. W. Cools, K. Martelaer, C. Samaey, et al., "Movement skill assessment of typically developing preschool children: A review of seven movement skill assessment tools", J Sport Sci Med, 8:154-168, 2009. 

  15. D. Green and B. N. Wilson, "The importance of parent and child opinion in detecting change in movement capabilities", Can J Occup Ther, 75(4): 208-219, 2008.. 

  16. N. Dunn, N. Shields, N. Taylor,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percep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Phys Occup Ther Pediatr, 27(3), 55-71, 2007. 

  17. C. Missiuna and N. Pollock, "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in young children", Can J Occup Ther, 67(2), 101-109,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