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전도 측정을 위한 밀착 의복 연구 -패턴 축소 및 주관적 평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ight-fitting Upper Clothing for Measuring ECG -A Focus on Weft Reduction Rate and Subjective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11, 2012년, pp.1174 - 1185  

정연희 (군산대학교 의류학과) ,  양영모 (을지대학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tight-fitting upper clothing to measure electrocardiography (ECG) dat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lasticity of the clothing, we made 4 experimental clothes by applying to each a weft reduction rate of 40%, 50%, 60%, and 70%. The 4 experimental clothes were used to measur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축소율이 다른 밀착 의복의 주관적 착용감 평가 및 인체 착의 시의 의복압 등을 고찰하여 심전도 측정이 용이하며 착용감이 좋은 패턴 축소율을 제안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실험에서는 가로방향 패턴 축소에 따라 의복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직물 센서 위치에서 의복압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공기 주입식 의복압 센서 AMI 3037-2(AMI Techno, Co, Ltd, Korea)였으며, 피험자 착의 시와 드레스 폼(YA5, new bletas men's: KIIYA CO.
  • 이는 가슴 부위가 심장과는 위치적으로 더 가까우나 가슴 형태는 사람마다, 체형마다 다양한 반면, 상복부는 대체로 그 형태가 둥글고 안정적이어 심전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얻을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원단 신장률을 고려한 패턴 축소 시 가슴 부위 센서는 가슴 형태에 의해 쉽게 들뜰 것으로 예측되어 가슴 부위와 가슴 아래 부위에 센서를 삽입한 후 예비실험을 통해 센서위치를 확정하고자 하였다. [Fig.
  • 본 연구는 심전도 획득 밀착 의복에 있어 의복의 단계적 축소가 생체신호 측정에 어느 정도 유리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제작된 밀착 의복의 주관적 착의 평가와 의복압을 측정하여 기능성과 착용감이 확보된 심전도 측정 의복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심전도 획득 밀착 의복에 있어 의복의 단계적 축소가 생체신호 측정에 어느 정도 유리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제작된 밀착 의복의 주관적 착의 평가와 의복압을 측정하여 기능성과 착용감이 확보된 심전도 측정 의복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피험자가 성인 남성 1인에 의해 수행되어 밀착 의복에 대한 착의평가에 한계가 있었으며, 밀착성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의복 개발을 위해 의복을 단계 별로 축소함과 아울러 다수의 피험자에게 정자세와 동작 시, 동작 후 회복 시의 심전도를 측정하고, 축소율이 다양한 의복에 대한 착의평가를 수행하여 심전도 측정이 유리한 최적 패턴 축소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생체정보 획득용 밀착 의복 패턴(Jeong et al., 2010)을 기본 패턴으로 활용하여 이를 단계별로 축소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함에 있어 어느 정도 의복을 축소하였을 때 심전도 측정이 유리한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빙 트렌드와 IT 산업의 발달은 어떤 필요성을 급증시켰는가? 웰빙 트렌드와 IT 산업의 발달은 실시간 생체신호 감지 모니터링이 가능한 기능성 융합(fusion technology) ‘생체신호 감지용 의류 제품’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급증시키고 있다. 이는 주 5일제에 의한 레저인구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 및 노인인구의 급증 등과 같은 새로운 의생활 환경의 변화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연구에 사용된 원단이며 밀착 의복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원단은? 연구에 사용된 원단은 82% Nylon, 18% Polyurethane의 jersey였으며, 인라인 스케이트복, 잠수복, 스케이트복 등 밀착 의복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원단이었다. 원단의 신장률은 Ziegert and Keil(1988)이 제안한 ASTM D259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원단의 신장률은 식서방향 18%, 푸서방향 32%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H. K., Song, H. Y., Cho, H. S., Goo, S. M., & Lee, J. H. (2010). A study on the design of functional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3), 467-474. 

  2. Cho, J. Y., Jang, S. Y., & Cho, G. S. (2007). Effect of fabric elasticity on performance of textile-based ECG-monitoring smart wea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Spring Conference, Korea, 18, 39-41. 

  3. Coyle, S., Wu, Y., Rossi, D. D., Diamond, D., Lau, K T., & Wallace, G. (2007). Smart nanotextiles: A review of materials and applications. MRS Bulletin, 32(2), 434-442. 

  4. Hassonjee, Q., & Armitage, R. (2007, June). Commercializing health monitoring system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aper presented at the 4th International Avantex-Symposium, Frankfurt. 

  5. Jeong, J. H., Ryu, J. H., Cho, J. H., & Kim, H. J. (2009). The study for seamless garment design for detection of precordial leads of electrocardiograph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Fall Conference, Korea, 20, 202-205. 

  6. Jeong, Y. H. (2006a). 2D pattern development of tight-fitting bodysuit from 3D body scan data for comfortable pressure sens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3), 481-490. 

  7. Jeong, Y. H. (2006b). Pattern development of tight-fitting pants for men using measurement of Size Korea 2004.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5), 791-802. 

  8. Jeong, Y. H., Kim, S. H., & Yang, Y. M. (2010). Development of tight-fitting garments with a portable ECG monitor to measure vital sig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 112-125. 

  9. Kim, J. D., Kim, K. J., Chung, G. S., Lee, J. H., Ahn, J. H., & Lee, S. G. (2010). The mobile health-care garment system for measurement of cardiorespiratory signal. The KIPS Transactions: Part A, 17-A(3), 145-152. 

  10. Kim, S. H. (2009). 유헬스를 위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기술 [Vital sign information monitoring technology for u-healthc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26(8), 3-7. 

  11.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6).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2050 based on the 2005 census. Seoul: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12.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2).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사업보고서 [The 6th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Gwachun: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13. Lee, H. Y. (2006). Evaluation of wear efficiency and subjective wear sens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s of smart clothing for the measurement of vital sig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6), 1037-1047. 

  14. Linz, T., Vieroth, R., Dils, C., Koch, M., Braun, T., Becker, K. F., Kallmayer, C., & Hong, S. M. (2008). Embroidered interconnections and encapsulation for electronics in textiles for wearable electronics applications.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60, 85-94. 

  15. Moon, H. S., Cho, H. S., Park, S. H., Lee, J. H., Cha, K. C., Shin, S. Y., & Jung, H. I. (200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lthcare smart clothing for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3), 383-391. 

  16. Park, H., Hong, K., Kim, S. H., & Shin, S. S. (2007).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garment apparatus to measure vital sign of ECG for u-health c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2), 292-299. 

  17. Rienzo, D. M., Rizzo, F., Meriggi, P., Bordoni, B., Barmbillia, G., Ferratini, M., & Castiglioni, P. (2006). Applications of a textile-based wearable system for vital signs monitoring. Proceedings of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the, 28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USA, 2223-2226. 

  18. Shin, S. C., Rye, C. Y., Kang, J. H., Nam, S. H., Son, Y., Lim, T. G., Lee, J. W., Park, D. G., Kim, S. H., & Kim, Y. T. (2004). Realization of an e-health system to perceive emergency situations.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Spring Conference, Korea, 31(1B), 322-324. 

  19. Ziegert, B., & Keil, G. (1988). Stretch fabric interaction with action wearables: Defining a body contouring pattern system.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4), 54-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