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특산식물 변산바람꽃 자생지의 환경 특성과 식생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the Natural Habitats of Korean Endemic Plant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0 no.2, 2012년, pp.90 - 97  

김현지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정혜란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구자정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최경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광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조도순 (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 Sun)의 분포현황 및 서식지에 대한 생태적 특성과 식생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생식물을 활용한 자원화 및 보전과 복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7월까지 변산, 여수, 거제, 울산, 경주, 제주, 안양 등 7개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각 지역에 $1m{\times}1m$의 방형구를 총 59개 설치하고 방형구 내에 분포하는 모든 종의 피도와 빈도를 기록하였고, 상층부 교목의 우점종을 기록하고 서식지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변산바람꽃은 해발 84m~585 m 사이에 분포하였고, 총 59개 방형구 중 43개의 방형구가 북동사면에 위치하였다. 또한 경사 $10{\sim}20^{\circ}$의 계곡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분석결과 유기물은 평균 9.6%, pH는 4.9로 대부분 약산성이며 토양수분함량은 평균 16.5%로 나타났다. 고도에 대해 경사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도가 낮아질수록 경사가 완만해지며, 토양은 산성을 띄는 경향을 보였다. pH와 토양수분 함량, 변산바람꽃의 분포와 유기물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분이 풍부하고,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59개 방형구에서 144개 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서식지 주변의 교목으로서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비목나무, 서어나무 등이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의 자생지 보전 및 복원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변산바람꽃을 활용한 분화용 소재개발 및 재배 시 최적의 서식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the natural habitats of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this Korean endemic pla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yang, Byeonsan, Geoje, Gyeongju, Je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자생식물의 증식과 품종개발을 위한 연구는 산개나리(김 2008), 노각나무(심 등 1992), 노루귀(임과 상 1990) 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인 변산바람꽃의 서식지 환경과 그 특성을 알고, 자생식물을 이용한 자원화에 필요한 재배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보전∙복원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산바람꽃은 무엇인가? Y. Sun)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한국특산 식물이다. 전북 부안군 내변산의 세봉계곡 해발 100~200 m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남한의 설악산, 내장산, 거제도, 제주도 등에서 추가적인 자생지가 확인되었다(오 등 2010).
변산바람꽃은 처음 발견된 장소는 어디며, 확인된 자생지는 어디인가? Sun)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한국특산 식물이다. 전북 부안군 내변산의 세봉계곡 해발 100~200 m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남한의 설악산, 내장산, 거제도, 제주도 등에서 추가적인 자생지가 확인되었다(오 등 2010). 물이 얕은 계곡 전석지에 10내지 20개체씩 집단으로 생육한다.
변산바람꽃이 약관심종(LC)으로 분류된 이유는 무엇인가? Oh)과 유연관계가 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오와 지 2009). 변산바람꽃은 비교적 최근에 알려진 종으로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 보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약관심종(LC)으로 분류되었다(산림청 2008). 비교적 산지의 저지대에 분포하고, 내한성이 강해 이른 봄에 개화하며, 식물체에 비해 꽃이 커 자생식물을 이용한 봄철 분화용 소재개발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대신. 서울. 

  2. 김귀순. 2008. 보호식물 산개나리의 자생환경조사 및 삽목증식. 한국 식물, 인간, 환경학회지. 11:27-34. 

  3. 김준민, 김석준. 1985. 관악산 남사면과 북사면의 식피의 비교연구. 한국생태학회지. 8:81-87. 

  4. 김지연, 이종석. 1998.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Sw.) 자생지의 생육환경에 관하여. 원예과학기술지. 16:30-32. 

  5. 노 일, 문현식. 2004. 히어리 군락의 입지특성과 식생구조분석. 농업과학연구. 38:41-51. 

  6.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7. 산림청, 국립수목원. 2008. 한국의 희귀식물목록집. 지오북.서울. 

  8. 선병윤, 김철환, 김태진. 1993. 한국산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변산바람꽃. 식물분류학회지. 23:21-26. 

  9. 심경구, 서병기, 이규완, 조남훈, 심상철. 1992. 한국자생 노각 나무에 관한 연구. 원예과학기술지. 33:413-424. 

  10. 안영희. 2003. 제주도 자생 황근 분포와 자생지 생태적 특성. 원예과학기술지. 21:440-446. 

  11. 오병운, 조동광, 고성철, 최병희, 백원기, 정규영, 이유미, 장창기. 2010.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300. 국립수목원. 포천. 

  12.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국립수목원. 포천. 

  13. 오병운, 지성진. 2009. 풍도바람꽃: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식물분류학회지. 39:86-88. 

  14. 유기억, 이우철, 오영주. 1999.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12-323. 

  15.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 2004a. 미선나무 자생지의생육특성과 환경특성간의 상관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10-220. 

  16. 유주한, 조흥원, 정성관, 이철희. 2004b.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82-391. 

  17. 윤충원, 홍성천. 2000. 금강송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정량적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3:281-291. 

  18. 이규송, 조도순. 2000. 점봉산 생물권 보전지역내 온대낙엽수림에서 미소환경요인과 식생요인의 공간분표와 상관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3:255-266. 

  19. 이상태. 1997.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북. 서울. 

  20. 이유미, 조동광, 정수영, 장정원, 오승환, 양종철, 유혜선.2009. 식별이 쉬운 나무 도감. 지오북. 서울. 

  21. 이창복. 199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2. 이창복. 2006.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3. 이창석, 이안나. 2003.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6:143-150 

  24. 이호준, 배병호, 정흥락, 전영문, 홍문표. 1999.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35-50. 

  25. 임진희, 상채규. 1990. 노루귀 (Hepatica asiatica Nakai) 재배화를 위한 자생지 생육환경에 관하여. 원예과학기술지.31:81-89. 

  26. 장수길, 천경식, 정지희, 김진수, 유기억. 2009. 모데미풀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식생.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7:314-322. 

  27. 정진현, 구교상, 이충화, 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94-700. 

  28. 천경식, 장수길, 이우철, 유기억. 2009. 개느삼의 분포와 자생지 환경특성. 식물분류학회지. 39:254-263. 

  29.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30. 한종원, 이가형, 양선규, 강신호. 2010. 한라산 모데미풀(미나리아재비과) 자생지 분포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179-186. 

  31. Allen SE. 1989. Chemical Analysis of Ecological Materials (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32.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pp. 155-229. 

  33.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325- 349. 

  34. Buell MF, AN Langford, DW Davidson and LF Ohmann. 1966. The upland forest continuum in northern New Jersey. Ecology 47:416-432. 

  35. Cox GW. 1972.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pp. 232. 

  36. Fitzpatrick EA. 1986. Soils: their Form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Longman Science & Technical. Essex, England and New York, N.Y. 

  37. Hasiao TC. 1973. Plant responses to water stress. Ann. Rev. Plant Physiol. 24:519-570. 

  38. Herlbert SH. 1971. The nonconcept of species diversity: a critique and alternative parameters. Ecology 52:577-586. 

  39. Jones AH and NC Turner. 1978. Osmotic adjustment in leaves of sorghum in response to water deficits. Plant Physiol. 61: 122-126. 

  40. Morgan JM. 1984. Osmoregulation and water stress in higher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35:299-319. 

  41.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Illinois. 

  42.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43. Whittaker RH. 1967.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Biol. Rev. 49:207-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