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주시 성황림(城隍林) 식생분포 현황 및 24년간(1986~2010년) 변화분석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Change for Twenty Four Years(1986~2010) of Seunghwanglim(Forest), Wonju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5, 2012년, pp.741 - 757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최진우 (도시생태학연구센터) ,  노태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주시 성황림을 대상으로 식생분포 현황을 규명하고 24년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성황림의 보전 및 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존식생 조사 결과 전체 면적 $56,231m^2$ 중 졸참나무림(7.02%), 복자기림(5.71%) 등의 낙엽활엽수림과 소나무림(6.4%)이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평지림의 수종 현황은 교목 34종, 아교목 65종, 관목 70종으로 전체 88종이 분포하였으며, 교목 500개체, 아교목 1,102개체가 생육하고 있었다. 주요 수종의 평균상대 우점치는 느릅나무(15.6%), 복자기(15.2%), 소나무(11.1%), 졸참나무(9.8%)이었고, 복자기와 느릅나무가 비교적 다양한 직경급으로 생육하고 있었다. 24년간 변화분석 결과 성황림은 과거 졸참나무-복자기군집에서 느릅나무-복자기군집으로 변화하였으며, 흉고직경 30cm 이상 대경목은 총 18종 166주로 조사되어 과거보다 63주가 증가하였다. 과거 무분별한 이용으로 훼손되었던 성황림은 1990년 이후 경계부에 펜스 설치 등 인간의 출입통제 조치를 한 후 아교목층 및 관목층의 발달과 교목층의 대경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훼손된 생태계가 차츰 복원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성황림의 보전과 보호에 있어서 성황림 고유의 생태계를 교란할 가능성과 자생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까시나무, 은사시나무, 밤나무, 칡 등 외래식물과 덩굴식물의 관리가 필요하고 변화 상태를 모니터링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d targeted the Seunghwanglim of Wonju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est vegetation's present condition. And then we compared the change in vegetation of Seunghwanglim for 24year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ual vegetation as a result of i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황림 내 온대 낙엽활엽수림을 지속적으로 보전 및 복원하기 위한 식생분포 현황의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고 Lee et al.(1987)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24년간 변화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성황림의 보전 및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실시하였다.
  • , 2007), 2010년 9월 1일부로 성황림 주변지역이 국립공원에서 해제되면서 주변 지역에 대한 훼손 및 개발 압력이 높아져 이에 따른 관리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황림 내 온대 낙엽활엽수림을 지속적으로 보전 및 복원하기 위한 식생분포 현황의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고 Lee et al.(1987)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24년간 변화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성황림의 보전 및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랫당숲이 천연기념물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엇인가? 과거 성황림 중 천연기념물 제92호였던 아랫당숲은 1972년의 수해로 말미암아 대부분이 유실되고 일부의 노송들만 남아 있는 실정으로 천연기념물에서 제외되었으며, 윗당숲 제93호인 성황림은 관리소홀로 점차 훼손되는 과정을 거쳐 5/6는 훼손되어 이미 사라졌고, 1/6정도만이 천연기념물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Kim, 2007).
성황림은 어떤 숲인가? 치악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 성황림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에 위치하는 보존이 잘 되어있는 전형적인 온대 낙엽활엽수림대가 특징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숲이다. 성황림의 ‘성황’은 서낭의 원말로 서낭신이 있는 숲, 마을을 지키는 혼령을 모신 집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성황림의 현존식생 분석결과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에 위치한 성황림의 현존식생 분석결과 총 20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총 면적은 58,674㎡이었다. 이 중 수림지가 86.24%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자연하천 8.21%, 대상지 중심을 가로지르는 도로가 2.44%로 분포하고 있었다. 수림지는 졸참나무림(29.0%), 층층나무-산뽕나무림(21.52%)와 소나무림(12.81%)의 분포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었고, 대상지를 대표하는 특이식생으로 대경목의 복자기림, 복자기-느릅나무림이 6.94%로 대상지 중심 서낭당 주변으로 분포하였다. 수계를 포함하고 있는 대상지 특성상 층층나무-산뽕나무림, 물푸레나무림, 버드나무림이 23.43%로 비교적 넓게 나타나고 있으며 외래종으로 아까시나무-산뽕나무림(1.25%), 은사시나무림(0.19%)이 분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G.J. and G.T. Kim(1999)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Kor. J. Env. Eco. 13(1): 6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J.U. and D.Y. Kim(2000)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servation condition of rural community forests as cultu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3): 51-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J.U., D.Y. Kim, S.H. Lee and S.G. Kim(2007) Perspectives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status of the Dangsan forests in Sungnam-ri, Wonj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3): 82-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5. Frissell, S.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s. J. For. 76: 481-483. 

  6. Han, B.H., J.W. Choi, T.H. Noh, H.S. Kim and K.J. Lee(2011)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Change for Twenty Four Years(1986-2010) of Seunghwanglim, Wonju. Pro. Kor. Soc. Env. Eco. Con. 21(2): 90-94. (in Korean) 

  7. Han, B.H., J.Y. Kim and H.S. Cho(2004) Ecological management of Sangnim woods in Hamyang-gun, Korea by Analysis of Ecological Structure. Kor. J. Env. Eco. 17(4): 324-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G.T.(2007) Ecological changes of Seunghwanglim - Natural Monument No. 93 - Wonju Seungnamri. Kor. J. Env. Eco. 21(6): 559-5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H., J.Y. Yun and S.H. Yoo(1995) Distribution of Cs-137 and K-40 in Korean soils. J. KOREAN SOC. SOIL SCI. FERT. 28(1): 33-40. 

  10. Lee, K.J., J.O. Kim and B.H. Han(2005)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for fifteen years(1990-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san, Seoul. Kor. J. Env. Eco. 19(3): 312-3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K.J., J.S. Kim, J.W. Choi and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K.J., J.W. Choi, W.K. Choi and B.H. Han(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for fifteen years(1989-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 188-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J., K.K. Oh and G.T. Kim(1987) Management methods for mountain landscape resources of national park and provincial park(II) Chiak national park Seonghwoanglim(Wonsunggun) - Natural Monument No. 93 -. National Park 36: 18-22. (in Korean) 

  14. Lee, K.J., K.S. Ki and J.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208-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Nam, Y.H. and Y.H. Yoon(2002) The change and preservation of village forests viewed from historical backgroun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2): 23-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0) A study on the status of natural monument forest in 2010. 636pp. (in Korean) 

  17. Shin, H.T. and S.G. Park(2008) An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study for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devastated -Damage and management plan of imported organism in Japan's Ogasawara island-.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2): 123-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Wonju(2005) Fifty years(1955-2005) history of Wonju city. Wonju, 1,127pp. (in Korean) 

  19. Wonju(2009) 2015 management plan for Wonju. Wonju, 243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