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윗 감정 분류를 위한 다양한 기계학습 자질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Machine-learning Features for Tweets Sentiment Class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12, 2012년, pp.471 - 478  

홍초희 (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전공) ,  김학수 (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서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감정 분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트윗 감정 분류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트윗의 구조, 이모티콘, 철자 오류 그리고 신조어와 같은 트윗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다양한 자질을(이모티콘 극성, 리트윗 극성, 사용자 극성, 대체 어휘)사용하여 실험하여 트윗 감정 분류 성능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기계 학습기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반의 감정 분류 실험으로 이모티콘 극성 자질과 사용자 극성 자질이 트윗 감정 분류 모델의 성능 향상에 기여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여 리트윗 극성과 대체 어휘 자질은 트윗 감정 분류 모델에 큰 영향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studies on sentiment classification of documents have been performed. Recently, they have been applied to twitter sentiment classification. However, they did not show good performances because they did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weets such as tweet structure, emoticons, spelling 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 사용자 극성 자질은 특정 현상에 대해서 각 사용자가 작성한 트윗 전체에 대하여 감정을 판별하고 자질로 사용함으로써 감정 분류 시스템 성능 향상이 있었으나, 학습 데이터에 입력된 사용자 극성이 없는 경우는 사용자 극성 자질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체 어휘 자질에 대한 감정 분류 실험은 자의적인 문법 오류 때문에 많은 미등록어가 발생되어 추출 할 수 있는 자질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그러나 문자 사이의 유사도만을 사용하여 선택된 대체 어휘 자질은 감정 분류 성능에 큰 영향이 없었다.
  • 트윗 데이터의 감정 분류 연구는 높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트윗 데이터의 특징 때문에 높은 성능의 감정 분류 시스템 구현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위하여 트윗 데이터의 특징을 활용하여 다양한 내부 자질 적용하고 감정 분류 모델 구현하였다. 그리고 각 모델 성능 비교 실험으로 적용된 자질이 감정 분류 모델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데이터의 다양한 내부자원을 활용하여 감정 분류 시스템 구현하고, 성능 비교 실험으로 트위터 데이터 감정 분류를 위한 적합한 내부 자질 활용을 소개 한다.
  • 따라서 형태소 오분석을 보완하는 연구나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질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석기의 오분석을 보완할 수 있는 자질 적용 방법을 소개한다.
  • 본 논문의 목적은 기계학습 모델의 구현이 아니라 트윗 감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자질들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서 분류에 좋은 성능을 보이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기준 모델로 선택하여 트윗 감정분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16]. 실험 결과를 평가가기 위해서는 10배 교차 검증(10-fold cross validation)으로 진행하였으며, 재현률(recall), 정확률(precision), 정밀도(accuracy), F1-척도(F1-measure)를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 그러나 이모티콘은 특별한 형식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감정 분류 시스템의 자질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이모티콘에 많이 사용되는 몇 가지의 문자와 영어권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극성을 부여한다[7]. [표 2]는 이모티콘의 감정 극성을 판별하기 위한 긍정 문자와 부정 문자를 나타낸다.

가설 설정

  • 두 번째 실험 자질은 리트윗 극성이다. 리트윗 극성 자질은 트윗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글을 리트윗 할 때 리트윗 된 트윗의 감정과 리트윗한 사용자의 감정이 연관성을 가진다는 가정 하에 추가한 자질이다. 우선 사용자에 의하여 처음으로 작성된 트윗을 Seed 트윗으로 정의하고, 기본 어휘 자질을 추출한 Seed 트윗과 감정 태그를 쌍으로 Seed 코퍼스를 작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 분류를 위한 연구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감정 분류를 위한 연구는 외부 자원을 활용한 방법과, 내부 자원을 활용한 방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먼저 감정 사전이나 정보검색 스니핏(snippet) 같은 외부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트위터란 무엇인가? 트위터(twitter)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와 메시지가 결합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다. 트위터 사용자들은 트윗(tweet)이라는 짧은 문구를 통하여 자신의 소식을 업데이트한다.
감정 분류를 위한 연구에서, 내부 자원을 활용한 방법이 외부 자원 활용방법에 비해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내부 자원을 활용한 방법은 음절 n-그램(n-gram)이나 슬라이딩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있다. 이 방법들은 외부 자원 활용방법보다 비용이 적게 들지만 말뭉치에 의존적이라는 단점이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 Barbosa and J. Feng, "Robust sentiment detection on Twitter from biased and noisy data," In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pp.36-44, 2010. 

  2. http://www.bloter.net/archives/74190 

  3. 홍초희, 김학수, "트윗 분류를 위한 효과적인 자질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38권, 제1호, pp.229-232, 2011. 

  4. 신준수, 김학수, "강건한 한국어 상품평의 감정 분류를 위한 패턴 기반 자질 추출 방법",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7권, 제12호, pp.946-950, 2010. 

  5. 황재원, 고영중, "감정 분류를 위한 한국어 감정 자질 추출 기법과 감정 자질의 유용성 평가", 인지과학, 제19권, 제4호, pp.499-517, 2008. 

  6. H. Cui, V. Mittal, and M. Datar, "Comparative Expe- riments on Sentiment Classification for Online Product Reviews," In Proceedings of the 21st 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Vol.2, pp.1265-1270, 2006. 

  7. L. Jiang, M. Yu, M. Zhou, X. Liu, T. Zhao, "Target-dependent Twitter Sentiment Classification," In Proceedings of the 49th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pp.151-160, 2011. 

  8. W. Wu, B. Zhang, M. Ostendorf, "Automatic Generation of Personalized Annotation Tags for Twitter Users," In Proceedings of Human Language Technologies 2010, pp.689-692, 2010. 

  9. A. Go, R. Bhayani, L. Huang, Twitter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Distant Supervision, CS224N Project Report Stanford, 2011. 

  10. 김동균, 허지용, 조지훈, 박수영, 김용혁, "기계학습 기반의 감정 트위터 봇",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38(2B)권, pp.379-382, 2011 

  11. 홍초희, 김학수, "신뢰도 높은 트윗 감정 분류를 위한 하이브리드 자질 추출 기법", 강원대학교 정보통신논문지, 제16권, pp.38-41, 2012 

  12. 박수영, 하용호, 김용혁, "트윗터 정보 검색 분야의 최근 연구들",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7권, 제2(C)호, pp.25-29, 2010. 

  13. 최맹식, 김학수, "기계학습에 기반한 한국어 미등록 형태소 인식 및 품사 태깅",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18-B권, 제1호, pp.45-50, 2011. 

  14. 심광섭, 양재형, "인접 조건 검사에 의한 초고속 한국어 형태소 분석",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1권, 제1호, pp.89-99, 2004. 

  15. Z. Xue, D. Yin, and B. D. Davison, "Mormalizaing MicroText," In Proceedings of AAAI-11 workshop on Analyzing Microtext, pp.74-79, 2011. 

  16. B. Pang, L. Lee, and S. Vaithyanathan, "Thumbs up?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Proceedings of the EMNLP, pp.79-86,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