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삼 배양근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에 미치는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 from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4, 2012년, pp.755 - 761  

남소현 (한국식품연구원) ,  이영경 (한국식품연구원) ,  홍희도 (한국식품연구원) ,  이영철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찬 (한국식품연구원) ,  신광순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조장원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산삼근의 배양이 실험실에서 가능해짐에 따라 산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삼 배양근으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산삼 배양근을 열수 추출한 뒤, 80%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하여 특성을 검토한 결과, 산삼 배양근 조다당체(WGAR-CP)의 neutral sugar 함량은 64.77%였고, uronic acid 함량은 34.32%이었다. WGAR-CP의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gluc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Uronic acid에서는 galacturonic acid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다. 한편, WGAR-CP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냈다. WGAR-CP를 0.1, 1, 10, 50, $100{\mu}g/m{\ell}$ 농도로 mouse peritoneal macrophage에 처리하여 면역자극을 유도한 후, NO 생성 및 cytokine 분비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WGAR-CP의 NO생성은 저농도에서는 유의적인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50, $100{\mu}g/m{\ell}$에서 농도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50, $100{\mu}g/m{\ell}$ 용량에서 IL-6 생성을 농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10, $50{\mu}g/m{\ell}$에서 농도 유의적으로 IL-12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WGAR-CP는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와 macrophage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WGAR-CP에 의해 활성화된 macrophage는 NO 및 IL-6, IL-12와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분비를 유도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s (WGAR). The crude polysaccharide (WGAR-CP) was isolated from WGAR by hot water extraction, ethanol precipitation, and dialysis. The major constituents in WGAR-CP were neutral sug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삼에서 분리된 다당체가 강력한 면역자극활성이 있다는 이전 연구들을 고려해 보았을 때, 산삼 배양근 다당체 역시 면역자극활성이 있을 것으로 추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삼 배양근의 다당체를 분리하여, 성분분석 및 각종 면역자극 활성 특히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면역자극활성제로서의 산삼 배양근 다당체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최근 산삼근의 배양이 실험실에서 가능해짐에 따라 산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삼 배양근으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산삼 배양근을 열수 추출한 뒤, 80%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하여 특성을 검토한 결과, 산삼 배양근 조다당체(WGAR-CP)의 neutral sugar 함량은 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삼을 산업적으로 응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약효 면에서 인삼보다는 장뇌삼이, 장뇌삼보다는 산삼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이나 임상에서 질병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산삼은 시중에서 구하기가 어렵고, 고가의 가격 때문에 산업적으로 응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최근 실험실에서 산삼의 배양근을 재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산삼의 배양근을 생산하는 방법은? 최근 실험실에서 산삼의 배양근을 재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산삼 배양근은 천연 야생 산삼으로부터 조직을 분리하여 세포괴(cellus)와 부정 근을 단계별로 유도하고, 이들 뿌리 중에서 건실한 것을 선별한 후,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45~60일 가량 배양하여 생산되고 있다(Son 등 1999). 이렇게 생산된 산삼 배양근은 야생 산삼과 매우 유사한 성분을 함유하고, 대체로 인삼보다 사포닌 함량이 높고, 인삼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약리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Jeong 등 2005).
산삼이란? 산삼은 야생(특히 산)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아하여 성장한 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약효 면에서 인삼보다는 장뇌삼이, 장뇌삼보다는 산삼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이나 임상에서 질병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itter T, Muir HM. 1962.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Anal Biochem 4:330-334 

  2.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o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350-356 

  3. Hong MH, Lim HK, Park JE, Jun NJ, Lee YJ, Cho MJ, Cho SK. 2008. The antihypertensive and vasodilating effects of adventitious root extracts of wild ginseng. J Korean Soc Appl Chem 51:102-107 

  4. Jang HI, Shin HM. 2010. Wild Panax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protects against methotrexate-induced cell regression by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s. Am J Chin Med 38:949-960 

  5. Jeong HS, Kang TS, Woo KS, Paek KY, Yu KW, Yang SJ. 2005. Effect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on the alcoholic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2:402-410 

  6. Jung YJ, Chun H, Kim KI, An JH, Shin DH, Hong BS, Cho HY, Yang HC. 2002. Purified polysaccharide activating the complement system from leaves of Diospyos kaki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879-884 

  7. Kabat EA, Mayer MM. 1965.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pp. 133-240. Thormas Publisher. Springfield, IL, USA 

  8. Kim EL, Kim CS, Lee HY, Lee HR, Kim EY, Yoon MC, Shin SS. 2012. Mountain cultivated ginseng water boiled extract decrease blood glucose level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male db/db mice. Kor J Herbology 27:69-75 

  9. Kim JW, Lee SH, No HK, Hong JH, Youn KS. 2010. Antioxidant properti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7:861-866 

  10. Kim KH, Lee YS, Jung IS, Park SY, Chung HY, Lee IR, Yun YS. 1998.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ginsan, induces Th1 cell and macrophage cytokines and generates LAK cells in synergy with rIL-2. Planta Med 64: 110-115 

  11. Kim YS, Park KM, Shin HJ, Song KS, Nam KY, Park JD. 2002. Anticancer activities of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 by activation of macrophages and natural killer cells. Yakhak Hoeji 46:113-119 

  12. Kwon MH, Sung HJ. 1997. Characteristics of immune response by polysaccharides with complement system activity. Food Sci Ind 30:30-43 

  13. Kwon SJ, Chung DK. 2004. The immune-enhancing effect of mountain grown ginseng, mountain cultivated ginseng, and Panax ginseng. J Oriental Neuropsychiatry 15:89-102 

  14. Lee SD, Okuda H. 1990. Effect of acidic polysaccharide of Korean red ginseng on lipolytic action of toxohormone-L from cancerous ascites fluid. Korean J Ginseng Sci 14:67-73 

  15. Lee YS, Chung IS, Lee IR, Kim KH, Hong WS, Yun YS. 1997. Activation of multiple effector pathways of immune system by the antineoplastic immunostimulator acidic polysaccharide ginsan isolated from Panax ginseng. Anticancer Res 17:323-331 

  16.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gent. J Biochem 193:265 

  17. Min KC, Jo JS, Kim ES. 1984. Studies on the nonstarchy polysaccharide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I.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tic substances. Korean J Ginseng Sci 8:105-113 

  18. Oh BM, Kweon MH, Ra KS. 199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s activating complement system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sculum. Korean J Food & Nutrition 7:159-168 

  19. Okuda H. 1992. Inhibitory substances in Korean red ginseng toward toxohormone-L-a toxic substance secreted from tumor cell. The ginseng review 15:34-37 

  20. Park HR, Lee MS, Jo SY, Won HJ, Lee HS, Lee H, Shin KS. 2012.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and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228-234 

  21. Ryu HS. 2011. Effects of a corn extract on mouse splenocyte and cytokine production by peritoneal macrophages. Korean J Food & Nutr 24:65-70 

  22. Satio H, Tomioka H, Sato K. 1998. PSK, a polysaccharide from Coriolus versicolor, enhances oxygen metabolism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and the host resistance to listerial infection. J Gen Microbiol 134:1029-1035 

  23. Seo YS, Shin KS. 2012. Immune system-stimulating activities of mucilag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humifus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5-102 

  24. Shin JY, Song JY, Yun YS, Yang HO, Rhee DK, Pyo S. 2002. Immunostimulating effects of acidic polysaccharides extract of Panax ginseng on macrophage function.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4:469-482 

  25. Shin KS. 2012. Immunostimulating plant polysaccharides: Macrophage immunomodulation and its possible mechanism. Food Sci Ind 45:12-22 

  26. Son SH, Choi SM, Hyung SJ, Yun S, Choi MS, Shin EM, Hong YP. 1999. Induction and culture of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and AFLP analysis for identifying mountain ginseng. Biotechnol Bioprocess Eng 4:119-123 

  27. Song JY, Han SK, Son EH, Pyo SN, Yun YS, Yi SY. 2002. Induction of secretory and tumoricidal activities in peritoneal macrophages by ginsan. Int Immunophrmacol 2:857-865 

  28. Sorimachi K, Akimoto K, Ikehara Y, Inafuku K, Okudo A, Yamazaki S. 2001. Secretion of TNF- $\alpha$ , IL-8 and nitric oxide by macrophages activated with Aguricus blazei Murill fraction in vitro. Cell Structure and Function 26:103-108 

  29. Sundquist M, Johansson C, Wick MJ. 2003. Dendritic cells as inducers of antimicrobial immunity in vivo. Apmis 111:715-724 

  30. Thomas MJ, Albersheim P. 1972. A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s. Plant Physol 49:926-936 

  31. Wang H, Actor JK, Indrigo J, Olsen M, Dasgupta A. 2003. Asian and Siberian ginseng as a potential modulator of immune function: An in vitro cytokine study using mouse macrophage. Clin Chim Acta 327:123-128 

  32. Yoon TJ, Yu KW, Shin KS, Suh HJ. 2008. Innate immune stimulation of exo-polymers prepared from Cordyceps sinensis by submerged culture. Appl Microbiol Biotechnol 80:1087-10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