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남부해역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 파악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in the South Sea of Jeju,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4, 2012년, pp.162 - 174  

윤동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데이터센터) ,  최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데이터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간적으로 3차원의 특성을 지닌 해양에서 수직적인 수온 자료의 특성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각 수심층별 수평 수온분포도와 같은 2차원적 주제도나 3차원적 공간보간을 통한 입체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해양 현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하지만, 수직적 수온분포의 공간 패턴 분석이나 수직적 수온의 특성과 다른 해양 요인(해양화학, 해양생물,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온 수직구조의 주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온의 수직구조 특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주남부 해역의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온 수직구조를 대표하는 세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공간분포지도 제작을 비롯해 공간자기상관 지수(Moran's I)를 계산하였다. 아울러, 세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제주 남부해역을 4개 지역으로 그룹핑하고, 각 지역에 대한 수직 수온구조의 특성을 정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seawater temperature data, in the ocean having 3D spatial characteristics, 2D thematic maps like horizontal seawater temperature distribution map at each depth layer and 3D volume model using 3D spatial interpolation are used. Although these methods are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접근으로는 수직적으로 변화하는 자료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거나, 지역적인 특징을 정량적으로 구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GIS의 공간분석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접근 및 분석이 어려운 해양의 수직적 데이터를 정량화하는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공간분석이 가능하도록 했다는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 그러나 최근 윤동영과 최현우(2012)가 수온약층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온의 수직구조를 정량화 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수온의 수직구조 전체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개발한 수온약층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하계 제주 남부해역을 대상으로 수온 수직구조를 대표하는 주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추출하여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 가지 파라미터를 이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제주 남부해역을 그룹화 하고 수온 수직구조의 지역별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개발한 수온약층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하계 제주 남부해역을 대상으로 수온 수직구조를 대표하는 주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추출하여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세 가지 파라미터를 이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제주 남부해역을 그룹화 하고 수온 수직구조의 지역별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양에서 수온의 수직구조를 대표할 수 있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추출하여, 제주 남부해역의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세 가지 주요 파라미터를 이용한 군집분석을 통해 제주 남부해역을 지역적으로 분류하고 각 지역별 수온 수직구조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 특히 혼합층의 깊이는 연구해역 전체에서 얕게 나타나 전형적인 중위도 해역의 여름철 특성을 보였지만, 공간적으로는 제주도를 기준으로 서쪽보다 동쪽의 혼합층이 깊게 나타났다. 이는 제주 서쪽해역은 양자강과 황해저층냉수의 영향으로 대마난류의 세기가 약해져 제주 동쪽해역보다 표층수온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 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층수온 공간분포도가 이를 뒷받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의 수온은 어떤 공간적 특성을 갖고 있나? 공간적으로 3차원의 특성을 지닌 해양의 수온에 관한 연구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온의 수평분포도나 수직분포도를 제작하여 탐색적인 분석에 사용한다. 하지만 수온의 수직구조의 특성에 대한 시·공간 변동패턴 분석과 다른 해양 요인(해양화학, 해양생물, 기후변화 등) 과의 관계분석은 수직구조를 정량화시키지 못함으로써 연구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해양의 수온에 관한 연구를 위해 제작하는 자료는? 공간적으로 3차원의 특성을 지닌 해양의 수온에 관한 연구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온의 수평분포도나 수직분포도를 제작하여 탐색적인 분석에 사용한다. 하지만 수온의 수직구조의 특성에 대한 시·공간 변동패턴 분석과 다른 해양 요인(해양화학, 해양생물, 기후변화 등) 과의 관계분석은 수직구조를 정량화시키지 못함으로써 연구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2차원적 주제도나 3차원적 공간보간을 통한 입체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의 한계점은? 공간적으로 3차원의 특성을 지닌 해양에서 수직적인 수온 자료의 특성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각 수심층별 수평 수온분포도와 같은 2차원적 주제도나 3차원적 공간보간을 통한 입체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해양 현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하지만, 수직적 수온분포의 공간 패턴 분석이나 수직적 수온의 특성과 다른 해양 요인(해양화학, 해양생물, 기후변화 등)과의 관계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온 수직구조의 주요 파라미터인 혼합층의 깊이, 최대수온구배, 수온약층의 두께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온의 수직구조 특성을 정량화함으로써 제주남부 해역의 수온 수직구조의 공간분포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현주. 2001. 해양심층수의 다목적 개발 및 다단계 이용. 어항 56:18-23. 

  2. 나정열, 이성욱, 조규대. 1991. 한반도 근해의 해류 및 해수특성-한국 동해의 수온의 수직 구조. Bull. Korean Fish. Soc 24(4):215-228. 

  3. 윤동영, 최현우. 2012. 한국 남부해역의 수온 약층 추출 알고리즘 개발. Ocean and Polar Research 34(2):265-273. 

  4. 최현우, 김계현, 이철용. 2007. 해양환경 공간 분포 패턴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60-74. 

  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987. 한국 동해 남부해역에서의 해양순환의 역학적 과정에 대하여. 67쪽. 

  6. 해양수산부. 2001. 해양심층수의 다목적 개발. 1:17-32. 

  7. 국립수산과학원. 2012. 정선해양관측자료. http://kodc.nfrdi.re.kr. Accessed 9 Mar 2012. 

  8. Chu, P.C. 1995. A feature model for Arctic upper ocean thermal structure. Proceedings of the 4th Conference on Polar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ssachusetts, pp.224-227. 

  9. Chu, P.C., C.R. Fralick, S.D. Haeger and M.J. Carron. 1997. A parametric model for the Yellow Sea thermal variabilit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5) :10499-10507. 

  10. De Boyer Montegut C., G. Madec, A.S. Fischer, A. Lazar and D. Iudicone. 2004. Mixed layer depth over the global ocean: an examination of profile data and a profile-based climatolog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 (C12003):1-20. 

  11. Fritsch, F.N. and R.E. Carlson. 1980. Monotone piecewise cubic interpolation. SIAM Journal on Numerical Analysis 17(2):238-246. 

  12. Hastenrath, S. and J. Merle. 1987. Annual cycle of subsurface thermal structure in the tropical Atlantic Ocean.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7:1518-1538. 

  13. Kara, A.B., P.A. Rochford and H.E. Hurlburt. 2000. An optimal definition for ocean mixed layer depth.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5(C7):16803-16821. 

  14. Lim, S., C.J. Jang, I.S. Oh and J. Park. 2012. Climatology of the mixed layer depth in the East/Japan Sea. Journal of Marine Systems 96-97:1-14. 

  15. Knauss, J.A. 1978.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 Prentice Hall, USA, 338pp. 

  16. Martin, P.J. 1985. Simulation of the mixed layer at OWS November and Papa with several mod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0(c1):903-916. 

  17. Moran, P.A.P. 1948.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10:243-251. 

  18. Park, S. and P.C. Chu. 2007. Synoptic distributions of thermocline surface mixed layer and thermocline in the Southern Yellow and East China Seas. Journal of Oceanography 63:1021-1028. 

  19. Prasad, T.G. and N. Bahulayan. 1996. Mixed layer depth and thermocline climatology of the Arabian Sea and western equatorial Indian Ocean. Indian Journal of Marine Sciences 25:189-794. 

  20. Zang, Y., J.G. Bellingham, M. Godin, J.P. Ryan, R.S. Mcewen, B. Kieft, B. Hobson and T. Hoover. 2010. Thermocline tracking based on peak-gradient detection by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Proceeding MTES/IEEE Oceans'10, Seattle, pp.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