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군 연-아연-은 광상의 모암변질에 따른 원소분산
Element Dispersion by the Wallrock Alteration of Janggun Lead-Zinc-Silver Deposi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6, 2012년, pp.623 - 641  

유봉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군 연-아연-은 광상은 열수교대형 광상이다. 모암변질시 원소 분산을 알아보기 위해 모암, 열수변질대 및 연-아연-은 광맥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 광상은 능망간석화작용과 돌로마이트화작용으로 구성된 열수작용이 현저히 인지된다. 모암은 돌로마이트와 석회암이며 구성광물은 방해석, 돌로마이트, 석영, 금운모 및 흑운모 이다. 연-아연-은 광맥과 접촉한 부분에서 관찰되는 능망간석대는 주로 능망간석이 산출되며 소량 방해석, 돌로마이트, 쿠트나호라이트, 유비철석,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석 및 황석석 등이 산출된다. 연-아연-은 광맥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관찰되는 돌로마이트대는 주로 돌로마이트가 산출되고 소량 방해석, 능망간석,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및 황석석 등이 산출된다. 모암변질시 주원소, 미량 및 희토류원소들간의 상관계수$Fe_2O_3(T)$/MnO, Ga/MnO 및 Rb/MnO(돌로마이트 및 석회암)가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MgO/MnO, CaO/MnO, $CO_2$/MnO 및 Sr/MnO(돌로마이트)와 CaO/MnO 및 Sr/MnO(석회암)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모암변질시 이득원소들은 $Fe_2O_3(T)$, MnO, As, Au, Cd, Cu, Ga, Pb, Rb, Sb, Sc, SnZn 이고 손실원소들은 CaO, MgO, $CO_2$ 및 Sr 이다. 따라서 CaO, $CO_2$, $Fe_2O_3(T)$, MgO, MnO, Ga, Pb, Rb, Sb, Sn, Sr 및 Zn 등의 원소들은 모암이 돌로마이트내지 석회암인 열수교대형 광상의 탐사에 지시원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anggun lead-zinc-silver deposit is hydrothermal-metasomatic deposit. We have sampled wallrock, hydrother-maly-altered rock and lead-zinc-silver ore vein to study the element dispersion during wallrock alteration. The hydrothermal alteration that is remarkably recognized at this deposit consis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장군 연-아연-은 광상일대 열수작용에 의한 모암변질시 가장 좋은 부동 원소를 선택하기 위해 몇몇 호정성(compatible)-불호정성(incompatible) 및 호정성-호정성 부동원소 쌍에 상관계수를 체크하였으며 석회암과 돌로마이트에 대한 TiO2-Zr의 회귀분석 결과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TiO2를 부동원소로써 채택하였다. TiO2를 이용한 모암 변질시 구성성분-부피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변질과 비 변질 광물 및 암석에 대한 화학분석치 및 비중으로 물질의 이득 및 손실을 계산하는 방정식으로 사용하여 열수작용 후의 변질 암석의 원소 이득 및 손실을 계산 하면(Gresens, 1967; Grant, 1986) 표 5(돌로마이트) 및 6(석회암)과 같다. 이들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돌로마이트을 모암으로 갖는 변질암석시료에서 이득된 주 원소는 Fe2O3(T)(+1.
  • 따라서 A광체에서 채취한 모암(석회암 및 돌로마이트) 및 모암변질 시료에 대해 모암변질시 각 변질대에 대한 산출광물의 종류, 공생관계, 화학조성 및 원소분산 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육안 관찰, 현미경 관찰, PIMA(Portable Infrared Mineral Analyzer) 분석, X선 회절분석, EPMA 분석 및 캐나다 Actlabs에서 주 원소, 미량원소, 희토류원소, Stotal 및 CO2 분석 (ICP(Total Digestion or Fus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INAA(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ICP-MS, XRF, Infrared technology 및 Coulometry)등을 실시하였다(Tables 1 and 2).
  • 변질암석내 주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들의 함량을 살펴보기 위해 JG7 시료(연-아연 맥), JG4 시료, JG3 시료, JG1 시료(능망간석대) 및 JG2 시료(돌로마이트대)에 대해 분석하였다(Tables 1 and 2; Fig. 2). 이들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연-아연-은 열수작용에 의한 모암변질에 의하여 시료에 따라 주원소 및 미량원소의 종류 및 함량 변화가 크다.
  • 장군 연-아연-은 광상의 파이프상 A광체의 모암인석회암 및 돌로마이트에 대한 연-아연-은 광화작용에 의한 모암변질시 각각 모암변질 종류, 원소 분포 특성, 분산 원소의 종류, 분산유형 및 함량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군 연-아연-은 광상의 파이프상 A광체에서 체계적으로 광맥, 모암변질대(능망간석대 및 돌로마이트대) 및 모암에 대해 시료를 채취하였다(Fig. 2). Lee et al.
  • 일반적으로 열수용액과 모암사이의 열수변질시 부동(immobile)원소들은 Al2O3, TiO2, Zr, Nb, Y 및 Yb 등이다(Maclean and Kranidiotis, 1987; Maclean and Barrett, 1993). 장군 연-아연-은 광상일대 열수작용에 의한 모암변질시 가장 좋은 부동 원소를 선택하기 위해 몇몇 호정성(compatible)-불호정성(incompatible) 및 호정성-호정성 부동원소 쌍에 상관계수를 체크하였으며 석회암과 돌로마이트에 대한 TiO2-Zr의 회귀분석 결과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TiO2를 부동원소로써 채택하였다. TiO2를 이용한 모암 변질시 구성성분-부피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변질과 비 변질 광물 및 암석에 대한 화학분석치 및 비중으로 물질의 이득 및 손실을 계산하는 방정식으로 사용하여 열수작용 후의 변질 암석의 원소 이득 및 손실을 계산 하면(Gresens, 1967; Grant, 1986) 표 5(돌로마이트) 및 6(석회암)과 같다.

대상 데이터

  • 모암변질에 따른 원소분산을 알아보기 위해 시료 채취는 장군 연-아연-은 광상의 파이프상 A광체에서 수행되었다. 이 파이프상 A광체는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감에 따라 자류철석, 황철석, 유비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황동석 →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유비철석, 황철석, 자류철석 → 황석석, 함은사면동석-프라이버자이트(freibergite)계 광물, 차골석, 보울란저라이트, 방연석, 섬아연석, 황동석 → 변질대(열수성 망간 교대작용 및 열수성돌로마이트화작용: 능망간석, 마그네슘 쿠트나호라이트 및 망간방해석) → 모암(변성탄산염암)으로 변화된다.
  • 모암변질대의 규모는 광체의 규모 또는 모암의 층리 방향성(석회암의 층리에 평행하게 발달되는 곳에선 10 m 이상 모암변질대 분포)에 따라 좌우되지만이 A광체의 남쪽에는 광맥 및 변질대가 좁은 범위내에 산출되는 곳이 관찰된다. 여기에서 광맥, 모암변질대 및 모암에 대해 시료를 채취하였다(Fig. 2). 육안상으로 채취한 시료는 황화광물로 구성되어 있는 광석대→ 능망간석대 → 돌로마이트대 → 돌로마이트질석회암을 관찰할 수 있으며 광석대에 평행하게 방연석과 섬아연석이 능망간석대 및 돌로마이트대에 산점상으로 산출된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암변질대의 종류 및 규모는 무엇으로 좌우되는가? 광상의 형성시 열수용액과 모암과의 반응에 의한 여러 물리-화학적 변화요소에 의해 모암변질광물, 광석광물 및 초생성 투명광물들이 형성된다. 모암변질대의 종류 및 규모는 모암의 물성(모암의 화학조성, 광물조합, 모암의 투수성, 간극률, 흡수율) 및 광화유체의 조성(광화유체의 화학조성, 온도, 압력) 등에 좌우된다. 한 예로 모암의 간극률과 흡수율을 비교하면, 유문암(1~7, 0.
광상의 형성 시 무엇이 형성되는가? 광상의 형성시 열수용액과 모암과의 반응에 의한 여러 물리-화학적 변화요소에 의해 모암변질광물, 광석광물 및 초생성 투명광물들이 형성된다. 모암변질대의 종류 및 규모는 모암의 물성(모암의 화학조성, 광물조합, 모암의 투수성, 간극률, 흡수율) 및 광화유체의 조성(광화유체의 화학조성, 온도, 압력) 등에 좌우된다.
모암내에 열수 물질 중 침투는 어떤 증거가 관찰될 때 질량이동의 주된 요인이 되는가? , 2011c). 침투는 열수 물질이 한 방향으로 멀리 이동되는 증거가 관찰될 때 질량이동의 주된 요소가 된다. 확산은, 열수 물질이 양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고용체 광물이 분대 사이에 규칙적인 성분변화를 보일 때, 질량이동의 주된 요소가 된다(Hofmann, 197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K.S., Jeong, H.H. and Lee, H.K. (1993) Prograde reaction series in metapelites around the Janggun mine. Mining Geology, v.26, p.473-487 

  2. Barber, C. (1974) Major and trace element associations in limestones and dolomites. Chemical Geology, v.14, p.273-280. 

  3. Bellanca, A., Disalvo, P., Moller, P., Neri, R. and Schley, F. (1981) Rare-earth and minor element distribution and petrographic features of fluorites and associated Mesozoic limestones of northwestern Sicily. Chemical Geology, v.32, p.255-269. 

  4. Chang, H.W. and Lee, K.S. (1991) Behavior of elements in hydrothermal alteration zones of granitic rocks : Examples from the Mugeug granodiorite and the Naeduckri granite, South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p.156-170. 

  5. Condie, K.C., Wilks, M., Rosen, D.M. and Zlobin, V.L. (1991) Geochemistry of metasediments from the Precambrian Hapschan series, eastern Anabar shield, Siberia. Precambrian Research, v.50, p.37-47. 

  6. Grant, J.A. (1986) The isocon diagram-A simple solution to Gresens' equation for metasomatic alteration. Economic Geology, v.81, p.1976-1982. 

  7. Gresens, R.L. (1967) Composition-volume relationships of metasomatism. Chemical Geology, v.2, p.47-65. 

  8. Gromet, L.P., Dymek, R.F., Haskin, L.A. and Korotev, R.L. (1984) The 'North American Shale Composite': its compilation, major and trace element characteristic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48, p.2469-2482. 

  9. Haskin, M.A. and Haskin, L.A. (1966) Rare earths in European shales: a redetermination. Science, v.154, p.507-509. 

  10. Hofmann, A. (1972) Chromatographic theory of infiltration metasomatism and its application to feldspar. American Journal of Sciences, v.272, p.69-90. 

  11. Hwang, I.C. (1968) Report on the Sam Han Chang Gun manganese deposits. Mining Geology, v.1, p.9-34. 

  12. Hwang, I.H. and Chon, H.T. (1994a) Wallrock alteration and primary dispersion of elements in the vicinity of the Mugeug gold-bearing quartz vein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27, p.387-396. 

  13. Hwang, I.H. and Chon, H.T. (1994b) Primary dispersion of elements in altered wallrocks around the gold-bearing quartz veins the Okgye min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27, p.549-556. 

  14. Jarvis, J.C., Wildeman, T.R. and Banks, N.G. (1975) Rare earths in the Leadville limestone and its marble derivates. Chemical Geology, v.16, p.27-37. 

  15. Kang, J.H., Kim, H.S. and Oh, S.B. (1997) 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 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6, p.244-259. 

  16. Kang, J.H., Oh, S.B. and Kim, H.S. (1998)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metamorphism of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7, p.190- 206. 

  17. Kho, S.J. (1987) Explo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Janggun Pb-Zn mine. Mining Geology, v.20, p.289-303. 

  18. Kim, K.H. (1986) Origin of manganese carbonates in the Janggun mine, South Korea. Mining Geology, v.19, p.109-122. 

  19. Kim, K.Y., Kim, H.S., Oh, C.H., Park, C.S., Kang, J.H. and Ryu, Y.B. (1996) Poly-metamorphism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ry rocks in Janggunbong area, Korea: 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5, p.168-187. 

  20. Kim, S.J. (1968a) Manganese oxide minerals from Janggun manganese mine,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 p.57-76. 

  21. Kim, S.J. (1968b) Formation of manganese carbonate minerals in Janggun manganese mine,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 p.167-188. 

  22. Kim, S.J. (1969) Mineragraphic study on the sulfide minerals associated with manganese ores from Janggun mine,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 p.83-101. 

  23. Kim, S.J. (1970) Mineralogy and genesis of the manganese ores from Janggun mine,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6, p.135-186. 

  24. Kim, S.J. (1975) Janggunite, a new mineral from the Janggun mine, Bonghwa, Korea. Mining Geology, v.8, p.117-124. 

  25. Lee, C.H., Song, S.H. and Lee, H.K. (1996a) Mg-skarn minerals from magnetite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29, p.11-19. 

  26. Lee, H.K., Lee, C.H. and Kim, S.J. (1998) Geochemistry and mineralization age of magnesian skarn-type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Mineralium Deposita, v.33, p.379-390. 

  27. Lee, D.S. (1967) Geological study of Janggun manganese mine.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 p.51- 59. 

  28. Lee, H.K. and Imai, N. (1986) Stannite from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ore-forming minerals in the Janggun leadzinc- silver (3). Mining Geology, v.19, p.121-130. 

  29. Lee, H.K., Ko, S.J. and Imai, N. (1990) Genesis of the lead-zinc-silver and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as related to their structural features: Structural control and wallrock alteration of ore formation. Mining Geology, v.23, p.161-181. 

  30. Lee, H.K., Lee, C.H. and Kim, S.J. (1996b) Geochemistry of stable isotope and mineralization age of magnetite deposits in the Janggun mine,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29, p.411-419. 

  31. Lee, H.K., Lee, C.H. and Song, S.H. (1996c) Ore minerals and mineralization conditions of magnetite deposits in the Janggun mine,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29, p.1-9. 

  32. Lee, M.S. (1985) Sulfur and carbon isotope studies of principal metallic deposits in the metallogenic province of the Taebaeg Mt. region, Korea. Mining Geology, v.18, p.247-251. 

  33. Maclean, W.H. and Barrett, T.J. (1993) Lithogeochemical techniques using immobile elements.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v.48, p.109-133. 

  34. Maclean, W.H. and Kranidiotis, P. (1987) Immobile elements as monitors of mass transfer in hydrothermal alteration: Phelps Dodge massive sulfide deposit, Matagami, Quebec. Economic Geology, v.82, p.951- 962. 

  35. Moon, S.H, and Park, H.I. (1994) Alterations of granite gneiss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 to tin mineralization in the Uljin a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0, p.125-139. 

  36. Oh, D.G. and Chon, H.T. (1993) Geochemical dispersion of elements in volcanic wallrocks of pyrophyllite deposits in Milyang area, Kyeongnam province. Mining Geology, v.26, p.337-347. 

  37. Park, K.H. and Chang, H.W. (2005) Pb isotopic composition of Yeonhwa and Janggun Pb-Zn ore deposits and origin of Pb: Role of Precambrian crustal basement and Mesozoic igneous rocks.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4, p.141-148. 

  38.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p. 

  39. Thompson, G., Bankston, D.C. and Pasley, S.M. (1970) Trace element data for reference carbonate rocks. Chemical Geology, v.6, p.165-170. 

  40. Yoo, B.C., Chi, S.J., Lee, G.J., Lee, J.K. and Lee, H.K. (2007a) Element dispersion and wall-rock alteration from Daebong gold-silver deposit, Republic of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0, p.713- 726. 

  41. Yoo, B.C., Choi, H.S. and Koh, S.M. (2011c) Element dispersion and wallrock alteration of TA26 seamount, Tonga arc.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4, p.359-372. 

  42. Yoo, B.C., Lee, G.J., Lee, J.K., Ji, E.K. and Lee, H.K. (2009b) Element dispersion and wallrock alteration from Samgwang deposit.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2, p.177-193. 

  43. Yoon, C.H. (1993) Gold abundance in acid-sulfate alteration zone of the Ogmaesan-Seongsan ore deposits in Haenam area, Korea. Mining Geology, v.26, p.155-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