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탄바닥재-적점토계 인공골재의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 aggregates of coal bottom ash-red clay system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2 no.6, 2012년, pp.305 - 311  

김강덕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강승구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 바닥재(이하 바닥재로 칭함)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이를 적점토와 혼합, 소성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함에 있어, 바닥재의 입도와 배합비를 실험변수로 하여 인공골재의 특성을 제어하였다. 채취된 바닥재는 2 mm 이상의 입자들이 38 wt% 존재하는 거친 입도를 나타내었으며, 미연탄 덩어리들과 다공성 슬래그들이 혼재하였으나, 이를 체가름 및 분쇄공정을 통하여 세립(100 ${\mu}m$ 이하) 및 조립(2 mm 이하) 입도를 갖는 2가지 바닥재로 분리하였다. $1100{\sim}1200^{\circ}C$의 조건에서 직화 소성된 인공골재의 물성 측정 결과, 세립 바닥재로 제조된 인공골재는 조립 바닥재로 제조된 경우보다 높은 부피비중과 낮은 흡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립 바닥재로 제조된 인공 골재는 내부에 다공성 슬래그와 미연탄 덩어리로 인해 불균일하고 치밀하지 못한 구조를 나타낸 반면, 세립 바닥재로 제조된 인공골재는 상대적으로 치밀하고 균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바닥재의 입도 및 조성변화를 통해 인공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을 각각 1.2~1.7 및 13~21 % 범위로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바닥재 인공골재는 향후 건축/토목 등의 재료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cycle the coal bottom ashes (denoted as BA) produced from a thermal power plant, the artificial aggregates (denoted as AAs) containing BA and red clay were manufactur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AAs were studied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of BA and batch compositions. As-re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바닥재와 적점토의 화학성분 분석은 XRF(ZSX-100e, Rigaku, Japan)를 사용하였고, 바닥재의 입도는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및 입도분석기(microtrac S3500, Nikkis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바닥재 원료의 입자형태와 인공골재의 미세구조는 광학현미경(DCS-105, Sometech-vision, Korea)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한편, 소성된 시편의 비중 및 흡수율은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바닥재는 체가름하여 입경이 2 mm 이하인 경우와, 볼밀을 이용하여 24시간 분쇄하여 100 µm 이하 크기만 선별한 경우의 두 가지를 사용하였고, 각각을 조립(coarse) 및 세립(fine)으로 명하였다(Table 2).
  • 바닥재와 적점토의 화학성분 분석은 XRF(ZSX-100e, Rigaku, Japan)를 사용하였고, 바닥재의 입도는 KS F 25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및 입도분석기(microtrac S3500, Nikkis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를 체가름하여 2 mm 이하 크기 입자만을 선별한 것을 ‘조립(coarse) 바닥재’로 명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바닥재의 입도변화, 적점토와의 혼합비율 그리고 소성온도를 변수로 하여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하였고, 측정된 시편의 물성을 표면 및 절단면 미세구조 관찰결과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 적 점토에 바닥재를 30~50 wt% 범위로 첨가, 혼합한 뒤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형태(길이 = 10 ± 2 mm, 지름 = 10 ± 0.5 mm)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바닥재를 적점토와 혼합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였으며, 이 때 바닥재의 입도와 배합비 변화에 따른 인공골재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바닥재는 2 mm 이상 크기의 입자들이 38 wt%로 거친 모래의 입도를 나타내었으며, 미연탄 덩어리들과 다공성 슬래그 들이 다량 혼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바닥재는 인천 ‘Y’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된 것이다.

이론/모형

  • 한편, 소성된 시편의 비중 및 흡수율은 KS F 2503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도제어를 통한 도로 기층재 및 혼화재의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해 바닥재의 표면에 TiO2를 코팅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재료로 활용하거나, 바닥재에 많이 존재하는 SiO2와 Al2O3를 이용하여 다공성 뮬라이트(Mullite)를 합성하는 연구 등도 진행 중이다[6,7]. 그러나 입도제어를 통한 도로 기층재 및 혼화재의 경우 그 적용범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며, 공기 정화제 및 다공성 뮬라이트의 합성 등의 재활용 연구는 바닥재의 대량 처리 한계성 및 낮은 경제성 때문에 상용화 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 바닥재의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입도 제어를 통한 도로 기층재나 콘크리트 혼화재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 되어왔다[1-5]. 또한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해 바닥재의 표면에 TiO2를 코팅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재료로 활용하거나, 바닥재에 많이 존재하는 SiO2와 Al2O3를 이용하여 다공성 뮬라이트(Mullite)를 합성하는 연구 등도 진행 중이다[6,7]. 그러나 입도제어를 통한 도로 기층재 및 혼화재의 경우 그 적용범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며, 공기 정화제 및 다공성 뮬라이트의 합성 등의 재활용 연구는 바닥재의 대량 처리 한계성 및 낮은 경제성 때문에 상용화 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 바닥재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재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 바닥재(coal bottom ash, 이하 바닥재로 칭함)는 비산재(fly ash)와 달리 넓은 입도분포와 뷸균일한 입형으로 인해 재활용이 매우 까다로운 폐자원이다. 따라서 입도 제어를 통한 도로 기층재나 콘크리트 혼화재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 되어왔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S. Lee and S.G. Kan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fly ash",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2-C] (2000) 147. 

  2. K.K. Kuk, H.Y. Kim and B.S. Chun,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power plant coal ash", J. of the Geo-environmental Society 11[5] (2010) 25. 

  3. Y.W. Yoon, K.S. Chae and K.H. Song, "Evaluation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al ashes", J. of the Geo-environmental Society 10[3] (2009) 5. 

  4. Y.L. Koh and B.S. Chun, "The proper mixing ratio of fly ash to bottom ash for use of highway embankment and subgrade materials",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1] (1992) 177. 

  5. B.S. Chun, Y.I. Koh, M.Y. Oh and H.S. Kwon, "Studies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oal ash obtained as industrial wastes",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0[1] (1990) 115. 

  6. D.Y. Shin and K.N. Kim,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gaseous acetaldehyde through $TiO_{2}$ -coated fly ash composite", J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5[1] (2008) 43. 

  7. W.Y. Kim, H.B. Ji, T.Y. Yang, S.Y. Yoon and H.C. Park, "Preparation of porous mullite composites through recycling of coal fly ash", J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7[2] (2010) 151. 

  8. W.G. Shin, D.S. Lim and B.S. Chun, "A study on selfhardening characteristic of coal ash by mixing ratio of fly ash and bottom ash", J. of the Geo-environmental Society 11[6] (2010) 85. 

  9. B.S. Chun and Y.H. Yeoh, "A study on the recycling of coal ash as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J. Kor. Soc. Ocean Eng. 14[1] (2000) 74. 

  10. S.J. Choi and M.H. Kim, "A study on the Durabilities of high volume coal ash concrete by the kinds of coal ash", J. Kor. Insti. Build. Const. 9[3] (2009) 73. 

  11. D.U. Lee and Y.S. Kim, "A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containing bottom ash as a part of fine aggregate", J.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 22[6] (2006) 79. 

  12. S.U. Shin, S. Kumar, T.U. Jung and B.W. Shin, "The strength and characteristic of PCC bottom ash", J. Kor. Geo-Environ. Soc. 8[2] (2007) 57. 

  13. V. Adell, C.R. Cheeseman, A. Doel, A. Beattie and A.R. Boccaccini, "Comparison of rapid and slow sintered pulverised fuel ash", Fuel 87 (2008) 187. 

  14. W.E. Browell "Black coring in structural clay products", J. of the American Ceramic Soc. 40[6] (1957) 179. 

  15. V. Beltran, A. Blasco, A. Escardino and F. Negre, "Formation of black core during the firing of floor and wall tiles", Interceram 37[3] (1988) 15. 

  16. S.C. Huang, F.C. Chang, S.L. Lo, M.Y. Lee, C.F. Wang and J.D. Lin, "Production of lightweight aggregates from mining residues, heavy metal sludge, and incinerator fly ash", J. of Hazardous Materials 144 (2007) 52. 

  17. S.M. Han, D.Y. Shin and S.K. Kang, "Preparation for porous ceramics using low grade clay", J. of the Korean Ceram. Soc. 35[6] (1998) 575. 

  18. M.A. Kang and S.G. Kang,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 aggregates fabricated from coal bottom ash containing much unburned carbon", J.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 21[1] (2011) 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