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의 토양 선충상
Soil Nematode Fauna in Dokdo Island of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8 no.4, 2012년, pp.381 - 386  

김동근 (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박병용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류영현 (경북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독도 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2008-2009년 2개년간 독도의 토양을 채집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식이습성군, 생태지수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도에서 총 31종의 선충이 발견되었으며 평균 밀도는 $m^2$당 239,500마리(26,000-836,000)였고 biomass는 $103.9mg/m^2$(3.0-388.6)였다. 중요도는 Acrobeloides 속이 Prominence value(PV) 11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Rhabditidae(PV = 81.9), Prismatolaimus(PV = 39.0), Aphelenchoides(PV = 31.4) 순이었다. Feeding Group별로는 세균성선충이 전체 선충 중에서 밀도로는 77%, biomass로는 62%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그룹이었고 다음으로는 식물기생성선충과 식균성선충류였다. 동도 참소리쟁이에서 발견된 뿌리썩이선충은 신종으로 추정된다. 독도 선충의 생태적 분석 결과 Shannon and Wiener 지수(2.46), Simpson's diversity 지수(0.86), 종 균일도(0.73), 종 풍부성(1.30)을 볼 때 독도의 선충상은 종이 풍부하고, 다양한 것이 특징이며, 독도만의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겠고 이것은 경작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보존된 원시적 환경의 특징이다. 이번의 조사 결과는 독도의 생태적 모니터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matode fauna in Dokdo island was investigated for two years between 2008 and 2009. Population density and biomass were $239,500m^2$ (26,000-836,000) and $103.9mg/m^2$ (3.0-388.6), respectively. Total of 31 species of nematodes were identified : Acrobeloides is the most imp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독도 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2008−2009년 2개년간 독도의 토양을 채집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식이습성군, 생태지수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 선충의 biomass는 동정된 선충에 대한 형태적 측정치를 참고하였고 필요시 광학현미경(Olympus AX70)에 부착된 디지털카메라(Nikon DXM1200F)를 이용하여 선충을 촬영하고 software로 선충의 길이와 폭을 측정하였다.
  • 채집된 토양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잘 섞은 다음 직경 1 mm 채로 쳐서 굵은 돌은 골라 버리고 남은 흙에서 300 cm3를 취하여 Baermann's 깔데기법을 이용하여 선충을 분리하였다(Southey, 1986). 약 24시간 후 선충을 채취하여 해부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선충의 속까지 분류하고 각 선충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FG41 고정액(Southey, 1986)으로 고정한 후 검경하였다.
  • 토양 채집 방법은 식물이 군락을 이루는 지점을 중심으로 표토 약 5 cm를 걷어내고 뿌리가 주로 분포하는 5−15 cm 깊이의 토양을 채집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개년에 걸쳐 독도에 선박 출입이 가능한 7−8월경에 독도를 방문하여 동도, 서도로 나누어 총 11개의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Fig. 1).

이론/모형

  • 선충의 식이습성(feeding group)은 Yeates 등(1993)의 방법을 따랐는데, 1 = plant feeders, 2 = fungal feeders, 3 = bacterial feeders, 4 = substrate ingestion, 5 = animal predators, 6 = unicellular eucaryote feeders, 7 = dispersal or infective stages of animal parasites, 8 = omnivorous이다.
  • 채집된 토양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잘 섞은 다음 직경 1 mm 채로 쳐서 굵은 돌은 골라 버리고 남은 흙에서 300 cm3를 취하여 Baermann's 깔데기법을 이용하여 선충을 분리하였다(Southey, 198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충의 식이습성은 어떠한가? 선충은 지구상 거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 가능하며 지금까지 약 20,000여종이 기록되었다. 이들은 단위 면적당밀도가 높고, 종류가 다양하며 식이습성(feeding group)도 식물기생성(plant parasitic), 동물기생성(animal parasitic), 포식성(predatory), 식세균성(bacteriovorus), 식균성(fungivorous), 잡식성(omnivorous) 등 다양하다(Yeates, 1993).
선충이 없으면 생기는 문제는? 토양 선충의 활동에 의하여 세균, 곰팡이, 유기물질 등이 분해되고 식물이나 다른 생명체에 양분으로 공급된다고 하며(McSorley, 2004), 선충이 없으면 유기체는 분해되지 않을 것이며 토양 양분공급 체계에 불균형이 올 것이다(Yeates, 1979). 지금까지의 선충 연구는 주로 농작물에 피해를 미치는 식물기생성선충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토양생태계의 먹이사슬을 연구하기 위해 토양선충을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독도는 어디에 위치한 섬인가? 독도는 위도 37.25, 경도 131.867에 위치하는 대한민국 영토의 섬이다. 그러나 최근 일본 교과서의 독도영토표기 파문과 미국지명위원회가 독도를 ‘주권미정지역’으로 표기하는 문제로 인하여 독도 문제가 전 국민적인 관심사로 떠올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각계의 범국민적인 독도수호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ndrassy, I. 1956. The determination of volume and weight of nematodes. Acta Zool. Hung. 2: 1-15. 

  2. Bernard, E. C. 1992. Soil nematode biodiversity. Biol. Fert. Soils 14: 99-103. 

  3. Biederman, L. A. and Boutton, T. W. 2009. Biodiversity and trophic structure of soil nematode communities are altered following woody plant invasion of grassland. Soil Biol. Biochem. 41: 1943-1950. 

  4. Lee, B. H. and Choi, Y. E. 1982. The density and biomass of the small soil animals in the climax forest of Piagol valley in Mt. Chiri. Rep. Korean Assoc. Conser. Nature 21: 163-177. 

  5. Margalef, D. H.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6. McSorley, R. 2004. Soil-Inhabiting Nematodes. The University of Florida. http://creatures.ifas.ufl.du/nematode/soul_nematode.html. 

  7. Mulder, C. P. H., Bazeley-White, E., Dimitrakopoulos, P. G., Hector, A., Scherer-Lorenzen, M. and Schmid, B. 2004. Species evenness and productivity in experimental plant communities. Oikos 107: 50-63. 

  8. Niblack, T. L. and Bernard, E. C. 1985. Plant-parasitic nematode communities in dogwood, maple, and peach nurseries in Tennessee. J. Nematol. 17: 132-139. 

  9. Norton, D. C. 1978. Ecology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New York: Willey-Interscience. 268 pp. 

  10. Norton, D. C. and Schmitt, D. P. 1978. Community analyses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the Kalsow prairie, Iowa. J. Nematol. 10: 171-176. 

  11. Shannon, C. E. and Weaver, W. 1998.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USA. 144 pp. 

  12. Simpson, E. 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13. Southey, J. F. 1986. Laboratory methods for work with plant and soil nematodes.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2 pp. 

  14. Viglierchio, D. R. and Schmitt, R. V. 1983. On the methodology of nematode extraction from field samples: Comparison of methods for soil extraction. J. Nematol. 15: 450-454. 

  15. Yeates, G. W. and Bongers, T. 1999. Nematode diversity in agroecosystems. Agr. Ecosyst. Environ. 74: 113-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