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T 이미지를 활용한 경량 골재의 방향에 따른 공극 분포 및 강성도의 이방성 분석
Analysis on Anisotropy of Void Distribution and Stiffness of Lightweight Aggregate using CT Image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5 no.3, 2012년, pp.227 - 235  

정상엽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한동석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윤태섭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염광수 (GS건설(주) 기술연구소) ,  전현규 (GS건설(주) 기술연구소) ,  강동훈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다상 재료인 콘크리트는 구성 성분의 공간적 분포에 의해 재료 특성이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공극(void)은 콘크리트의 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콘크리트 내부에 분포하는 공극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내부에 존재하는 경량 골재의 공극 분포 분석을 위해서, CT(computed tomography)로부터 얻은 단면 이미지를 활용하여 생성된 3차원 경량 골재 이미지를 활용하여 공극 분포를 시각화(visualization)하였다. 방향에 따른 3차원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 분포 상태를 정성적으로 묘사하기 위해서 확률 분포 함수인 두점 상관함수(two-point correlation function)를 사용하여 공극의 공간적 분포 경향을 구(sphere)에 표현하였다. 또한 방향에 대한 골재의 강성도(stiffness)를 계산하여 각 방향에 따른 골재의 역학적 물성치 분포 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방향으로의 확률 분포 함수로 표현된 공극 분포와 강성도 분석함으로서 CT 이미지를 통한 공극 분포 특성 분석 및 경량 골재의 역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id distribution in concrete materials strongly affects its material properties.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void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estimate material behavior. To examine and quantify the void distribution inside lightweight aggregates, CT(computed to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vv 함수는 부피 등에 의하여 함수 값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부피비를 가진 공극들 사이의 절대적인 수치를 비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골재마다 모든 방향에 대한 값을 해당 골재의 최소 값으로 나누어서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 분포의 이방성을 표현하였다.
  • 다만 의 경우, 식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피 등에 의하여 함수 값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지고 있는 골재들의 공극 분포에 대한 절대적인 비교에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를 경량 골재 내부에 분포하는 공극의 이방성을 살펴보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위하여, 골재 내의 각 방향에 대한 최소 값을 기준으로 하여 골재 내부 공극의 이방성을 표현하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결과는 본 논문의 4절에 나타나 있다.
  • 특히, 골재 내부에 군집 형태로 존재하는 공극 이외에 미세하게 존재하는 공극들은 공간적 분포 및 크기를 파악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8비트 CT 이미지의 이진화(binary) 처리를 통해 경량 골재 내부에 분포하는 공극을 묘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T 이미지 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경량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경량 골재 내부에 포함된 공극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량 골재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CT를 사용하여 얻은 연속적인 골재 단면 이미지를 적층하여 3차원으로 경량 골재의 공극 분포를 묘사하였다.
  • 두점 상관함수와 마찬가지로 각 방향에 대한 강성도를 계산하고 구에 표현함으로써 방향에 따른 경량 골재의 역학적 물성치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T를 사용해 생성된 3차원 경량 골재 이미지를 통하여 골재 내부의 공극 분포를 파악함으로서,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CT 이미지 분석 방법의 활용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방향으로의 공극 분포와 강성도를 비교함으로써 공극 분포와 재료의 역학적 물성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극 분포 특성에 대한 강성도의 이방성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탄성계수의 확장된 개념인 방향 탄성계수(directional elastic modulus)를 가시화하였다. 방향 탄성계수는 일방향 하중이 임의의 방향(n)으로 작용할 때 재료의 탄성계수이며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Nye, 1985).
  • 경량 골재에 존재하는 내부 공극은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극의 크기 및 분포 형태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을 살펴보기 위하여 CT(computed tomography)를 사용하여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 구조를 살펴보았다. CT를 사용하는 기법은 분석 대상의 원형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픽셀(pixel)로 이루어진 단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유한요소메쉬는 8점 적분 8절점 육면체요소를 사용하였고, 각 경량 골재 유한요소메쉬의 모델에 따라 7만에서 20만개의 요소수를 포함하였다. 고체(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각 유한요소는 등방성으로 가정하여 탄성계수는 경량 골재 제작에 사용된 모르타르의 탄성계수인 5GPa를 사용하였고 프아송비는 0.15를 사용하였다. 유한요소코드는 탄성 해석을 수행하며 위에서 기술한 경계조건을 적용할 수 있도록 Fortran 95 언어를 이용하여 직접 작성 후,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량 콘크리트의 공극 분포와 재료 물성치를 정량화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콘크리트는 다상 재료임과 동시에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이는 표면의 공극 이외에도 재료 내부에 많은 공극이 존재한다. 특히, 콘크리트 부재의 자중 감소 효과를 위해 제작되는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사용되는 경량 골재 내부에 많은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재료의 효과적인 건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공극 분포와 재료 물성치를 정량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량 콘크리트는 무엇을 위해 제작되는가? 콘크리트는 다상 재료임과 동시에 다공질 재료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이는 표면의 공극 이외에도 재료 내부에 많은 공극이 존재한다. 특히, 콘크리트 부재의 자중 감소 효과를 위해 제작되는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사용되는 경량 골재 내부에 많은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재료의 효과적인 건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공극 분포와 재료 물성치를 정량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경량 골재에 존재하는 내부 공극은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극의 크기 및 분포 형태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을 살펴보기 위하여 CT(computed tomography)를 사용하여 경량 골재 내부의 공극 구조를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정상엽, 김영진, 윤태섭, 전현규 (2011) Micro CT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경량 골재 콘크리트의 공극 분포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1(2A), pp.121-127. 

  2. 정상엽, 한동석 (2011) 2상 다결정 미세구조의 상 분포 위상에 따른 역학적 거동 분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24(1), pp.9-16. 

  3. 정상엽, 한동석 (2011) 투수 콘크리트의 투수성과 확률 분포 함수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1(6), pp.91-98. 

  4. Chung. S.-Y., Han, T.-S. (2010) Reconstruction of Random Two-Phase Polycrystalline Solids using Low-Order Probability Functions and Evaluation of Mechanical Behavior,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49, pp.705-719. 

  5. Coker, D.A., Torquato, S. (1995) Extraction of Morphological Quantities from a Digitized Medium, Journal of Applied Physics, 77, pp.6087-6099. 

  6. Corson, P.B. (1974) Correlation Functions for Predicting Properties of Heterogeneous Materials. I. Experimental Measurement of Spatial Correlation Functions in Multiphase Solids, Journal of Applied Physics, 45, pp.3159-3164. 

  7. Dorey, R.A., Yeomans, J.A., Smith, P.A. (2002) Effect of pore Cluster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eramic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22, pp.403-409. 

  8. Gokhale, A.M., Tewari, A., Garmestani, H. (2005) Constraint on Microstructural Two-Point Correlation Functions, Scripta Materialia, 53, pp.989-993. 

  9. Han, T.-S., Dawson, P.R. (2005) Representation of Anisotropic Phase Morphology, Modelling and Simulation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13, pp.203-223. 

  10. Singh. H., Gokhale, A.M., Lieberman, S.I., Tamirisakandala, S. (2008) Image Based Computations of Lineal Path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Microstructure Representatio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474, pp.104-111. 

  11. Tewari, A., Gokhale, A.M., Spowart, J.E., Miracle, D.B. (2004)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Spatial Clustering in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s using Two-Point Correlation Functions, Acta Materialia, 52, pp.307-319. 

  12. Torquato, S. (2002) Random heterogeneous materials, Springer, New York, p.701. 

  13. Underwood, E. (1970) Quantitative stereology, Addison-Wesley, Massachusetts, p.2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