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의 직장폭력 경험실태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s among Care Help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6, 2012년, pp.607 - 614  

서은주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숙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reports incidents of workplace violence among care help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81 care helpers from elderly care facilities and domiciliary elderly welfare centers in Daeje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Ju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장 폭력경험실태, 직장폭력예방에 관한 교육 및 정책 유무, 직장폭력 경험 후 대응방법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장폭력 경험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들이 지난 6개월간 직장에서 겪은 폭력경험률은 언어적 폭력 47.
  •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가 근무 중 경험한 폭력 경험률과 폭력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대상자 중 47.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직장폭력 경험실태를 파악하여, 요양보호사의 직장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건강 위해요인인 직장폭력의 경험실태를 폭력 유형별, 가해자 유형별로 파악하고, 직장폭력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요양 보호사의 직장폭력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간호중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직장 내 폭력에 관한 정책 유무와 폭력예방 교육 이수 여부에 관하여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 내 폭력이란 무엇인가? 직장 내 폭력은 출퇴근을 포함한 작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학대받거나, 위협당하거나, 공격받는 사건으로 명백하게나 암묵적으로 근로자들의 안전과 안녕,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International Labour Office [ILO],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Public Services International [PSI], 2002). 국제간호사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6)에서는 직장 내 폭력에는 신체적 폭력, 정신적 폭력, 학대, 왕따, 인종차별, 성희롱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요양형태와 요양보호사들이 보살핌을 제공하는 장소는 어떻게 되는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질병 등으로 인하여 6개월 이상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사회적 연대원리에 의해 제공하는 사회보험 제도이다(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장기요양의 형태는 재가 급여(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 보호, 단기보호, 기타 재가급여), 시설급여(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 가정), 특별현금 급여로 나눌 수 있으며 요양보호사들은 노인 의료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나 재가노인복지시설(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 보호 서비스, 단기 보호 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 등에서 장기요양급여 수급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및 정서적 보살핌을 제공하게 된다.
국제간호사회 에서는 직장 내 폭력에 무엇이 포함된다고 하였는가? 직장 내 폭력은 출퇴근을 포함한 작업과 관련된 상황에서 학대받거나, 위협당하거나, 공격받는 사건으로 명백하게나 암묵적으로 근로자들의 안전과 안녕,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International Labour Office [ILO],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ICN],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Public Services International [PSI], 2002). 국제간호사회(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6)에서는 직장 내 폭력에는 신체적 폭력, 정신적 폭력, 학대, 왕따, 인종차별, 성희롱 등이 모두 포함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ng, K. J.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rk stress and work violence prevention and reduc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 Hong, M. J. (2009). A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3. Hwang, E. A. (1993). Nurse abuse: The meaning of the lived exper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6). Position statement: Abuse and violence against nursing personnel. Retrieved September 20, 2009, from http://www.icn.ch/images/ stories/documents/publications/position_statements/C0 1_Abuse_Violence_Nsg_Personnel.pdf 

  5. International Labour Office,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World Health Organization, & Public Services International. (2002). Framework guidelines for addressing workplace violence in the health sector. Retrieved September 20, 2009, from http://www.who.int/violence_injury_ prevention/ violence/interpersonal/en/WVguidelinesEN.pdf 

  6. Ju, Y. S. (2010, August). A study on health status of care helpers.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Korean care worker's association, Seoul, Korea. 

  7. Kim, S. Y., An, H. Y., & Kim, H. S. (2008).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and Aid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17 (1), 76-85. 

  8. Kim, Y. T., Kim, H. W., & Yeom, Y. B. (2009). A study on the critical variable of job satisfaction of care giver between Long term and home base care service center.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 53-76. 

  9. Lee, J. J. (2010).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Leave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agencies.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34 (2), 93-113. 

  10. Lee, S. Y., Lee, Y. G., Ju, Y. S., Kim, M. H., & Choi, K. S. (2011). Investigation on the musculoskeletal disorder of nursing home assistants and development of the disease prevention manual.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1. Lim, J. D.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geriatric care helpe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 (1), 225-235.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225 

  12. Moon, H. (2010). The mediator effect of 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giver's job stress and burnout. Journal of Korean Community Living Science, 21 (3), 341- 350. 

  13.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04). Guidelines for preventing workplace violence for healthcare and social service workers. Retrieved September 20, 2009, from http://www.osha.gov/Publications/osha3148.pdf 

  14.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11). OSHA instruction: Enforcement procedures for investigation or inspecting workplace violence incidents. Retrieved September 20, 2009, from http://www.osha.gov/OshDoc/ Directive_pdf/CPL_02-01-052.pdf 

  15. Park, E. O., Kang, S. J., Lee, E. K., Ji, E. J., Kang, R. H., & Back, C. H. (2001).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7 (2), 187-202. 

  16.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Long term care. Retrieved November 15, 20111, from http://www.mw.go. kr/front_policy/jc/sjc0110mn.jsp?PAR_MENU_ID06&M ENU_ID06100101 

  17.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Nov 16). Major statistics of long-term care 2010. Retrieved November 30, 2011, from http://www.mw.go.kr/front/jb/sjb030301vw. jsp?PAR_MENU_ID03&MENU_ID031604&page2&CO NT_SEQ264605 

  18. The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Mar 30). Major statistics of senior industry 2007. Retrieved November 15, 2011,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ata/ publicationView. jsp?menuId41&bbsSeq7&nttSeq10943&sea rchKey&searchWord&nPage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