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역방출방식 CO2 소화설비의 설계농도 및 유지시간 검증을 위한 직접방사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 Discharge Test for Verifying Design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for CO2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otal Flooding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6 no.6, 2012년, pp.15 - 23  

이세명 (주식회사 페스텍 화재시험연구소) ,  문성웅 (주식회사 페스텍 화재시험연구소) ,  유상훈 (주식회사 페스텍 화재시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 시험방법에는 직접시험방법이 가장 좋지만, 고비용과 환경문제 그리고 시험절차의 어려움으로 간접시험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석유화학플랜트나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국가 중요위험시설은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직접방사시험을 통해 소화성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설치된 전역방출방식의 $CO_2$ 소화설비 중에서 표면화재 방호구역과 심부화재 방호구역을 각각 선정하여 $CO_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을 검증해 보았다. 소화성능은 방호구역 내에 방사된 $CO_2$의 농도가 설계농도기준(NFSC 및 NFPA)에 만족해야 그 성능을 인정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설계농도는 $CO_2$ 소화약제가 화염을 제어할 수 있는 소화농도에 여유율 20 %를 감안한 농도를 의미한다. 시험결과 표면화재와 심부화재 방호구역 모두 $CO_2$ 설계농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심부화재의 경우에는 20분 이상 설계농도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대한 직접방사시험 방법 및 판정방법을 소개하였고 향후 이와 같은 국가 중요위험시설에는 직접방사시험을 통해 소화설비의 신뢰성을 검증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irect Test Method is often used instead of direct test method in test method for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CO_2$ extinguishing facility because of high cost, environment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procedure. But in the danger facilities for a unit of nation, such as a petroche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설치된 전역방출방식 CO2 소화설비에 대한 직접방사시험을 표준화재 방호구역과 심부화재방호구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 국가 중요위험시설에 설치된 전역방출방식 CO2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직접방사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사시험은 표면화재 방호구역과 심부화재 방호구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해당 방호구역 내에 CO2 설계 농도가 확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O2 농도를 측정할 수있는 가스 분석기(Gas Analyzer)를 사용하였다.
  • 소화설비의 소화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직접방사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사시험은 표면화재 방호구역과 심부화재 방호구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해당 방호구역 내에 CO2 설계 농도가 확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O2 농도를 측정할 수있는 가스 분석기(Gas Analyzer)를 사용하였다. 가스 분석 기의 사양은 Table 6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FPA 12, "Standard on Carbon Dioxide Extinguishing System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p. 5, pp. 14-16, p. 33 (2008). 

  2. S. M. Park, "A Study on the Agent Compensation for the Leakage through Opening and Unsealed Enclosure Leakage Areas for the Gaseous Extinguishing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 No. 1, pp. 2-9 (2000). 

  3. S. W. Nam, "Design and Construction of Fire Extinguish Equipment", Sungandang, Kor, pp. 706-715 (2008). 

  4. K. W, Kang, "Introduction to Fire Protection Professional Engineer",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Kor, p. 649 (2007). 

  5. NFPA 2001, "Standard on Clean Agent Fire Extinguishing System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2008). 

  6. C. W. Lee, A. Y. Yun, J. S. Na and K. J. Um, "A Study on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Adaptability Using the Door Fan Test",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Conference, pp. 99-102 (2010). 

  7. Y. K. Park, "Reliability Assessment for Fire Protection Area of Gas Extinguishing System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4, No. 1, pp. 27-31 (2008). 

  8. K. S, Jung, "A Study on the Compensation through Opening for the Gaseous Extinguishing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3, No. 2, pp. 32-38 (2007). 

  9. SFP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th Edition (1995). 

  10. R. T. Wickham, "Review of the Use of Carbon Dioxide Total Flooding Fire Extinguishing Systems", Wickham Associates (2003). 

  11. I. S. Jacobs and C. P. Bean, "Fine particles, thin films and exchange anisotropy," Schenectady, New York, pp. 271-350 (19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