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제우주정거장 내부 화재시 연기거동 및 감지특성에 관한 수치 모델링
A Numerical Modeling of Smoke Behavior and Detection for Fire Developed in International Space Sta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6 no.6, 2012년, pp.51 - 56  

박설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융합기술연구소 우주과학연구팀) ,  이주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융합기술연구소 우주과학연구팀) ,  김연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융합기술연구소 우주과학연구팀) ,  황철홍 (대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제우주정거장에서 화재발생은 승선한 승무원들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안이므로 선실내부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도 있는 화재의 초기 감지 및 진화는 우주정거장의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각종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는 가압모듈을 대상으로 환기, 연기거동 및 감지에 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수치모델링은 NIST에서 개발된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사용하였으며, 부력이 작용하지 않는 국제우주정거장 내부의 무중력환경에서 발생된 화재의 연기거동패턴은 지상에서의 현상들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가압모듈에서 적용되고 있는 환기조건을 고려하여 수행된 연기거동 및 감지특성에 대한 수치 모델링 결과는 향후 무중력환경에 노출된 수 있는 우주선이나 대형우주구조물의 화재검출장비의 설계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승선하게될 우주인이나 승무원들의 훈련자료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nset of fire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is a critical problem that can threaten the life of crew members onboard and thus instantaneous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ment technolog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the ISS operation. In the present stud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무중력환경에서 발생된 화재를 실험적으로 모사하여 연기감지기의 성능을 검증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SS의 미국 NASA 가압모듈인, Destiny모듈 내부 형상을 모델링하고 임의의 화염을 발생시켜 중력장 변화에 따른 연기입자 거동 및 감지에 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ISS 내부의 공기유동조건과 거의 동일한 조건을 수치모사 하여 화염을 통해 발생되는 연기입자의 이동 패턴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신호검출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SS의 미국 NASA 가압모듈인, Destiny모듈 내부 형상을 모델링하고 임의의 화염을 발생시켜 중력장 변화에 따른 연기입자 거동 및 감지에 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아울러 ISS 내부의 공기유동조건과 거의 동일한 조건을 수치모사 하여 화염을 통해 발생되는 연기입자의 이동 패턴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신호검출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ISS의 미국 가압모듈인 Destiny 모듈을 대상으로 중력장의 변화에 따른 연기거동 및 감지특성을 환기유동조건과 연계하여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무중력환경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연기거동 특성은 부력이 사라짐으로써 중력장환경과는 확연하게 다름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연기검출기의 위치도 지상과는 달리 바닥면쪽에 설치되어야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주정거장에서 화재의 초기 감지 및 진화가 중요한 이유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화재발생은 승선한 승무원들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안이므로 선실내부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도 있는 화재의 초기 감지 및 진화는 우주정거장의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각종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는 가압모듈을 대상으로 환기, 연기거동 및 감지에 관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H. Lee and K. H. Choi, "Space Laboratory-Pressurized Modules of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1, No. 1, pp. 109-116 (2003). 

  2. J. H. Lee, Y. K. Kim and K. H. Choi, "Overview of Manned Space Expriment",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3, No. 2, pp. 79-71 (2005). 

  3. P. D. Ronney, "Understanding Combustion Process through Microgravity Research", Proceeding of Combustion Institute, Vol. 27, pp. 2455-2506 (1998). 

  4. R. Friedman, "Fire Safety in Spacecraft", Fire and Materials, Vol. 20, pp. 235-243 (1996). 

  5. http://spaceflight.nasa.gov/history/shuttle-mir/history/h-flinenger- fire.htm 

  6. S. Y. Mun and C. H. Hwang, "Performance Evaluation of FDS for Predicting the Unsteady Fire Characteristics in a Semi-Closed ISO 9705 Roo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3, pp. 21-28 (2012). 

  7. J. Smagorinsky, "Gerneral Circulation Experiments with the Primitive Equations", Monthly Weather Rev., Vol. 91, No. 3, pp. 99-164 (1963). 

  8. G. D. Raithby and E. H. Chui, "A Finite-Volume Method for Predicting Radiant Heat Transfer in Enclosures with Participating Media", Journal of Heat Transfer, Vol. 112, No. 2, pp. 415-423 (1990). 

  9. ISS User's Guide Release 2.0. 

  10. NASA, "Living Together in Spac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Life Support Systems on the ISS", TM- 98-206956 (1998). 

  11. J. E. Brooker, D. L. Urban and G. A. Ruff, "ISS Destiny Laboratory Smoke Dection Model", SAE paper 2007-01- 3076 (2007). 

  12. D. L. Urban, G. A. Ruff, T. Cleary, J. Yang, G. Molholland and Z. Yuan, "Dectection of Smoke from Microgravity Fire", SAE paper 2005-01-2930 (2005). 

  13. K. McGrattan, H. Baum, R. Rehm, W, Mell, R. McDermott, S. Hostikka and J. Floyd,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Technical Reference Guide Volume 1: Mathematical Model", NIST Special Publication 1018-5,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Technology (2010) 

  14. K. McGrattan, R. McDermott, S. Hostikka and J. Floyd,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User's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5,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Technolog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