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진지역 석석(Sn)광상은 선캠브리아기의 왕피리(분천)화강편마암모암으로 하는 페그마타이트에 배태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실질적 기원암으로서 후기의 우백질화강암체의 존재는 간과되었다. 또한, 함께 산출되는 리튬광체도 같은 화강암의 분화산물이며, 리튬 포함 광물은 테니오라이트로 확인된다. 경북 봉화와 강원도 영월의 견운모광상은 함백향사 일대에 위치하며, 모암은 각기 시대미상 및 선캠브리아기 페그마타이틱 미그마타이트 및 홍제사화강암류로 기재되었으나, 이들도 고기 화강암류와 구분되는 후기 화강암류와 관련이 있다. 흑운모 및 녹니석류를 흔히 포함하는 고기 화강암류와 달리, 후기 화강암류는 알바이트장석과 백운모-3T형 등이 많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후기 화강암류는 $K_2O$$Na_2O$ 함량이 각기 1.71~6.38 및 0.13~8.03 wt%로서 알칼리 함량이 높지만, CaO는 0.05~1.21 wt% 에 불과하며, 그라이젠화와 알비타이트화가 뚜렷하다. 경기도 강화섬의 선캠브리아기 경기편마암복합체를 관입한 대보화강암으로 추정되는 마니산화강암을 관입한 우백질 화강암체도 농집된 미사장석이 고령토화되었다. 태백산 일대는 광상형성에 유리한 탄산염암의 분포가 넓으며 기반암류와 구분되는 분화 후기의 알카리화강암류가 산재하므로, 주변의 중석, 휘수연 및 석석광상 등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희유금속류 및 희토류원소류의 확인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ljin cassiterite deposit had been known to be a pegmatitic origin derived from the Wangpiri (Buncheon) granitic gneiss of Precambrian period. Lithium ore also shows the same origin and its lithium bearing mineral was ascertained to be a taeniolite. But the presence of leucocratic granites which 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소 흔치 않은 국내 알비타이트-그라이젠형 광상의 지질 및 성인 등에 대해 견해를 달리한 연구에 대한 차이점 제기를 위해 본 저자의 부분적인 연구와 함께 과거 자료들을 종합하여 기재하였다.
  • 이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하는 “해외 희유금속자원 탐사 및 부존잠재성 평가(과제 번호; 12-530292)” 연구의 일환으로 해외 희유금속광물자원탐사와 성인적으로 유사성을 가지는 국내 알카리심성암류 중에서 알비타이트-그라이젠화에 의한 리튬, 견운모 및 고령토광상의 제반자료를 종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비타이트-그라이젠 광상으로 묶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통상적으로, 그라이젠은 알비타이트와 함께 나타 나기 때문에 알비타이트-그라이젠 광상으로 묶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Smirnov, 1976). 독일에서 유래한 그라이젠이란 용어는 운모류와 석영립을 주로 하고 전기석, 토파즈 및 형석 등을 포함하는 우백질 화강암류를 기원으로 하며, 알비타이트는 러시아 동부 트랜스바이칼에서 유래하며 알바이트 (albite)를 주로 하고 석영, 미사장석, 운모류, 각섬석 등을 반정류로 하는 화강암류이다.
맥상 페그마타이트 리튬광체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5 m 이내의 맥상 페그마타이트 리튬광체는 석영․장석과 함께 2∼3 cm 크기의 거정질 백운모 편과 유사한 결정을 포함하거나, 각력암의 형태의 리튬광석을 포함하는 두 가지이다. 페그마타이트형 광체는 3∼5 cm 두께와 5∼10 cm 넓이의 다소 불규칙한 페취(patch)상으로서 베이지색 장석과는 구별이 쉽지만 석영과의 구별은 쉽지 않고 경도가 낮아 햄머로 긁히는 것이 특징이며, 2∼3 mm 폭으로 석영맥과 호층을 이루기도 한다. 각력질 광체는 페블(pebble) 및 보울더(boulder) 크기의 리튬광석, 석영 및 장석류가 점토, 실트(silt), 샌드(sand) 및그래뉼(granule)입자 등의 고화가 덜된 유백-베이 지색 석기(matrix)에 포함된다.
알비타이트는 무엇인가? 통상적으로, 그라이젠은 알비타이트와 함께 나타 나기 때문에 알비타이트-그라이젠 광상으로 묶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Smirnov, 1976). 독일에서 유래한 그라이젠이란 용어는 운모류와 석영립을 주로 하고 전기석, 토파즈 및 형석 등을 포함하는 우백질 화강암류를 기원으로 하며, 알비타이트는 러시아 동부 트랜스바이칼에서 유래하며 알바이트 (albite)를 주로 하고 석영, 미사장석, 운모류, 각섬석 등을 반정류로 하는 화강암류이다. 이들은 카자 흐스탄, 러시아 등 구 소련에서 흔히 기재되었으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 남부 및 북한에 서도 보고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istow, C.M. (1987) World kaolins-genesis, exploration and application. Industrial Minerals, 238, 45-59. 

  2. Choi, Y.K., Hong, M.S., Kim, B.K., Yoon, S.K., Lee, D.S., Cheong, C.H., Son, C.M., and Kim, H.T. (1962) Geological map of Gyesanchon sheet, Report on the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Taebaegsan region. Geological Survey of Korea (in Korean). 

  3. Dewaele, S., Henjes-K.unst, F., Melcher, F., Sitnikova, M., Burgess, R., Gerdes, A., Fernandez, M.A., De Clercq, F., Muchez, P., and Lehmann, B. (2011) Late Neoproterozoic overprinting of the cassiterite and columbite-tantalite bearing pegmatites of the Gatumba area Rwanda (Central Africa). 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 61, 10-26. 

  4. Guilbert, J.M. and Park, C.F. Jr. (2007) The geology of ore deposits. Waveland Press, Inc., Long Grove, Illinois, 397-509. 

  5. Hong, J.K. (1996) Before the fact might not be forgotten (One of sections in the reality of Korean mining history), 52-60 (in Korean). 

  6. Kim, O.J. (1963) Geological map of Samgun sheet (7024-IV) and explanatory text. Geological Survey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im, Y.J. and Lee, D.S. (1983) Geochronology and petrogenetic processes of the so-called Hongjesa granite in the Seogpo-Deogku area. Journal of the Korean Mining Geology, 16, 163-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Y.J., Cho, D.L., and Hong, S.S. (1986) Petrochemical study of alkali granites in the northern area of the Uljin mine. Journal of the Korean Mining Geology, 19, 123-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J.H., Yoo, J.H., Park, Y.S., and Kim, Y.U. (1984) Investigation of the Daehyun sericite deposi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83-Mineral resources-4-13), 99-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nnaird, J.A. (1984) Contrasting styles of Sn-Nb-Ta- Zn mineralization in Nigeria. 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s, 2, 81-90. 

  11. Kuster, D. (2009) Granitoid-hosted Ta mineralization in the Arabian-Nubian Shield: Ore deposit types, tectono-metallogenetic setting and petrogenetic framework. Ore Geology Reviews, 35, 68-86. 

  12. LaLonde, R.E. (1963) X-ray diffraction data for taeniolite. American Mineralogist, 48, 204-205. 

  13. Lee, D.S. (1966) Ogdong sheet (6925-III) and explanatory text. Geological Survey of Korea (in Korean). 

  14. Miser, H.D. and Stevens, R.E. (1938) Taeniolite from Magnet Cove, Arkansas. American Mineralogist, 23, 104-110. 

  15. Moon, S.H., Park, H.I. Ripley E.M., and Lee I.S. (1996) Mineralogical and stable isotope studies of cassiterite greisen moneralization in the Uljin area, Korea. Economic Geology, 91, 916-933. 

  16. Moon, S.H. and Park, H.I. (1994) Alteration of granite gneiss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 to tin mineration in the Uljin a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125-1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Na, K.C. and Lee, D.J. (1978) Petrological study of Hongjesa Granit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4, 103-112. 

  18. Oh, J.H., Hwang, J.Y., Koh, S.M., Kwack, K.W., Lee, H.M., and Chi, S.J. (2008)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sericite deposit in the Hongjesa granite from the Bonghwa area in Kyungsangbuk-do,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1, 67-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Rhee, B.Y. and Kim, S.J. (1998) Mineralogical study of sericite in the Daehyun mine: formation, chemistry and polytype.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1, 69-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Rub, A.K., Stemprok, M., and Rub, M.G. (1998) Tantalum mineralization in the apical part of the Cinovec (Zinnwald) granite stock. Mineralogy and Petrology, 63, 199-222. 

  21. Smirnov, V.I. (1976) Geology of mineral deposit. Mir Publishers, Moscow, 197-210. 

  22. Srivastava, P.K. and Sinha, A.K. (1997)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ungsten-bearing granites from Rajasthan, Indi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60, 173-184. 

  23. Stemprok, M. (1987) Greisenization (a review). Geologische Rundschau 76/1, 169-175. 

  24. Teng, F.Z., McDonough, W.F., Rudnick, R.L., Walker, R.J., and Sirbescu, M.L.C. (2006) Lithium isotopic systematics of granites and pegmatites from the Black Hills, South Dakota. American Mineralogist, 91, 1488-1498. 

  25. Webster, J.D., Thomas, R., Rhede, D., Forster, H.-J., and Seltmann, R. (1997) Melt inclusions in quartz from an evolved peraluminous pegmatite: Geochemical evidence for strong tin enrichment in fluorine- rich and phosphrous-rich residual liquid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1, 2589-2604. 

  26. Yoo, J.H. and Chi, S.J. (2008) Genetic consideration of sericite deposits derived from granitic rocks in the Taebaegsan region.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1, 239-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 J.H., Hong, S.S., Lee, H.J., and Cho, H.I. (1990) Secondary kaolin deposits of Jeollabugdo and primary deposits of Kanghwa island, Kyunggido. Korea Research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KR-90-2B-1), 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