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관리체계(M(i,j,k)BCP) 제안과 석회석광산의 리스크 평가
Introduction of the M(i,j,k)BCP and Risk Assessment of Underground Limestone Mine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2 no.6 = no.101, 2012년, pp.383 - 392  

이성민 (영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선명 (한북대학교 에너지 자원학과) ,  이연희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광산관리를 위해 스마트 광산재난관리체계인 $M_{(i,j,k)}BCP$(Mining Business Continuity Planning)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i'는 광산의 종류, 'j'는 광산의 업무공정, 그리고 'k'는 공정별 리스크 이다. 특히, 본 연구는 'i=1=석회석 광산'으로 규정하고 석회석광산의 재난관리체계를 $M_{(i,j,k)}BCP$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광산 리스크들은 문헌자료와 전문가 의견 분석을 통하여 얻었으며, 이러한 리스크들을 석회석 광산의 5대 공정에 맞도록 분류하여 그 수를 약 60개에서 26개로 줄였다. 줄여진 리스크들은 $M_{(i,j,k)}BCP$에 할당되고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리스크 평가에 사용한 척도는 1회 이상 발생빈도, 인명피해, 시설물피해, 업무중단시간 등 4가지이다. 리스크 평가 결과에 의하면, 리스크들은 4개의 특화된 군으로 분리될 수 있었다. 또한, 석회석 광산에서는 '채광 중 갱내 낙반 또는 붕락 발생 리스크'의 발생가능성과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리스크에 대한 재난관리체계는 '$M_{(1,2,1)}BCP$'이다. 이는 석회석광산 개발시 $M_{(1,2,1)}BCP$가 최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roduces $M_{(i,j,k)}BCP$ (Mining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which is the smart management system of mine disasters to achieve the safe and eco-friendly mining. Where, 'i' is mine kinds, 'j' is mining processes, and 'k' is risks at process respectively. By specifically s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난관리체계 구축의 목적은 철저한 예방을 통해 재난 발생을 사전에 대비하고, 재난이 발생할 경우 그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여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CP를 이용하여 광산 개발 전주기에 걸쳐 재난 또는 재해 예방 및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스마트 광산재난관리체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광산 중 ‘i(kind)=1’인 석회석광산의 재난관리체계에 주안점을 두었다.
  •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수준의 Group 1에 다수의 리스크가 분포하게 된 결과가 석회석 광산에서 리스크에 의한 재난 발생 가능성이 없거나 리스크로 인한 위험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리스크 규명과 도출에 있어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재난・재해 유형 및 피해 현황 자료들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이렇게 도출된 리스크에 대하여 광산분야 전문가들의 설문의견 수렴에서도 현장상황을 반영한 리스크 분석으로 평가되었음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리스크 평가 결과로 보아, 석회석 광산에서의 재난은 잦은 빈도로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대형 재난이 아니라 광산내 재난 발생 위험 리스크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조금 잦은 빈도와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유발하는 몇몇 특정 리스크에 의한 재난 발생이 예상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광산의 스마트한 재난관리체계를 MBCP (Mining Business Continuity Planning)로 제안한다. MBCP는 광산재난을 뜻하는 Mining Disaster와 재난관리 및 업무운영 연속성 유지를 위한 방법론의 하나인 Business Continuity Planning(업무연속성계획)를 합성하여 표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광산의 스마트 재난 관리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리스크 분석 및 리스크 평가를 실시하였다. 석회석광산의 업무공정을 크게 5가지 분류하고, 리스크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6개의 리스크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운용중인 광산에서 발생 가능한 재난 예방 및 연속성 확보 전략에 주안점을 두고, 광산 재난관리통합시스템구축과 실질적인 광산재난관리의 현장적용에 초점을 둔다. 즉, 체계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i는 광산의 종류, j는 광산에서의 업무공정, k는 광산에서의 위험요인으로 정의하여, 일목요연하고 접근성 쉬운 M(i,j,k)BCP로 구현하고자 한다(Table 1).
  • 여러 문헌 자료들에서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는 석회석광산의 갱내 업무 공정을 작업의 연속성 또는 유사성을 고려하여 ① 발파 및 천공 ② 채광 ③ 적재 및 운반 ④ 파분쇄 및 분립선별 ⑤ 유지관리의 5가지 공정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유지관리의 경우 광산개발에 있어서 하나의 업무 공정으로 구분함에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앞서 분류한 4가지 공정에 포함되지 않는 업무들을 통칭하여 분류하고자 했다. 이렇게 분류된 5가지 업무 공정에 따라 앞서 일차적으로 분류한 약 60여개의 재난 유형을 선별, 재분류하여 최종적으로 26개의 리스크를 도출하여 j(process), k(risk) 분류에 따라 Table 2에 나타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광산의 갱내화에 따른 재난 및 재해 발생을 예방하고, 재난 발생 시 업무 연속성이 유지되기 위한 「스마트 광산재난관리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석회석 광산의 재난관리(Limestone Mine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석회석광산업무연속성계획)에 필수적인 광산 리스크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 재난관리체계 구축의 목적은 철저한 예방을 통해 재난 발생을 사전에 대비하고, 재난이 발생할 경우 그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여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CP를 이용하여 광산 개발 전주기에 걸쳐 재난 또는 재해 예방 및 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스마트 광산재난관리체계」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광산의 갱내화에 따른 재난 및 재해 발생을 예방하고, 재난 발생 시 업무 연속성이 유지되기 위한 「스마트 광산재난관리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석회석 광산의 재난관리(Limestone Mine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석회석광산업무연속성계획)에 필수적인 광산 리스크를 도출하여 이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석회석 광산 재난관리체계와 리스크 평가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1. 석회석 광산에서 발생 가능한 재난 예방 및 재난 발생시 업무연속성확보전략 등의 재난관리체계를 M(1,j,k)BCP(Limestone Mine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라 제안하였다. 석회석광산의 업무 공정별(j, process), 리스크별(k, risk)로 간편하게 구분하여 j, k로 표현되는 하위 개념으로 구현하여 분석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광산재난관리체계는 M(i,j,k)BCP로 표현하여 석회석광산 뿐만 아니라 모든 광산에 적용 가능하며 이때 하위 개념 i는 광산의 종류(kind)를 뜻한다. 2. 5개 업무 공정으로 분류한 26개 리스크들에 대하여 광산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리스크 평가 설문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리스크 위험도가 4수준을 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 리스크의 약 73%는 상대적으로 리스크 발생 가능성과 피해규모가 작은 Group 1에 분류되었다. 리스크 발생 가능성과 피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Group 2에는 약 15%, Group 3에는 약 12%의 리스크가 분포하였다. 3. 발생가능성 대 피해규모에 대한 리스크 분포를 보면, 재난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비해 재난 발생 시 피해 규모가 큰 리스크는 전체의 약 54%인 14개이고, 상대적으로 재난 발생 가능성이 큰 반면 재난 발생으로 인한 피해규모가 크지 않은 리스크는 전체의 약 46%인 1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석회석 광산에서 가장 위험도 높고 우선적으로 재난관리가 필요한 위험요인은 채광 중 광주, 천반, 측벽부 등 갱내에서 낙반 또는 붕괴 발생 리스크이며 이에 대한 재난관리체계는 M(1,2,1)BCP 이다.
노천채광의 장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석회석 광산은 갱내채광에 비해 경제성, 효율성, 안정성의 장점이 있는 노천채광을 채택해 왔으나, 광산 개발 중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비산, 먼지, 진동 등의 환경 유해요소와 산림 훼손 등 문제점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문제들을 해소하고 친환경 녹색 성장이라는 사회적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갱내 채광 또는 시설물 갱내화를 통해 친환경 녹색광산개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예기치 않은 사고는 어떤 문제를 추가로 발생하게 하는가? 한편 예기치 않은 사고는 직접적인 인적, 물적 손실은 물론이고 재난 발생 이전의 원상태로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정상업무 재개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 막대한 유・무형의 연쇄적인 이차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유발시킨다. 예를 들어 석회석 광산에 사고적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 재산 손실 등 직접적인 일차 피해뿐만 아니라 대외 신뢰도 저하, 광산의 정상 업무 재개까지 생산손실, 유휴장비 발생 등 유・무형의 2차 피해가 연쇄적으로 확산되어 피해 규모는 점점 증가하게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on Sunwoo and Young-Bok Jung, 2005, Stability Assessment of Underground Limestone Mine Openings by Stability Graph Method,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15.5, 369-377. 

  2. Chung-Mo koo, Seok-Won jeon, In-Woo Lee, 2008, Underground Mine Design and Stability Analysis at a Limestone Mine,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18.4, 243-251. 

  3. Rao K.U.M.. C Sunwoo, S Chung, S Choi, Y Jeon, 2003, A Suggestion of Rock Mass Classification Systems for Stability of Underground Limestone Mines-A Case Study,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13.6, 421-433. 

  4. Yong-Kyun Yoon and Hong-Woo Lee, 2007, Evaluating the Stability of Large-scale Gangways Mined in a Limestone Mine Using Rock Classification Scheme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17.6, 503-510. 

  5.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1, Disaster Yearbook. 

  6.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0, Disaster Yearbook. 

  7.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of Korea (MKE), 2008, Mine disaster statistics. 

  8. The Mine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11, Metal/nonmetal fatality report, http://www.msha.gov/stats/charts/mnmdaily.asp, accessed on December 16, 2011. 

  9. Korea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Association Inc, 2011, Textbook for Advanced Course of Disaster Management, 31-80. 

  10. Korea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Association Inc, 2011, Textbook II for Basic Course of Disaster Management, 403-486. 

  11. Herbert William heinrich, 1931,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12. Yoo, J.K., 2008,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a Practical Guide, FKI media, 105-1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