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세척공정을 이용한 군사격장 납 오염토양의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Lead-contaminated Soil at Military Shooting Range by Using Soil Washing Process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18 no.4, 2012년, pp.390 - 397  

안성균 ((주)금송이엔지) ,  김철 ((주)금송이엔지) ,  이정만 (동의과학대학교 환경분석센터) ,  이강춘 (동의대학교 화학공학과) ,  손장호 (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병길 (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  윤태경 (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 세척공정을 이용한 창원시 군사격장 내 납(Pb) 오염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토양 세척인자(세척제(HCl) 농도(0.001, 0.01, 0.1, 0.2 N), 진탕비(1 : 2, 1 : 3, 1 : 4, 1 : 5), 오염토양 입경 4~0.075 mm, 세척시간(5, 10, 15, 20, 30, 60, 120분) 등)에 따른 오염토양 중 납의 제거특성을 평가하였다. 세척제 농도에 따른 제거효율은 세척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 중 세척시간 15분에서 납(Pb)제거효율은 56.3%로 0.1 N 염산(HCl)이 실제 토양 세척공정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농도로 나타났으며, 토양과 세척제의 진탕비가 1 : 2에서 1 : 5로 증가할수록 제거효율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진탕비가 높아질수록 토양 세척설비의 규모 증대로 인한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최적의 진탕비는 1 : 3으로 생각된다. 세척시간 20분까지 납 제거효율은 75.3%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유사한 경향을 보여 최적의 세척시간은 20분으로 판단된다. 토양 입경 0.075 mm 이상의 입경에서 납 제거효율은 77.0~82.0%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입경 0.075 mm 이하의 경우 52.8%로 감소하였다. 오염토양의 입경별 제거효율은 0.075 mm 이상의 입경에서는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낸 반면에 0.075 mm 이하의 입경에서는 제거효율이 현저히 감소되어 컷오프(cut-off) 크기는 0.075 mm가 적절할 것으로 기대된다. 토양 세척공정에 초음파 발생장치를 적용한 제거효율 평가 결과, 입경 0.075 mm 이상에서 물세척 및 염산의 단독세척보다 염산과 초음파의 동시 세척방법이 가장 높은 납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moval characteristics of lead-contaminated soil at the military shooting range located in the Changwon city were studied experimentally using soil washing process. As a washing solution, hydrogen chloride (HCl) concentrations of 0.001, 0.01, 0.1 and 0.2 N were used, and soil : solution ratio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세척공정을 이용한 군사격장 내 납 오염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토양세척인자(세척제 농도, 진탕비, 세척시간 등)에 따른 오염토양 중납의 제거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은 토양 세척공정의 적용 시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진탕비를 선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진탕비가 과도하게 클 경우에는 처리효율과 경제성 그리고 장비의 운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 본 연구에서 토양 세척공정을 이용한 군사격장 내 납 오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토양세척인자(세척제 농도, 진탕비, 세척시간 등)에 따른 오염토양 중 납의 제거특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세척기법은 무엇인가? pH 변화와 산성강우 등의 환경조건이 변함에 따라 오염물질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양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토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처리대상 오염물질에 따라 물, 계면활성제, 유기산, 무기산, 염기, 착화제 등의 적절한 세척제를 선별하여 토양입자와 결합되어 있는 유해 오염 물질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는 토양세
중금속 오염토양에 적용 가능한 정화기술로는 무엇이 있는가? 중금속 오염토양에 적용 가능한 정화기술로는 화학적 처리(chemical treatment),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토양세척 및 세정(soil washing / flushing), 동전기법(electrokinetic method), 식물정화법(phytoremediation) 등이 있다[10]. 이들 대부분은
용해도 이상의 납 이온은 토양과 토양용액의 성분에 따라 침전물로 존재하는 이유는? 납 이온은 토양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다른 금속과 치환하여 흡착되며, 용해도 이상의 납 이온은 토양과 토양용액의 성분에 따라 침전물로 존재한다. 이는 유기물함량이 높고 pH가 6~8의 조건에서 납은 비용해성 유기 납 착화합물을 형성하고, 유기물함량이 낮은 토양의 경우 같은 pH 조건하에서 수산화납, 탄산납, 인산납 등의 침전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9]. 토양에 유입된 중금속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고 오랫동안 잔류하게 되며, 식물이나 지하수로 이동하여 생태계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oon, D.-H., Cheong, K.-H., Kim, T.-S., Kim, J.-H., Choi, S.-B., and Ok, Y.-S., "Stabilization of Pb Contaminated Army Firing Range Soil Using Calcined Waste Oyster Shells," J. Korean Soc. Environ. Eng., 32(2), 185-192 (2010). 

  2. Park, S.-H., Bae, B.-H., Kim, M.-K., and Chang, Y.-Y., "Distribution and Behavior of Mixed Contaminants, Explosives and Heavy Metals, at a Small Scale Military Shooting Range," J. Korean Soc. Water Qual., 24(5), 523-532 (2008). 

  3. Johnson, C. A., Moench, H., Wersin, P., Kugler, P., and Wenger, C., "Solubility of Antimony and Other Elements in Samples Taken from Shooting Ranges," J. Environ. Qual., 34(1), 248- 254 (2005). 

  4. Hardison, D. W., Ma, L. Q., Luongo, T., and Harris, W. G., "Lead Contamination in Shooting Range Soils from Abrasion of Lead Bullets and Subsequent Weathering," Sci. Total Environ., 328, 175-183 (2004). 

  5. Ackermann, S., Giere, R., Newville, M., and Majzlan, J., "Antimony Sinks in the Weathering Crust of Bullets from Swiss Shooting Ranges," Sci. Total Environ., 407(5), 1669-1682 (2009). 

  6. Fayiga, A. O., Saha, U., Cao, X., and Ma, L. Q.,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Lead in Three Shooting Range Soils in Florida," Chem. Speciation and Bioavailability, 23(3), 148-154 (2011). 

  7. Sorvari, J., Antikainen, R., and Pyy, Q.,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t Finnish Shooting Ranges-the Scope of the Problem and Management Options," Sci. Total Environ., 366, 21-31 (2006). 

  8. Oh, B.-T., "Remediation of Explosives and Heavy Metals Contaminated Soil," J. Environ. Hi-Technol., 7, 1-11 (2010).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chemes Considering Fate and Transport of Soil Contaminants," Report No. 20, December, 2003. 

  10. Mulligana, C. N., Yong, R. N., and Gibbs, B. F., "An Evaluation of Technologies for the Heavy Metal Remediation of Dredged Sediments," J. Hazard. Mater., 85(1-2), 145-163 (2001). 

  11. U.S. EPA, "A Citizen' Guide to Soil Washing," Report No. 542-F-96-002, 1-4, 1996. 

  12. Abumaizar, R., and Khan, L. I., "Laboratory Investigation of Heavy Metal Removal by Soil Washing," J. Air & Waste Manage. Assoc., 46(8), 765-768 (1996). 

  13.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Remedation Technique of the Pollution Soil," 151-158, December, 2001. 

  14. Park, S.-H., "A Study on the Remediation Strategy for the Contaminated Soil in the Military Shooting Range," Master's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2007. 

  15.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Korean Standard Test Method for Soils," Notice No. 2009-255, October, 2009. 

  16. Tapan, A., and Singh, M. V., "Sorption of Characteristics of Lead and Cadmium in Some Soils in India," Geoderma, 114, 81-92 (2003). 

  17. Lin, Z., Comet, B., Qvarfort, U., and Herbert, R., "The Chemical and Mineralogical Behaviour of Pb in Shooting Range Soils from Central Sweden," Environ. Pollut., 89(3), 303-309 (1995). 

  18. Cao, X., Ma, L. Q., Chen, M., Hardison, D. W., and Harris, W. G., "Lead Transformation and Distribution in the Soils of Shooting Ranges in Florida, USA." Sci. Total Environ., 307 (1-3), 179-189 (2003). 

  19. Eweis, J. B., Ergas, S. J., Chang, D. P. Y., and Schroeder, E. D., Bioremediation Principles, McGraw-Hill Co., Malaysia, 1998, pp. 26-27. 

  20. Astrup, T., Boddum, J. K., and Christensen, T. H., "Lead Distribution and Mobility in a Soil Embankment Used as a Bullet Stop at a Shooting Range," J. Soil Contam., 8, 653-665 (1999). 

  21. Rooney, C. P., Mclaren, R. G., and Cresswell, R. J., "Distribution and Phytoavailability of Lead in a Soil Contaminated with Lead Shot," Water, Air, & Soil Pollut., 116, 534-548 (1999). 

  22. Kim, H.-S., and Choi, S.-I., "Effects of HCl and EDTA on Soil Washing to Remediate Lead-contaminated Soil in a Firing Range," J.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13(1), 60-66 (2008). 

  23. Paek, C.-S., Hyun, J.-H., Cho, M.-Y., and Kim, S.-J.,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Washing Process," J.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5(1), 45-54 (2000). 

  24. Hwang, S.-S., Park, S.-S., and Nam, K.-W., "Extraction Kinetics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J. Korean Soc. Environ. Eng., 26(11), 1181-1190 (2004). 

  25. Hwang, S.-S., Lee, N.-S., and Nam, K.-W.,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Metal-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J. Korean Soc. Environ. Eng., 27(10), 1072-1080 (2005). 

  26. Ko, I.-W., Lee, C.-H., Lee, K.-P., and Kim, K.-W., "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Arsenic and heavy Metals by Soil Washing," J.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9(4), 52-61 (2004). 

  27. Choi, S.-I., Kim, K.-H., and Han, S.-K.,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ield Scale Sequential Washing Process for the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s," J.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10(6), 68-74 (2005). 

  28. Baek, K.-T., Kim, D.-H., Seo, C.-I., Yang, J.-S., and Lee, J.-Y., "Remediation of Pb-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using Hydrochloric Acid," J. Soil and Groundwater Environ., 12(3), 17-22 (2007). 

  29. Kim, J.-D.,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Soil Washing of Mine Tailings-contaminated Soil according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J. Korean Ind. Eng. Chem., 19 (1), 98-104 (2008). 

  30. Hwang, S.-S.,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 by Soil Washing and Sonication,"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