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Kwa-Jung-ryu,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made by head families. We examined the materials and recipes of Kwa-Jung-ryu, which were classified into Yumilgwa, Yugwa, Jeonggwa, Dasikgwa, Yeot-Gangjeong, Dang (Yeot), and others. There were 13 head families that intro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을 실시하여 종가음식 관련 서적인 “내림에서 나눔으로, 종가와 종가 음식(농촌진흥청 2010)”과 “섬김의 미학(농촌진흥청 2011a)”에 수록된 과정류에 관해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 특히 조선조 이후 과정류에 하나인 강정류의 종류에 관한 기록은 있으나 그 조리법이 밝혀지지 않다가 ‘재령이씨 종가’의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1670년경)에서 비로소 과학적 조리법이 최초로 밝혀졌다는 결과(장 2008; 정 2009)가 있을 만큼 종가의 음식은 여러 관점에서 새롭게 재 조명해볼 가치가 있는 음식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과의례음식이나 접빈객음식에 올리는 음식 중에 하나이며 한국의 전통 후식류인 과정류에 관해 종가를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을 토대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을 실시하여 종가음식 관련 서적인 “내림에서 나눔으로, 종가와 종가 음식(농촌진흥청 2010)”과 “섬김의 미학(농촌진흥청 2011a)”에 수록된 과정류에 관해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계적인 한식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따른 전통 후식류의 발굴 및 현대화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유밀과와 유과의 재료 및 조리법에 대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첫 번째로 유밀과는 밀가루에 기름과 꿀을 넣어 반죽하여 모양으로 만들어서 기름에 지져 즙청한 것이다(한국문화재보호재단 편 2000). 유밀과의 종류로는 모양에 따라 대약과, 중약과, 소약과, 다식과, 만두과, 모약과, 매작과, 차수과, 요화과 등이 있다(황 등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정류란 무엇인가? 과정류(한과)는 쌀이나 밀 등의 곡물가루에 꿀, 엿, 조청 등을 넣고 반죽하여 기름에 튀기거나 과일, 식물의 뿌리 등을 꿀로 조리거나 버무려 굳혀서 만든 과자이다(황 등 2010). 또한, 예전에는 ‘과줄’이라 불렀으며.
종가에서 전승되고 있는 조리서로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종가는 조선시대 숭유사상의 영향으로 봉제사 음식과 같은 통과의례음식과 손님을 맞이하기 위한 접빈객음식이 발달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음식들이 발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농촌진흥청 2010; 주 2011). 게다가 「수운잡방」(김유, 1540년경)이나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1670년경),「주식시의」(연암이씨 부인, 1800년대 말)와「우음제방」(연암이씨 부인, 1800년대 말)과 같은 필사된 조리서가 전승되고 있다(농촌진흥청 2010;대전역사박물관 편역 2012). 특히 조선조 이후 과정류에 하나인 강정류의 종류에 관한 기록은 있으나 그 조리법이 밝혀지지 않다가 ‘재령이씨 종가’의 조리서인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1670년경)에서 비로소 과학적 조리법이 최초로 밝혀졌다는 결과(장 2008; 정 2009)가 있을 만큼 종가의 음식은 여러 관점에서 새롭게 재 조명해볼 가치가 있는 음식으로 사료된다.
종가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 중 반가의 하나인 종가는 가문마다 옛 법도와 생활문화를 그대로 간직해 왔으며 집안 고유의 음식이 전해 내려오기 때문에 종가의 음식은 한식에 있어서 지켜지고 보존되어야 할 귀중한 문화유산 중 하나이다(Kim 2010). 또한, 종가는 조선시대 숭유사상의 영향으로 봉제사 음식과 같은 통과의례음식과 손님을 맞이하기 위한 접빈객음식이 발달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음식들이 발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농촌진흥청 2010; 주 2011). 게다가 「수운잡방」(김유, 1540년경)이나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1670년경),「주식시의」(연암이씨 부인, 1800년대 말)와「우음제방」(연암이씨 부인, 1800년대 말)과 같은 필사된 조리서가 전승되고 있다(농촌진흥청 2010;대전역사박물관 편역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경북대학교출판부 편역. 2003.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 경).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2. 김명순, 박은경, 박종숙, 양영숙, 오경옥, 이말순, 이미자, 임경려, 임영희, 전정원, 정외숙, 조후종, 홍순조, 이춘자. 2007. 떡과 전통과자. 교문사. 경기 

  3. 김포시 농업기술센터. 2009. 진수성찬: 김포향토음식문화의 맛과 멋을 만나다. 김포시 농업기술센터. 경기 

  4. 농촌진흥청.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1-10권. 교문사. 서울 

  5. 농촌진흥청. 2010. 내림에서 나눔으로, 종가와 종가음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수원 

  6. 농촌진흥청. 2011a. 섬김의 미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수원 

  7. 농촌진흥청. 2011b. 종가음식 이야기, 인테러뱅 제12호. 농촌진흥청. 수원 

  8. 농촌진흥청 편역. 2004. 산가요록(전순의 원저. 1450년 경) 농촌진흥청. 수원 

  9. 대전역사박물관 편역. 2012. 조선 사대부가의 상차림. 대전역사박물관. 대전 

  10. 윤숙경. 1998. 수운잡방(김유 원저, 1540년 경).주찬(저자미상, 1855년 이전). 신광출판사. 서울 

  11. 윤서석. 1979. 일본문화의 원류로서의 비교 한국문화. 삼성출판사. 서울 

  12. 윤서석. 1985. 食生活管理. 수학사. 서울 

  13.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民音社. 서울 

  14. 윤숙자 편역. 2008. 요록 : 一六00년대 한국전통음식(저자미상, 1680년 경). 질시루, 서울 

  15.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II), 조선요리제법(방신영, 1942). 수학사. 서울 

  16. 이연자. 2001. 천년의 삶으로 이어온 종가 이야기. 컬처라인. 서울 

  17. 장지현. 2008. 한국전래 조과류 제조사 연구. 수학사. 서울 

  18. 정혜경. 2007. 한국음식 오디세이. 생각의 나무. 서울 

  19. 정혜경. 2009. 천년한식 견문록. 생각의 나무. 서울 

  20. 주영하. 2011. 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종가음식의 가치, 2011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지역 사회생활과학회. 수원 

  21.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편. 2000. 한국음식대관, 제3권, 떡.과정.음청. 한림출판사: 서울. 

  22. 한복려, 정길자, 한복진. 2000.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한과.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23. 한복진, 한복려, 황혜성. 1999.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음식 백가지. 현암사. 서울 

  24. 한복진. 2009. 우리 음식의 맛을 만나다.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 

  25.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정라나. 2010.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경기 

  26. Cho SH, Chung RW,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8. An Investigation on "Kwa-Jung":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a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12-324. 

  27. Cho SH, Lee HG. 1987.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Development of Yac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1):33-43 

  28. Kassarjian H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 Consumer Res., 4(2):8-18 

  29. Kim YO. 2010. HANSIK: Stories of Korean Food. Korean Food Foundation. Seoul 

  30.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Cookies, Han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1):55-69 

  31.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4):395-403 

  32. Lee HG, Yoon SS. 1986.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3):197-210 

  33. Lee KE, Kim YG. 2008. The impacts on foodservice quality through a content analysis: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consumers and scholars. J. Foodservice Management, 11(4):7-30 

  34. Lee KJ, Cho MS. 2008.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restaurants from 1980 to 2005. J. Foodservice Management, 11(1):281-306 

  35. Lee SY, Kim MA. Effects of Emulsifier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Korean J. Food and Cookery Sci., 18(3):333-339. 

  36. Oh IK. 2000. Content analysis: Applications to tourism research. J. Tourism Sci., 24(1):317-322 

  37. Oh SD. 2011.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Culture, 26(1):39-52 

  38. Oh SD. 2012. A Literature Review of Dasik in the Joseon Dynasty Royal Palace. J. Food Culture, 27(3):316-323 

  39. Park CL, Kwon YS, Chung H. A Historical Study on the Changes in the Recipe of Naengmyeon (Korean Cold Noodles) Base on Water - Focus on the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1800's to 1980's -. Korean J. Food Culture, 26(2): 128-141 

  40. Yoon SJ. 2002a.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by Different Amounts of Egg White. Korean J. Food and Cookery Sci., 18(1):81-86 

  41. Yoon SJ. 2002b.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with Egg. Korean J. Food and Cookery Sci., 18(6):613-6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