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종 제향 복원을 위한 재관(齋官) 복식 고증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at Yeongwol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8, 2012년, pp.118 - 133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during the period of late 18th century, King Jeongjo period, is performed for an accurate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ervice for King Danjong, which is a part of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held at Yeongwol. This paper summar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종제라 불린 영월의 대표적인 향토문화제는 1990년 어떤 이름으로 바뀌었는가? 1967년 ‘단종제(端宗祭)’란 명칭으로 시작된 영월의 대표적인 향토문화제는 1990년 제24회 때부터 ‘단종문화제’로 이름을 바꾸어 매년 4월 5일 한식을 전후하여 3일 동안 시행되어 왔다. 2007년부터는 문화제 일정을 4월 마지막 주 금요일부터 3일간의 행사로 바꾸어 진행하고 있다.
춘관통고에 실린 단종 제향의 제사의 등급과 제사 시기, 재관, 제복 등은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 제사의 등급 구분[辨祀]과 제사지내는 시기[時日]는 후릉(厚陵)14)과 같다. 후릉의 변사 시일은 모두건원릉과 같으나 한식(寒食)에만 제향하고 삭망 (朔望)에 분향례(焚香禮)를 행한다.15) …(중략)… 축판(祝版)과 재계(齋戒), 향축(香祝), 그리고 재관 (齋官)도 건원릉과 같다. 건원릉의 재관은 헌관(二品), 전사관(典祀官, 奉常寺正), 능사(陵司, 參奉兼行執事), 대축(大祝, 參外), 찬자(贊者, 參外), 알자 (謁者, 參外), 감찰(監察)이다. 제복(祭服)은 건원 릉과 같다. 섭행 기신제에 재관들은 천담복(淺淡服)에 오사모, 오각대(烏角帶), 백화(白靴)를 신고오절향에는 오사모(烏紗帽)에 흑단령(黑團領), 품대(品帶), 흑화(黑靴)를 착용한다.16) 『춘관통고』에 실린 의주에 따른 의식 절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릉 한식제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또한 2009년 장릉은 조선왕릉 40기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장릉 한식제는 1516년(중종 11) 중종이 노산군(魯山君) 묘에 치제하도록 하면서 시작되었다. 숙종 때 노산군이 복위됨에 따라 노산군 묘에서 장릉으로 승격되었고 왕릉에 맞는 조성물들이 들어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강원도 영월군 (2010), 장릉 단종제례 조사연구 보고서, pp. 1-126. 

  2. 이현진 (2008),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서울: 일지사, pp. 284-320. 

  3. 李肯翊, 燃藜室記述, 卷4, 端宗朝故事本末. 

  4. 宣祖實錄, 卷15, 宣祖14년 1월 辛未. 

  5. 宣祖實錄, 卷164, 宣祖36년 7월 戊寅. 

  6. 光海君日記, 卷31, 光海君 2년 7월 戊辰. 

  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藏書閣 名品選,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p. 176. 

  8. 莊陵配食錄(奎5489), 卷上, 正壇三十二人 

  9. 莊陵配食錄(奎 5489), 卷下, 別壇二百三十六人. 莊陵史補(奎3684), 卷 4, 類編1 兩陵崇奉事實[正壇配食忠臣三十二人].[別壇死事諸臣一百八十二人].[北別壇四十四人].[南別壇六人] . 

  10. 正祖實錄, 卷32, 正祖15年2月丙寅. 

  11. 자료검색일 2012. 5. 12, http://cafe.daum.net/01035073846/ZYqH/985 

  12. 김문식 (2009),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藏書閣, 21, p. 89. 

  13. 國朝五禮儀, 卷1, 吉禮 四時及俗節朔望享諸陵儀. 

  14. 國朝五禮序例, 卷1, 吉禮 時日. 

  15. 春官通考, 卷17, 吉禮 陵寢 厚陵辨祀時日. 

  16. 春官通考, 卷17, 吉禮 陵寢 健元陵. 

  17. 春官通考, 卷23, 吉禮 陵寢 四時及俗節朔望享諸陵儀. 

  18. 莊陵史補(奎3684), 卷4, 類編1 兩陵崇奉事實. 

  19. 春官通考, 卷17, 吉禮陵寢. 

  20. 오희복 (1992), 관료기구 및 관직명 편람, 서울: 여강출판사, p. 427 

  21. 오희복 (1992), 관료기구 및 관직명 편람, 서울: 여강출판사, p. 426. 

  22. 正祖實錄, 卷18, 正祖 8年 11月 己未. 

  23. 莊陵史補(奎3684), 卷4, 類編1 兩陵崇奉事實. 

  24. 자료검색일 2012. 2. 16, http://sillok.history.go.kr 

  25. 莊陵史補(奎3684), 卷首, 圖 莊陵圖. 

  26. 春官通考, 卷17, 莊陵 祭服[同健元陵]. 

  27. 春官通考, 卷17, 健元陵 齊服. 

  28. 春官通考, 卷17, 健元陵 時日. 

  29. 續大典, 卷3, 17. 

  30. 국립중앙박물관 (2008), 조선시대 초상화 II,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35. 

  31. 국립중앙박물관 (2008), 조선시대 초상화 II,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89. 

  32.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41. 

  33. 松澗貳錄, 卷服着, 002b. 

  34.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2004), 名選中,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69. 

  35.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 132. 

  36. 英祖實錄, 卷61, 英祖 21年 6月 丁酉. 

  37. 小田幾五郞(2005), 象胥紀聞, 栗田英二역, 서울: 이회, p. 151. 

  38. 日省錄, 正祖 19年 閏2月 16日. 

  39. 이은주 (2008), 조선시대 무관의 길짐승흉배제도와 실제, 服飾, 58(5), pp. 102-117. 

  40. 이강칠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 415. 

  41. 고부자 (2002), 朝鮮時代피륙[織物]의 무늬, 서울: 檀國大學校石宙善紀念博物館, p. 4. 

  42. 박성실 (2004), 서울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 密昌君 服飾 考察, 韓國服飾, 22, p. 123. 

  43.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卷4, 服食裁量辨證說. 

  44. 윤미화 (1982), ?衣類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pp. 96-97. 

  45. 成海應, 硏經齋全集外集, 卷43, 儀章類 巾服攷 ?衣. 

  46. 국립중앙박물관 (2002), 朝鮮時代風俗畵,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46. 

  47.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 141. 

  48. 이은주 (2011),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10), pp. 135-150. 

  49. 肅宗嘉禮都監儀軌(奎13078), 175b. 

  50.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17세기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pp. 170-175. 

  51. 李裕元, 林下筆記, 卷15, 文獻指掌編白衣之禁. 

  5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p. 66. 

  53.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circled2$} 복식? 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p. 109. 

  54. 고부자 (2001), 상암동 출토 全州李氏益炡(1699∼1782) 유물연구, 韓國服飾, 19, p. 135. 

  55. 자료검색일 2012. 2. 16, http://sillok.history.go.kr 

  56. 尹? (1999), 朝鮮朝成均館의 校園과 太學生의 生活像, 李敏弘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 104. 

  57. 尹? (1999), 朝鮮朝成均館의 校園과 太學生의 生活像, 李敏弘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 82., '守僕六人典字巾眞紅團領色鮮新'. 

  58. 太學志 雜識, '入學時 守僕團領典設司掌鋪陳'. 

  59.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서울: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p. 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