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깨풀의 발생이 콩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피해 한계수준
Effect of Acalypha australis Occurrence on Soybean Growth and Economic Threshold Level of Acalypha australis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1 no.4, 2012년, pp.13 - 17  

류지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문병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인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두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콩밭의 주요잡초인 깨풀의 발생이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깨풀과의 경합에 따른 수량 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도출하며, 잡초 정밀 관리를 위한 깨풀의 경제적 피해 한계밀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깨풀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콩의 신장은 완전방제구와 차이가 없는 반면, 경직경과 분지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협수의 감소와 함께 콩 수량 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완전방제구 대비 11~51%의 수량 감소를 보였다. 깨풀 밀도와 콩 수량과의 관계는 Y=415.5/(1+0.003356X)로 도출되었고 이 관계식으로부터 예측되는 완전방제 대비 수량 감소율은 $m^2$ 당 깨풀 1~30본 발생시 0.3~9%, 60~120본 발생시 17~29%, 200~250본 발생시는 40~46%이었으며, 깨풀의 방제가 필요한 경제적 피해 한계수준은 6.3본 $m^{-2}$로 설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lypha australis occurren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to predict the reduction rate of soybean yield caused by competing with A. australis and to establish the economic threshold of A. australis for soybean cultivation. A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콩 재배포장의 주요 잡초인 깨풀의 발생 밀도에 따른 콩의 생육 및 수량 변화를 정량화하고 깨풀과의 경합에 따른 콩의 수량 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도출하며, 콩밭에서 깨풀 발생 시 제초작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경제적 피해 한계밀도 수준을 제시함으로써 잡초 정밀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콩밭의 주요잡초인 깨풀의 발생이 콩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깨풀과의 경합에 따른 수량 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도출하며, 잡초 정밀 관리를 위한 깨풀의 경제적 피해 한계밀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깨풀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콩의 신장은 완전방제구와 차이가 없는 반면, 경직경과 분지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협수의 감소와 함께 콩 수량 감소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완전방제구 대비 11~51%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깨풀의 특징은? 깨풀은 전국의 밭과 밭둑에서 발생하는 동아시아 원산의 대극과 1년생 초본으로 주로 봄에 발생하며 여름에도 발생이 왕성하여 발생시기가 일정하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약제 방제효과가 낮고 작물 생육기간 내에서 발생기간의 폭이 넓어 방제가 어려운 잡초이다.
깨풀의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깨풀은 전국의 밭과 밭둑에서 발생하는 동아시아 원산의 대극과 1년생 초본으로 주로 봄에 발생하며 여름에도 발생이 왕성하여 발생시기가 일정하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약제 방제효과가 낮고 작물 생육기간 내에서 발생기간의 폭이 넓어 방제가 어려운 잡초이다. 전작지 잡초 발생에 관한 연구에서 Guh and Park(1978)은 콩밭에서 바랭이, 쇠비름, 여뀌, 방동산이, 털비름, 깨풀이 우점한다 하였고, Chang et al.
농경지 발생잡초 정밀조사 결과에 따르면 깨풀의 콩밭에서의 우점도 순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1990)은 깨풀이 전북, 전남, 경남 지역 여름작물 재배지에서 바랭이, 쇠비름 다음으로 우점함을 보고한 바 있다. 농경지 발생잡초 정밀조사(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5)에 따르면 깨풀의 콩밭에서 우점도 순위는 경기, 강원 지역의 경우 명아주, 쇠비름, 바랭이 등에 이어 7위로 비교적 낮았으나 충청도 지역에서는 바랭이에 이어 2위, 전라도 및 경상도 지역의 경우 바랭이, 쇠비름, 방동사니에 이어 3~4위의 우점도를 보이는 콩밭의 주요 잡초이며, 발생종수는 적으나 단일 초종으로는 개비름, 환삼덩굴 등과 함께 발생량이 많은 잡초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ker, R.C.V., Swanton, C.J. and Weise, S.F. 1993. The critical period of weed control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Weed Sci. 41:194-200. 

  2. Barrentine, W.L. 1974. Common cocklebur competition in soybeans. Weed Sci. 22:600-603. 

  3.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Korean J. Weed Sci. 10(4):294-304. (In Korean) 

  4. Cousens, R.D. 1985a. A simple model relating yield loss to weed density. Annals of Appl. Bio. 107:239-252. 

  5. Cousens, R.D. 1985b. Theory and reality of weed control thresholds. Plant Protection Quarterly. 2:13-20. 

  6. Gossett, B.J. 1971. Cocklebur - soybean's worst enemy. Weeds Today 2:9-11. 

  7. Guh, J.O. and Park, K.Y. 1978. Upland weed control in Korea situation. J. Korean Soc. Crop Sci. 23(3):55-65. (In Korean) 

  8. Han, S.S., Lim, B.H. and Ma, S.Y. 2000. Dormancy breaking of Virginia copperleaf (Acalypha australis L.) seed. Korean J. Weed Sci. 20(2):127-133. (In Korean) 

  9. Janet, L.S. and Harold, D.C. 1985. Interference of certain broadleaf weed species in soybeans (Glycine max). Weed Sci. 33:654-657. 

  10. Kim, K.U., Shin, D.H., Park, S.J., Jeong, J.W. and Hwang, S.S. 1995. Weed occurrence and control at soybean culture in ricesoybean rotated paddy field. Korean J. Weed Sci. 15(4):313-320. (In Korean) 

  11. Kim, S., Im, I.B., Kang, J.G. and Kim, J.D. 2005. Growth and yield of soybeans as affected by density of Echinochloa crus-galli in paddy field. Korean J. Weed Sci. 25(3):157-162. (In Korean) 

  12. Kim, T.I. and Kim, K.U. 1984. Effect of different herbicides and planting density on weed control and soybean yield. Research Report 1:21-30.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 Te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3. Lee, K.H. and Lee, E.W. 1982.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upland weeds and the competition with soybeans. Korean J. Weed Sci. 2(2):75-113. (In Korean) 

  14. Pyon, J.Y. and Kim, Y.R. 1978. Competitive effects of annual weeds on soybeans. I. Effect of weed competition time on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s. J. Korean Soc. Crop Sci. 23(1):86-89. (In Korean) 

  15. Pyon, J.Y., Kim, Y.R., Kim, C.H. and Kang, J.C. 1978. Competitive effects of annual weeds on soybeans. III. Effect of plant spacing and soybean cultivars on com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ybeans and weeds. J. Korean Soc. Crop Sci. 24(2):83-88. (In Korean)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Standard of research, survey and analysis fo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4th ed. Suwon, Korea. (In Korean)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5. Weed precision survey in crop fields of Korea. Suwon, Korea. pp. 63-194. (In Korean)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Research data on the income from the agro and livestock products. Suwon, Korea. p. 39. (In Korean) 

  19. Song, S.B., Lee, J.S., Kang, J.R., Ko, J.Y., Seo, M.C., Woo, K.S., et al. 2009.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s affected by competitive density of Digitaria sanguinalis. Korean J. Weed Sci. 29(4):323-327. 

  20. Song, S.B., Lee, J.S., Kang, J.R., Ko, J.Y., Seo, M.C., Woo, K.S., et al. 2010.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s affected by competitive density of Cuscuta pentagona. Korean J. Weed Sci. 30(4):390-395. (In Korean) 

  21. Staniforh, O.W. and Weber, C.R. 1956. Effects of annual weeds on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s. Agron. J. 48:467-471. 

  22. Waldrep, T.W. and McLaughlin, R.D. 1969. Cocklebur competition and control. Soybean Farmer. 3:2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