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속소결 방법을 이용한 마찰교반 접합 툴용 WC-Co 소결체 제조 및 특성 평가
Mechanical Properties and Fabrication of WC-Co Hard Materials by Rapid Sintering Method for Friction Stir Welding Tool Application 원문보기

大韓溶接·接合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 v.30 no.6, 2012년, pp.92 - 97  

박현국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 지역본부 동력부품 연구그룹) ,  윤희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 지역본부 동력부품 연구그룹) ,  유정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 지역본부 동력부품 연구그룹) ,  장준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 지역본부 동력부품 연구그룹) ,  손인진 (전북대학교 신소재 공학부 재료공학과) ,  오익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 지역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 method, the WC-10wt.% Co materials were densified using a WC and Co powder. The WC-Co almost completely dense with a relative density of up to 99.5 % after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 pressure of 60 MPa and an electric current for 3 minutes almos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표면을 경면 연마 후 WC-10wt.%Co 소결체의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였으며, 하중을 30 kgf 가했을 때 압흔 모서리에서 크랙이 전파되는 것을 Fig. 8 a)에 나타 내었다. 이 크랙의 길이를 측정해서 Antis 식으로 파괴인성을 측정하였다10).
  • 1) 고에너지 볼밀링을 이용하여 초기 분말에서 더욱 입자크기가 작은 약 100nm 정도의 나노 사이즈로 분말을 제조하였다.
  • 2) 볼밀링된 분말을 펄스전류활성소결법을 이용하여 3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소결하였다.
  • 실험 순서로는 1단계에서 챔버 내에 밀링된 분말이 충진된 그라파이트 몰드를 장입한 후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며, 이때 60 MPa의 압력을 가하여 주었다. 2단계로는 그라파이트 펀지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어 소결을 진행 하였으며, 이때 수축 길이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실험을 종료 하였다. 온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이로 메타를 이용하여 다이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 분말과 알코올의 비율은 1:2로 하여, 강화 스테인리스 용기에 밀봉하여 250 RPM의 속도로 10시간 동안 혼합 분쇄를 실시하였다. X선 회절 분석을 통하여 초기 분말 및 밀링 후의 분말의 상 분석 및 입도 크기를 분석 하였으며, 초기 분말 텅스텐카바이드와 코발트 외에 다른 상이 관찰 되지 않았다. 밀링 후의 분말의 경우 고온에서 안정상인 HCP 구조인 코발트 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또한, 고에너지 볼밀링을 이용하여 초기 분말을 미세화 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 연구된 자료와도 기계적 특성 값을 비교하여 실험 하였다.
  • 또한 소결 후의 상변화 관찰을 위하여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30kg·f로 15초간 유지하여 시편의 압흔 자국을 이용하여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Co 초경재료를 직류 전류와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펄스전류활성 소결장치로 3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또한, 고에너지 볼밀링을 이용하여 초기 분말을 미세화 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 연구된 자료와도 기계적 특성 값을 비교하여 실험 하였다.
  • 첫 번째로 소결체를 120번의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 연마 후 점차 샌드페이퍼의 번호를 높여 표면 연마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이아몬드 페이스트를 6, 3 및 1 ㎛를 이용하여 소결체의 표면을 경면화를 실시하였다. 표면을 경면화 실시 후 무라카미 부식법을 이용하여 약 1분간 부식을 시킨 후 알코올을 이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였다.
  • 코발트의 경우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지고 있으며, 이는 입도 분석시 코발트 분말이 응집되어 실제 크기보다 더 크게 측정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분석된 초기 분말을 이용하여 고에너지 볼밀을 실시하였다. 이때 중량비를 적용하며, 텅스텐카바이드와 코발트의 비율은 9:1, 분말과 볼의 비율은 1:10로 하였으며, 6과 10mm 크기의 초경 볼을 섞어 사용하였다.
  • 2단계로는 그라파이트 펀지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어 소결을 진행 하였으며, 이때 수축 길이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실험을 종료 하였다. 온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이로 메타를 이용하여 다이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승온 속도는 300 ℃/min으로 하여 약 3분간 가열하였으며, 수축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전류를 가한 후 장비의 전원을 off 시킨 후 챔버 내에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소결 진행을 마무리 하였다.
  • 이렇게 소결된 시편의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방법을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소결체의 표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Murakami 부식액(5g Fe3(CN)6, 5g NaOH 및 50 ml의 증류수)을 이용하여 약 1분간 표면을 부식 시켜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 후 선형 분석법을 이용하여 결정립 크기를 측정하였다6,7). 또한 소결 후의 상변화 관찰을 위하여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30kg·f로 15초간 유지하여 시편의 압흔 자국을 이용하여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6 c)의 주사전자 현미경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선형 분석법을 통해 텅스텐카바이드의 결정립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ASTM B657 방법 (Metallographic determination of microstructure in cemented carbides)을 인용하였다. 첫 번째로 소결체를 120번의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 연마 후 점차 샌드페이퍼의 번호를 높여 표면 연마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이아몬드 페이스트를 6, 3 및 1 ㎛를 이용하여 소결체의 표면을 경면화를 실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다이아몬드 페이스트를 6, 3 및 1 ㎛를 이용하여 소결체의 표면을 경면화를 실시하였다. 표면을 경면화 실시 후 무라카미 부식법을 이용하여 약 1분간 부식을 시킨 후 알코올을 이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였다. Fig.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치밀한 WC-10wt.%Co 초경재료를 직류 전류와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펄스전류활성 소결장치로 3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또한, 고에너지 볼밀링을 이용하여 초기 분말을 미세화 하였다.
  •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출발 원료는 텅스텐카바이드 (대구텍, 0.4~0.5 ㎛, 순도 3N5)와 코발트 (Alfa, 1.6 ㎛, 순도 2N8)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Fig.
  • 고융점 소재의 접합을 위해서는 장수명 Tool 소재를 개발하여야 하며, 고강도, 내마모성, 고인성 및 미세조직의 균일성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소재들이 개발, 연구 되어지고 있다1). 이 연구에서는 마찰교반접합 툴에 사용되는 소재로 텅스텐 카바이드(WC)와 코발트(Co)를 적용하였다. 텅스텐 카바이드(WC)는 융점이 2600℃, 밀도가 15.

데이터처리

  • 초기 분말의 정확한 입도 분석을 위하여 입도 분석장치 (Malvern, mastersizer 2000E)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텅스텐카바이드와 코발트의 입도 분석 결과는 텅스텐카바이드의 경우 평균 0.2~0.3 ㎛, 코발트의 경우 평균 10~20 ㎛로 측정이 되었다. 텅스텐카바이드의 경우 초기 분말의 크기 보다는 0.

이론/모형

  • 3 ㎛ 크기로 측정 되었다. Fig. 6 c)의 주사전자 현미경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선형 분석법을 통해 텅스텐카바이드의 결정립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ASTM B657 방법 (Metallographic determination of microstructure in cemented carbides)을 인용하였다. 첫 번째로 소결체를 120번의 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 연마 후 점차 샌드페이퍼의 번호를 높여 표면 연마를 실시하였다.
  • X선 회절 분석의 결과와 주사전자 현미경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텅스텐카바이드의 결정립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방법으로는 선형 분석법 및 Stokes and Wilson 식을 이용하였다. Stokes and Wilson 식을 이용하여 E(1080℃) 지점에서 소결된 텅스텐카바이드의 결정립 크기는 약 0.
  • 고에너지 볼 밀링을 이용하여 텅스텐카바이드와 코발트를 볼 밀링 및 분쇄한 후 펄스전류활성소결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8 a)에 나타 내었다. 이 크랙의 길이를 측정해서 Antis 식으로 파괴인성을 측정하였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펄스전류활성 공법이란? 최근에는 합성과 치밀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다2-4). 이 방법은 펄스전류활성 공법으로, 기존의 연소법과 열간 가압기술(Hot-press, HIP)을 결합한 방식으로 짧은 시간에 단일공정으로 치밀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WC-Co 소결체 제조시 소결 중 빠른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 결정립의 크기는 어떻게 되는가? 하지만 WC-Co 소결체 제조시 공정 시간이 길어 결정립이 조대화 되어 기계적 특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초기 분말이 수십 마이크론 크기 일지라도 기존 소결 방법으로는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소결체의 결정립 크기는 소결하지 않은 초기 분말의 결정립 크기보다 크다. 이는 소결중 빠른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WC-Co 소결체 제조시 단점은? 텅스텐 카바이드는 고융점, 고강도 및 내마모성이 좋아 가공용 공구, 내마모성 공구, 절삭공구, 금형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코발트 첨가시 인성이 향상되어 고인성 재료를 만들수 있어 FSW 기술에 사용되는 Tool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WC-Co 소결체 제조시 공정 시간이 길어 결정립이 조대화 되어 기계적 특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초기 분말이 수십 마이크론 크기 일지라도 기존 소결 방법으로는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소결체의 결정립 크기는 소결하지 않은 초기 분말의 결정립 크기보다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 J. Lee, S. H. Kim, H. K. Park and I. H. Oh, KWJS, 29-5 (2011), 552-555 (in Korean) 

  2. H. K. Park. S. M. Lee, H. J. Youn, K. S. Bang and I. H. Oh, J. Kor. Inst. Met & Mater. 49 (2011), 40 (in Korean) 

  3. F. L. Zhang, C. Y. Wang and M. Zhu, Scripta Materialia, 49 (2003), 1123-1128 

  4. S. G. Shin, Metal and Materials. 6 (2000), 195-201 

  5. M. J. Ledoux, C. H. Pham, J. Guille and H. Dunlop, J.Catalysis. 134 (1992), 383-398. 

  6. Z. Fang and J. W. Eason, Int. J. of Refractory Met. & Hard Mater. 13 (1995), 297-303 

  7. M. Sommer, W-D. Schubert, E. Zobetz and P. Warbichler, Int. J. of Ref. Met. & Hard Mater. 20 (2002), 41-50 

  8. H. C. Kim, D. Y. Oh and I. J. Shon, Int. J. of Refract. Met. and Hard Mater. 22 (2004), 197-203 

  9. H. C. Kim, H. K. Park, I. K. Jung, I. Y. Ko and I. J. Shon, Cermics Int.. 34, 1419 (2008), 1419-1423 

  10. H. C. Kim, Ph D. Thesis, Chonbuk University Chonbuk, 2005, 15-79 (in Korean) 

  11. Jia K, Fischer TE, Gallois G. Nanostruct Mater.. 10 (1998), 875-891 

  12. I. K. Jeong, J. H. Park, J. M. Doh, K. Y. Kim, K. D. Woo, I. Y. Ko and I. J. Shon, J. Kor. Inst. Met & Mater. 46 (2008), 22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