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임신 중 음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on Actual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4, 2012년, pp.279 - 289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양은경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임상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in a planned pregnancy of alcohol related family variables,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the effects of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on actual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84 women who had experienced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중 음주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문제음주점수, 부모세대와 별거, 술 문제 가족구성원, 인공유산 경험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음주할 경우 남편과 함께 마시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친구와 함께 마시거나 혼자 마시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지식은 상관성이 없는 반면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인식은 임신 중 음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임신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중 음주 경험을 조사하고, 임신 중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중대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임신 중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 음주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2010),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보건정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임신 중인 여성과 과거 임신을 경험한 여성을 대상으로 계획임신 및 유산 등의 산과적 변인, 기혼여성에서 중요한 가족변인 그리고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임신 중 음주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추후 태아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임신 중 음주 예방교육을 위한 중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임신 중 음주예방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세기 말 설리반이라는 의사가 관찰한 것과 그에 따라 제기한 주장은? 임신 중 마시는 술이 태아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되었지만 19세기 말 설리반이라는 의사가 교도소에 수감된 여성에서 사산이 많이 발생되는 것을 관찰하고 사산의 원인이 임신 중 음주일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1973년 존스와 스미스라는 의사는 혈연적으로 전혀 관련이 없는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특징적인 얼굴 형태 이상, 발육 부전, 신경학적 병변이 동시에 나타난 8명의 신생아를 발견하고 그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아이의 엄마들이 임신 중 지속적으로 음주했다는 공통점을 밝혀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음주는 여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여성들의 음주 경험은 남성들의 경험과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음주 시작 연령이 늦고, 음주 패턴에서 남성보다 술을 마시는 빈도와 양이 적으며, 혼자 마시는 경우가 많고, 음주의 빈도와 강도에 있어 남성들에 비해 사회적 압력 등의 사회적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Park & Lee, 2004). 여성의 음주는 남성에 비해 술로 인한 간파괴 속도가 빠르며, 같은 음주량에도 남성보다 신체적 피해가 더욱 크다(Sung et al., 1999).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 음주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는 것인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 문제음주, 계획임신 여부, 유산경험 및 음주문제 관련 가족변인에 따른 임신 중 음주 경험의 차이를 파악한다. ●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지식 및 인식에 따른 음주 경험의 차이를 파악한다. ● 임신 관련 변인, 음주문제 관련 가족 변인 및 임신 중 음주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임신 중 음주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G. D. (2005). The Determination of problem-drinking for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University, Chonju. 

  2. Choi, J. K. (2003). Exploratory study on the assessment factors of female problem drink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3. Do, E. Y., & Hong, Y. R. (2011). Factors affecting pregnant women's drink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 (3), 287-307. 

  4. Han, J. Y. (2009). Study of early diagnosis of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Korea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5. Heo, E. J., Kim, M. S., & Kim, G. G. (2001). Drinking patterns and alcohol-related problems in women.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 (1), 202- 215. 

  6. Hwang, N. M. (2010).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public prenatal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63, 50-64. 

  7. Jeon, H. J., & Jung, S. K. (2008). Effects of workplace alcohol-related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 (3), 21-43. 

  8. Jeon, J. K. (2008). Drinking during pregnancy, it's dangerous, even though only one cup. Healthy Living, 60, 26-27. 

  9. Kim, C. S., Oh, M. K., Park, B. K., Kim, K. J., & Oh, J. K. (1999).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 1152-1159. 

  10. Kim, E. S., & Jung, H. S. (2010).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high risk drinking of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 (1), 45-56. 

  11. Kim, I. O., & Yang, E. Y. (2000). Effect of alcohol on health status of pregnant women and fetu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1), 109-116. 

  12. Kristjanson, A. F., Wilsnack, S. C., Zvartau, E., Tsoy, M., & Novikov, B. (2007) Alcohol use in pregnant and non-pregnant Russian women. Alcohol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31 , 299-307. 

  13. Larkby, C. A., Goldschmidt, L., Hanusa, B. H., & Day, N. L. (2011). Prenatal alcohol exposure: Is associated with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ce: findings from a birth cohor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dolescent Psychiatry, 50 (3), 262-271. http://dx.doi.org/10.1016/j.jaac.2010.12.004 

  14. Lazic, T., Sow, F. B., Geelen, A. V., Meyerholz, D. K., Gallup, J. M., & Ackermann, M. R. (2011). Exposure to ethanol during the last trimester of pregnancy alters the maturation and immunity of the fetal lung. Alcohol, 45 (7), 673-680. http://dx. doi.org/10.1016/ j.alcohol.2010.11.001 

  15. Lee, S. H., Shin, S. J., Won, S. D., Kim, E. J., & Oh, D. Y. (2010).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and realated risk factors in Korea. Psychiatry Investing, 7, 86-92. http://dx.doi.org/10. 1186/ 1866-1955-4-12. 

  16. Massey, S. H., Liberman, D. Z., Reiss, D., Leve, L. D., Shaw, D. S., & Neiderhiser, J. M. (2011). Associ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essation of tobacco, alcohol and illicit drug use during pregnancy. American Journal of Addiction, 20 (2), 143-150. http://dx.doi:10.1111/j.1521-0391.2010.00110.x 

  17. Muckle, G., Laflamme, D., Gagnon, J., Boucher, O., Jacobson, J. L., & Jacobson, S. W. (2011). Alcohol, smoking and drug use among Inuit women of childbearing age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to children. Alcohol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35 (6), 1081-1091. http://dx.doi.org/10.1111/j. 530-0277.2011.01441.x. 

  18. Park, H. R., & Lee, J. J. (2004). Research on culture of women's alcohol consumption. When women drink?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9 (2), 39-52. 

  19. Peadon, E., Payne, J., Henley, N., Antoine, H. D., Bartu, A., & Leary, C. O. (2010). Women'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alcohol consumption in pregnancy: A national survey. BMC public Health, 10 (510), 1471-2458. 

  20. Skagerstrom, J., Chang, C., & Nilsen, P. (2011). Predictors of drinking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Women's Health, 20 (6 ), http://dx.doi.org/10.1089/jwh.2010. 2216. 

  21. Sung, S. K., Shin, D. H., Song, J. H.,, & Lee, K. H. (1999).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alcoholic inpatients in a ment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 (6), 1262-1272. 

  22. Sung, T. J. (2001).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tem reaction theory. Seoul: Educational Science Pub. 

  23. Velasquez, M. M., Ingersoll, K. S., Sobell, M. B., Floyd, R. L., Sobell, L. C., & Sternberg, K. V. (2010). A dual focused motivational intervention to reduce the risk of alcohol-exposed pregnancy. Cognitive Behavioral Practice, 17 (2), 203-212. http://dx.doi10.1016/j.cbpra2009.02.004 

  24. Walker, M. J., Al-Sahab, B., lslam, F., & Tamim, H. (2011). The epidemiology of alcohol utilization during pregnancy: an analysis of the Canadian maternity experiences surve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11 (52), 1-9. http://dx.doi. org/10.1186/1471-2393-11-52 

  25. Yang, S. H. (2006). A study on the views on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problem drinking of women in some area. Korean Journal Woman Health Nursing, 7 (2), 23-45. 

  26. Yeom, G. J. (2011). The risk factors on influence of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myook University, Seoul. 

  27. Yeom, G. J., Choi, S. Y., & Kim, I. O. (2011). The influencing factors on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15 (1), 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