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토형 인위토양의 공간변이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Spatial Variation on Anthropogenic Soil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897 - 899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  장용선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국립농업과학원) ,  문용희 (국립농업과학원) ,  현병근 (국립농업과학원) ,  송관철 (국립농업과학원) ,  전현정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획으로 경지정리된 후 5년차인 1 ha의 논 및 4대강 주변의 리모델링 농경지 밭을 대상으로 하여 그에 따른 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여 그 포장내의 공간변이를 파악하고 각 성분들간의 상호관련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5년차인 1 ha의 논에서 5 m 간격으로 총 $20{\times}20=400$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매립적토형 인위토양은 10 m 간격으로 $6{\times}9=54$점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화학성분 중 pH, 유효인산, 유기물함량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pH는 구미지역에서 7.1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효인산 및 유기물함량의 경우 모두 변이계수가 높았으며 이는 한 포장 내에서도 상당히 불균일하다고 볼 수 있었다.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 등은 그 절대값으로 볼 때 거의 정규분포에 가까운 형태로 보이고 있다. 안성의 논에서는 유효인산 (72.8) ${\fallingdotseq}$ pH(73.8) < 유기물(159.3)의 순, 구미의 밭에서는 유기물(6.5) < 유효인산(33.5) < pH(46.6)의 순으로 Range값이 높아졌다. 이는 상대적으로 5년된 토양에서보다 0년차의 토양에서 시료채취를 많이 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patial analyses of chemical properties were studied to find inter-relation among these properties from 5 year old general paddy field after arable land rearrangement and remodeled paddy field near 4 river project. In addition, comparison of spatial variations between two paddy fiel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구획으로 경지정리된 후 5년차인 1 ha의 논 및 4대강 주변의 리모델링 농경지 밭을 대상으로 하여 그에 따른 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여 그 포장내의 공간변이를 파악하고 각 성분들간의 상호관련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5년차인 1 ha의 논에서 5 m 간격으로 총 20✕20=400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매립적토형 인위 토양은 10 m 간격으로 6✕9=54점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획으로 경지정리된 후 5년차인 일반 농가의 1 ha 포장 및 4대강 주변의 리모델링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에 따른 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여 그 포장내의 공간변이를 파악하고 각 성분들 (pH, 유기물, 유효인산 함량)간의 상호관련성을 비교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해석하는 기법의 습득 및 그것에 기초한 반분산 (Semivariogram) 및 Kriging에 의한 지도화가 아닌 결과의 해석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변이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09) 공간변이 분석 후 자료의 해석에 치중하여야 하나 그 해석을 명확히 하지 못하고 있다. Park and Yoo (1989)는 화동통 (Hwadong series)에서 가비중 (Bulk density), 포장용수량(Field moisture capacity), 포화수리전도도(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등의 공간분포를 보고 그 차이점에 대해 영농 측면에서의 연구를 한 바 있으며, Park et al.(1983, 1984)은 토양중 물의 침투속도의 공간변이성 분석에서 선형불편추정치인 크리깅 (Kriging)값을 계산하고 실(sill)과 너겟 (nugget)에 의한 효과를 해석하였으며, Lee(2001)는 논포장에서의 포장특성의 지도화 및 수량센서의 개발 등을 연구하였으며, 대구획 경지정리 논 포장에서의 공간의존성을 랜지 (Range)를 가지고 설명하기도 하였다(Lee et al., 2002).
토양포장에 있어 기존의 통계분석 방법의 한계는? 기존의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포장의 정보를 해석하는 데 있어 이러한 공간적인 변이를 해석하기보다는 단지 평균값과 분산 등의 전체적인 표본의 정보만을 제공해 줄 뿐이다. 이렇게 존재하는 공간변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광산에서부터 유래를 찾아볼 수 있는 지질통계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해석을 해야만 각 위치별 정보를 얻는 것이 수월하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정밀농업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이 도입하여 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간변이를 설명하기 위해 해야하는 것은? 기존의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포장의 정보를 해석하는 데 있어 이러한 공간적인 변이를 해석하기보다는 단지 평균값과 분산 등의 전체적인 표본의 정보만을 제공해 줄 뿐이다. 이렇게 존재하는 공간변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광산에서부터 유래를 찾아볼 수 있는 지질통계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해석을 해야만 각 위치별 정보를 얻는 것이 수월하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정밀농업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이 도입하여 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간변이에 대한 연구는 최근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분포지도를 보여주는 형태에서 그치고 있으며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ee, C. K. 2001. Mapping of field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yield sensor for precision agriculture in paddy field. pH. D. Thesis. (In Korean) 

  2. Lee, C.K., Y.K. Sonn, J.H. Sung, I.G. Jung, S.C. Kim, W.P. Park, and W.K. Park. 2002. Geostatistical analysis of spatial variability for field information in paddy field. Kor. J. Intl. Agri. 14(2):127-138. 

  3.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4. Park, C.S., J.J. Kim, and S.J. Cho. 1983. Analysis of spatial variability for infiltration rate of field soil. Korean J. Soil Sci. Fert. 16(4):305-310. 

  5. Park, C.S., J.J. Kim, and S.J. Cho. 1984. Analysis of spatial variability for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ield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17(3):212-217. 

  6. Park, C.S., S.C. Yang, G.J. Lee, J.T. Lee, H.M. Kim, S.H. Park, D.H. Kim, A. Y. Jung, and S.W. Hwang. 2006. Spati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content, soil penetration resistance and crop yield on the leveled upland in the reclaimed highland. Korean J. Soil Sci. Fert. 39(3):123-135. 

  7. Park, M.E. 1987. Spatial variation analysis of soil charavteristics and crop growth. Seoul National Univ. pH. D. Thesis. (In Korean) 

  8. Park, M.E. and S.H. Yoo. 1989. Spatial variation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and crop growth across the land-partitioned boundary. Korean J. Soil Sci. Fert. 22(3):163-172. 

  9. Robertson, G. P. 1998. Geostatistics for the environmental sciences, Gamma Design Software, Plainwell, Michigan. 

  10. Sohn, Y.M., G.Y. Jeon, J.D. Song, J.H. Lee, and M.E. Park. 2009. Effect of spatial salinity variation on the emergence of soiling and forage crops seeded at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2(3):172-1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