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황함량과 순산발생능력의 상관관계를 통한 잠재특이산성토양 기준 설정
The Potential Acid Sulfate Soils Criteria by the Relation between Total-Sulfur and Net Acid Generatio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904 - 909  

문용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장용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현병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송관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철석 (Pyrite, FeS2)을 함유한 잠재특이산성토는 강하류 삼각지 토양, 간척지 등의 해성토뿐만 아니라, 영일만과 같은 융기해성토 지대, 내륙의 선상지하단 유기물이 많은 암흑색 토층이 있을 때에 존재하는 수가 있다. 또한 안산암 지역의 열수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암맥을 따라 형성된 황철석이 광산개발이나 도로건설로 절취사면에서 노출되어 산화되면 매우 강한 산성을 띠는 특이산성토층을 형성하여 주변농경지에 피해를 주고 있다. 현재 잠재특이산성토양의 판정은 현장에서는 과산화수소로 반응 시 수증기발생 정도로 판단하거나 실내실험에서는 전황 (Total-S)성분의 함량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이들 방법은 시군농업기술센터 및 현장 진단 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산발생 능력평가 중 순산 발생능력실험 (Net Acid Generation, NAG pH)은 대상지역의 산성발생 가능성에 대한 예측을 정량적 계산으로 가능하다. 순산발생능력실험을 이용하여 전황함량과 NAG pH와의 상호관계를 통해 특이산성토양 판정을 제안하기 위해 화산기원의 잠재특이산성 토양과 사양질 토양을 일정비율로 혼합된 토양과 특이산성토양인 김해통과 해척통 토양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황의 함량이 0.75% 이상인 시료의 NAG pH가 2.5이며 0.75-0.50%의 중간 특이산성토양은 NAG pH 3.0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전황 함량이 0.5-15% 약한 특이산성 토양은 NAG pH 3.8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순산발생량은 NAG pH를 이용하여 토양 내 황철석을 모두 산화시키고 pH를 측정하여 pH 3.8이하인 토양은 특이산성토양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id sulfate soil (ASS) and potential acid sulfate soil (PASS) are distribution in worldwide and originate from sedimentary process, volcanic activity, or metamorphism and are problematic in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due to their present and potential acidity developed by the oxidation. The P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에서 이미 소개된 바 있다. 따라서 농경지에서 특이산성토양의 여부를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순산발생량 실험 (Net Acid Generation, NAG pH)을 적용하여 잠재특이산성토양을 판정할 수 있는 분석기준을 제안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릉지나 산지의 풍화암석에 있는 황철석은 어떤 특징을 갖는가? 드물게는 구릉지나 산지의 풍화암석에도 황철석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주로 암색을 띠며, 화산폭발이나 지각 변동 시황을 함유한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긴 일차광물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농경지로 활용되고 있는 특이산성토양의 면적은 약 2,200 ha이다.
특이산성토양이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특이산성토양(Acid Sulfate Soil) 및 잠재특이산성토양 (Potential Acid Sulfate Soil)은 퇴적작용 (Sedimentary), 화산활동 (Volcanic activity) 그리고 변성작용 (Metamorphism)의 기원으로 생성된다. 특이산성토양은 황이 다량 함유된 pH 3.5이하인 토양을 말하며, 잠재특이산성토양은 특이산성토양으로 pH를 낮출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한 토양을 말한다 (Kim et al., 2000).
순산발생능력실험은 어떤 실험인가? (2004)에 의해 고안된 산발생 능력평가 (Acid base account, ABA) 실험을 잠재특이산성 토양 판정에 적용하였다. 산발생능력 실험 중 순산발생능력실험 (Net acid generation, NAG)은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토양 내 산을 발생시키는 광물의 산화를 촉진하며 동시에 산발생에 따른 토양 완충작용도 동시에 반응을 시켜 미지의 토양에 대한 순발생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실험이다. 따라서 전황함량과 NAG pH와의 상호관계를 통해 특이산성토양 판정을 제안하기 위해 화산기원의 잠재특이산성 토양과 사양질 토양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igham, J.M., U. Schwertmann, S.J. Traina, R.L. Winland, and M. Wolf. 1996. Schwertmannit and the chemical modeling of iron in acid sulfate waters. Geochim. et Cosmochim. Acta. 60:2111-2121. 

  2. Blowes, D.W. and J.L. Jambor. 1990. The pore-water geochemistry and the mineralogy of the vadose zone of sulfide tailings, Waite Amulet, Quebec, Canada. Applied Geochemistry. 5:327-346. 

  3. Jung Y.T., J.K. Kim, I.S. Son, and E.S. Yun. 1990.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acid sulfate soil layer contained soils in Yeongnam area. Res. Rept. RDA. 32:1-8. 

  4. Jung Y.T., Y.P. No, and C.O. Baeg. 1989.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potential acid sulfate soil on Flood-Plains. Korean J. Soil Sci. Fert. 22:173-179. 

  5. Jung Y.T., E.S. Yun, Y.S. Choi, J.S. Kim, Y.D. Kim, and K.Y. Jung. 1997. Improvement of paddy soils acidified by the water inflowed from potential acid sulfate soil in Tertiary deposits. Korean J. Soil Sci. & Fert. 39:1-7. 

  6. Kim J.G., C.-M. Chon, E.S. Yun, Y.S. Zhang, P.K. Jung, and Y.T. Jung. 2000. Volcanic origin potential acid sulfate soil material: Hydrothermally altered pyrite rich andesite. Korean J. Soil Sci. Fert. 33:311-317. 

  7. Lee G.H., J.G. Kim, J.S. Lee, C.M. Chon, S.G. Park, T.H. Kim, K.-S. Ko, and T.K. Kim. 2005.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 (ARD) of cut slopes. Econ and Environ. Geol. 38:91-99 (Korea). 

  8. Moon Y., Y. Song, and H.-S. Moon. 2008. The potential acid-producing capacity and factors controlling oxidation tailings in the Guryong mine, Korea. Environ Geol 53:1787-1797. 

  9. 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RDA press. 

  10. Nordstrom D.K. 1982. Aqueous pyrite oxidation and the consequent formation of secondary minerals. In Acid Sulphate weathering. p.37-56.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11. Paktunc A.D. 1999. Mineralogical constraints on the determination of neutralization potential and prediction of acid mine drainage. Environ. Geol. 39:130-112. 

  12. Parkhurst D.L. and C.A.J. Appelo. 2002. User's guide to PHREEQCI (version 2.8)-A computer program for speciation, batch-reaction, one-dimensional transport, and inverse geochemical calculations. U.S. Geological Survey. Denver, Colorado. 

  13. Sobek A.A., W.A. Schuller, J.R. Feeman, and R.M. Smith. 197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applicable to overburden and mine soils. EPA report No. 600/2-78-054. p. 47-50. 

  14. Schumann R., W. Stewart, S. Miller, N. Kawashima, J. Li, and R. Smart. 2012. Acid-base accounting assessment of mine wastes using the chromium reducible sulfur method. Sci. Total Environ. 424:289-206. 

  15. U.S. EPA. 2003. EPA and Hardrock mining: A Source book for industry in the Northwest and Alaska. Appendix C: Characterization of ore, waste rock and tailing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gion 10. 

  16. Weber P.A., W.A. Stewart, W.M. Skinner, C.G. Weisener, J.E. Thomas, and R.S.C. Smart. 2004. Geochemical effects of oxidation products and framboidal pyrite oxidation in acid mine drainage prediction techniques. Applied Geochemistry. 19:1953-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