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동력학 기술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제거 효과연구
A Study on Salt Removal in Controlled Cultivation Soil Using Electrokinetic Technology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6, 2012년, pp.1230 - 1236  

김이열 (충북대학교) ,  최정희 (한국전기연구원) ,  이유진 (한국전기연구원) ,  홍순달 (충북대학교) ,  배정효 (한국전기연구원) ,  백기태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동력학적인 기술 처리가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제거에도 효과를 보이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토양의 물리성, 화학성 및 작물생산성을 조사한 포장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K처리는 농가포장에 220 V 농가용 교류를 직류화하여 약 0.8 V $cm^{-1}$의 정전압으로 동전기 처리 하였다. 양전극의 길이는 20 cm로서 고규소철 (HSCI; High Silicon Cast Iron), 음전극은 철판 (Fe Plate)을 바닥에 깔았다. 하단부 흙 속에는 직경 10 cm 정도의 유공 PVC파이프를 매설하고 음 (-)극으로 몰려온 양 (+)이온들을 모아서 배출시켰다. EK처리에 따른 토양 물리성은 토양입단의 경우 파괴 효과가 크고 물의 침투 속도는 증가되었으나, 용적밀도와 공극율의 변화는 적었다. 한편, 토양의 화학성을 보면, 무처리구보다 EK처리구의 EC, $NO_3{^-}$-N, $K^+$, $Na^+$ 등의 주요 이온들이 급격히 감소되었고, pH, $P_2O_5$, $Ca^{2+}$ 등은 EK의 영향력이 적은 성분이었다. EK처리에 따른 작물재배 작기별로 토양화학성 감소율을 비교한 결과 $NO_3{^-}$-N 78.3 % > $K^+$ 72.3 % > EC 71.6 % $$\geq_-$$ $Na^+$ 71.5 % > $Mg^{2+}$ 36.8 %순 이었다. EK를 작물재배 이전 즉 휴경을 하면서 처리한 시험구와 작물을 재배하면서 EK를 처리한 시험구의 화학성 감소효과를 비교한 결과 작물재배 중 처리효과가 더 높았다. EK처리 후 양분의 감소가 뚜렸한 $NO_3{^-}$-N, EC 등은 처리효과가 분명하였으나, 1회의 EK처리만으로는 염류감소 지속효과가 분명하지 않으므로 2회 이상 EK처리 후 토양화학성 검정을 계속하면서 토양검정 시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EK처리에 따른 배추생육을 보면 1차 처리 - 2차 처리- 3차 처리구의 무처리 대비 증수율은 225.5 % - 181.0 % - 124.2%로 각각 나타났다. 1차 처리 (2011.4)시 고추는 130.0 %, 2차 처리 시 상추는 248.1 %, 3차 처리 시 열무는 125.4 % 각각 증수됨으로서 공시되었던 모든 작물에서 증수효과가 인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verify that the electrokinetic remediation is effective for decreasing salinity of fields of the plastic-film house, field tests for physical property, chemical property, and crop productivity of soils have been conducted. The abridged result of those tests is as follows. In the EK treatment,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료 및 방법의 전기 (EK)처리 방법에서도 설명 하였듯이 양쪽에 ⊕스틱을 박고 중간골에 모래자루를 깔았다가 작 기가 끝나면 걷어내고 새 모래자루로 바꿔주는 형식이었다. 따라서 모래자루속의 모래를 수거하여 화학성을 분석함으로서 이동성분의 수거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K기술중 토양내의 무기염류를 추출하여 분리제거 하는 방법이 농경지 특히 시설재배 염류토양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전기 기술은 어떤 기술로 평가받고 있는가? 동전기 (Electrokinetic, EK)기술은 오염토양 복원기술 중 최근의 것으로서 무기물, 유기물 및 복합오염 물질로 오염된 세립질 토양에 대한 원 위치에서의 정화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 방법은 다른 공법으로 처리할 수 없는 낮은 투수성의 세립질 토양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물과 용해된 오염물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량이 적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동전기 기술의 장점은? 동전기 (Electrokinetic, EK)기술은 오염토양 복원기술 중 최근의 것으로서 무기물, 유기물 및 복합오염 물질로 오염된 세립질 토양에 대한 원 위치에서의 정화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 방법은 다른 공법으로 처리할 수 없는 낮은 투수성의 세립질 토양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물과 용해된 오염물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량이 적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EK현상은 1809년 Reuss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처리가간 동안에 작물재배를 쉬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염류제거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시설재배 토양의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인 염류집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가에 대하여는 유기물 시용에 의한 무기태 질소의 고정화, 담수에 의한 염류세탈 및 심경, 환토, 배수 등 농경적 제염법 (Kim, 2001; Kim et al., 2001; Kim et al., 2003)을 다양하게 동원하고 있으나 처리기간 동안의 휴경이 불가피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그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따라서 처리기간 동안에 작물재배를 쉬지않는 환경친화적인 염류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rgstron L. 1987. Nitrate leaching, and drainage from animal and perennial crops in tile-drained plot and lysimeters. J. Environ. Qual. 16:11-18. 

  2. Gurada. 1971. Environment and soils of horticulture under plastic film house. p. 195-224. 

  3. Ha, H.S., Y.B. Lee, B.K. Sohn, and U.G. Kang. 1997. Characteristics of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in plastic film house loca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J. Soil Sci. Fert. 30:345-350. 

  4. Ishigawa. 1985. Submerged effect for desalt of soils under plastic house cultivation. Agriculture & Horticulture 60:49-52. 

  5. Jesen, L.S., D.J. McQueen, and T.G. Shepherd. 1996. Effects of soil compaction on N-mineralization and microbial-C and -N. I. Field measurements. Soil Till. Res. 38:175-188. 

  6. Jung, G.G., J.S. Lee, and B.Y. Kim. 1996. Survey on ground-water quality under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areas in southern part of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29:389-395. 

  7. Jung, G.B., I.S. Ryu, and B.Y. Kim. 1994. Soil texture, electric conductivity and chemical components of soil under the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in Northern Central Areas of Korea. J. Soil Sci. Fert. 27:33-40. 

  8. Kang, B.K., I.M. Jeong, J.J. Kim, S.D. Hong, and K.B. Min. 199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stic film house soil in Chungbuk area. Korean J. Soil. Sci. Fert. 30(1): 265-271. 

  9. Kim, J.G., C.H. Lee, H.S. Lee, J.G. Jo, and Y.H. Lee. 1996. Subsoil inverting depth and fertilizer needs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RDA. J. Agri. Sci. 38(1):370-375. 

  10. Kim L.Y. 1998. Soil scientific analysis of plant productivity in plastic film house. A report of National Academic of Agricultural Science. p.385-391. 

  11. Kim L.Y. 2000. Practical Soil Science. Sambu Publication Co. p.313-328. 

  12. Kim L.Y., H.J. Cho, and K.H. Han 2003. Effect of The Tile Drai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rop Productivity of Soil Under Newly Constructed Plastic Film House. Korean J. Soil Sci. Fert. 36(3):154-162. 

  13. Kim, L.Y., H.J. Cho, B.K. Hyun, and W.P. Park. 2001. Effects of physical improvement practices at plastic film hous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4:92-97. 

  14. Kim, P.J., D.K. Lee, and D.Y. Chung. 1997. 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0:226-233. 

  15. Kim, S.S. and S.J. Han, 2003. Electrokinetic Ground Remediation Technology. Goomibook. p. 40-41. 

  16. Kwon, J.S., J.S. Suh, H.W. Weon, and J.S. Shin. 1998. Evaluation of soil microflora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Korean J. Soil Sci. Fert. 31(2):204-210. 

  17. Mansel., R.S., J.G.A. Fiskell. D.V. Calvert, and J.S. Rogers. 1986. Distributed nitrogen in the profile of fertilized sandy soil. Soil. Sci. 141:120-126. 

  18. NlAST(National Institute of Agrica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 of soil and crop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9. Song, Y.S., H.K. Kwak, B.L. Huh, and S.E. Lee. 1996. Use efficiency of nitrate nitrogen accumulated in plastic film house soils under continuous vegetable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29:1631-1639. 

  20. U.S.D.A. 1998. Soil Quality Test Kit Guide. Soil quality Institute.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