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 서부 용남·광도해역의 세균학적 수질에 미치는 육상 오염원의 영향
Impact of Pollution Source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the Yongnam-Gwangdo Shellfish Growing Area of Western Jinhae Bay,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5 no.6, 2012년, pp.561 - 569  

심길보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하광수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유현덕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이태식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Yongnam-Gwangdo, located in western Jinhae Bay, seawater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anitary indicator bacteria at 57 sampling stations. According to survey result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9, the range of the geometric mean and the estim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굴 생산량이 많은 연안해역인 진해만 서부지역에 위치한 용남·광도 해역의 위생학적 상태를 평가하고, 동 해역의 위생상태에 육상 오염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산물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굴의 총 생산량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굴의 총 생산량은 2011년 281,022톤이었으며, 통영 등 남해안 지역에서 80% 이상이 생산되고 있다(MIFAFF, 2012). 특히 경상남도 거제시, 통영시, 고성군에 걸쳐 있는 진해만 서부의 용남·광도 해역은 굴 생산량이 많은 지역으로 총 91건(566.
정착성의 패류은 어디서 영양분을 공급받는가? 정착성의 패류는 서식하는 부유 생물을 여과 섭취하여 영양분을 공급 받는다. 이에 따라 연안해역에 서식하는 패류는 식물플랑크톤 등 먹이생물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도 쉽게 축적할 수 있다(Potasman et al.
미국과 유렵연합은 생산해역의 위생관리를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는가? , 2010). 미국과 유럽연합에서는 해수나 서식 수산물 중의 대장균을 비롯한 위생지표 세균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여 수산물 생산해역을 관리하고 있다(US FDA, 2008; European Communities, 2004). 미국은 패류생산해역을 크게 허가해역, 조건부 허가해역, 제한해역, 조건부제한해역, 금지해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IC, Rhodes M and Kator H. 1979. Sublethal stress in Escherichia coli: a Function of salinity. Appl Environ Microbiol 38, 1147-1152. 

  2.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 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47. 

  3. Burton GA and Pitt RE. 2002. Stormwater Effects Handbook: A toolbox for watershed managers scientists, and engineer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USA, 928. 

  4. Cliver DO. 1997. Virus transmission via foods. Food Technol 51, 71-78. 

  5. European Communities.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 ic rules for the organisation of off icial controls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 J Eur Communities L 226, 25.6.04, 83-127. 

  6. Feldhusen F. 2000. The role of seafood in bacterial foodborne disease. Microbes Infect 2, 1651-1660. 

  7. Grimes DJ. 1991. Ecology of estuarine bacteria capable of causing human disease: A review. Estuaries 14, 345-360. 

  8. Ha KS, Shim KB,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 ish growing area in Hansan-Geojem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9-455. 

  9. Ha KS, Yoo HD, Shim KB, Kim JH, Lee TS, Kim PH, Ju JY and Lee HJ. 2011. Evaluation of the inf luence of inland pollution sources on shellf ish growing area after rainfall events in Geoje bay, Korea. Kor J Fish Aquat Sci 44, 612-621. 

  10. Hunter C, Perkins J, Tranter J and Gunn J. 1999. Agricultural land-use effects on the indicator bacterial quality of an upland stream in the Derbyshire Peak District in the UK. Water Res 33, 3577-3586. 

  11. Kim SJ. 1975. Sanitary studies of oysters and growing area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Bul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Agency 14, 1-79. 

  12. Kwon JY, Park KBW, Song KC, Lee HJ, Park JH, Kim JD and Son KT. 2008.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 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J Fish Sci Technol 11, 7-14. 

  13. Lee TS, Oh EG, Yoo HD, Ha KS, Yu HS, Byun HS and Kim JH. 2010. Impact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 ish growing area i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406-414. 

  14. Lim YJ. 2007.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 ish collected by otter trawl in the eastern Yellow sea. Ph D. University of Inha, Incheon, Korea. 

  15. Mallin MA, Ensign SH, McIver MR, Shank GC and Fowler PK. 2001. Demographic, landscape, and meteorological factors controlling the microbial pollution of coastal waters. Hydrobiologia 460, 185-193. 

  16. McCambridge J and McMeekin TA. 1981. Effect of solar radiation and predacious microorganisms on survival of fecal and other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41, 1083-1087. 

  17. Ministry of Food, Agricalture, Forestory and Fisheries (MIFAFF). 2012.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2012. MIFAFF, Seoul, Korea, 421. 

  18. Nunez M, Martin M, Chan P and Spain E. 2005. Predation, death and survival in a biofilm: Bdellovibrio investigat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Biointerfaces 42, 263-271. 

  19. NFRDI. 2010. Report of sanitary survey of Yongnam-Gwangdo area, Kyungnam Province, Korea. NFRDI, Yeamoon press, Korea, 66-68. 

  20. Park JH. 1990. Bacteriological quality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association with rainfall in Kamakman. M.S.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Busan, Korea. 

  21. Park KB, Jo MR, Kwon JY, Son KT, Lee DS and Lee HJ. 2010.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the shellf ish growing area in Gangjinm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614-622. 

  22. Pitt R. 2000. Chapter 4. Source Characterization. In: Innovative Urban Wet-Weather Flow Management Systems. J. P. Heaney, R. Pitt and R. Field. Publication No. EPA/600/R-99/029. National Risk Management Research Laborator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io, USA, 443 (available at http://www.epa.gov/ednnrmrl/publish/book/epa-600-r-99-029/) 

  23. Potasman I, Paz A and Odeh M. 2002. Infectious outbreaks associated with bivalve shellf ish consumption: A worldwide perspective. Clin Infect Dis 35, 921-928. 

  24. Rees G, Pond K. Kay D, Bartram J and Santo Domingo J. 2010. Safe Management of Shellf ish and Harvest Wat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WA Publishing, London, UK. 

  25. Sayler GS, Nelson JD Jr, Justice A and Colwell RR. 1975.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fecal indicator organisms in the upper Chesapeake Bay. Appl Microbiol 30, 625-638. 

  26. Shim KB, Ha KS,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 ish growing area in Jaranman-Saryangdo ar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2-448. 

  27.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g JS, Byun HS, Park YJ and Cho KC. 2008.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 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ea. J Kor Fish Soc 41, 155-162 

  28. Todd KE and Campbell AR. 2002. Growing area 1508 sanitary survey report. Marlborough Public Health Unit, Marlborough, New Zealand, 58. 

  29. US FDA. 2008. National Shellf 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2007. Retrieved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Product-SpecificInformation/Seafood/FederalStatePrograms/NationalShellfishSanitationProgram/ucm046353.htm. 

  30. Yoo HD, Ha KS, Shim KB, Kang JY, Lee TS and Kim JH. 2010.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shellf ish-growing waters and mussels in Changseon, Namhae,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298-3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