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종방법과 피복작물이 조의 생육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Growth and Yield in Foxtail Millet Field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4, 2012년, pp.337 - 342  

전승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심두보 (경상대학교 농학과) ,  김석현 (경상대학교 농학과) ,  정종일 (경상대학교 농학과) ,  김민철 (경상대학교 농학과) ,  정정성 (경상대학교 농학과) ,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심상인 (경상대학교 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출수일 비교시 비닐피복 이식구에서 4일, 헤어리베치 이식구에서 3일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헤어리베치 이식구, 비닐피복 이식구와 직파구, 헤어리베치 직파구 순으로 92.4%, 86.9%, 50.2%, 24.6%로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작은 호밀 직파구와는 -63.7%의 차이가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비닐피복구와 헤어리베치구 높게 나타났다. 2. 헤어리베치구에서 방제가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화본과와 광엽 잡초의 분류 비교시 헤어리베치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9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났으며 호밀구에서는 화분과 잡초에서는 47% 이상, 광엽잡초에서는 90%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수량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이식구>비닐피복 이식구>호밀구 이식구${\fallingdotseq}$무처리 이식구>헤어리베치 직파구>비닐피복 직파구>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weed suppressing effects of different cropping system including hairy vetch and rye cover crops, polyethylene plastic film, and transplanting film mulching in direct sowing and transplanted foxtail millet field in 2011. Crop growth and development and weed 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유기재배를 통한 안전한 조 생산을 위해 두과와 화본과 피복작물을 도입한 작부체계의 개선과 파종법의 효율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조의 피복작물 작부체계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복작물의 기능성은? 이러한 변화에서 피복작물을 이용한 잡곡의 작부체계 도입은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생체 피복재(living mulch)라고도 부르는 피복작물은 잡초제어뿐만 아니라 토양침식 방지, 질소원 공급, 토양 물리성 개선, 질산염 용탈 억제, 유기물 공급 등 여러 가지 농업적, 환경적 공익 기능을 통해 이를 이용한 연구가 다양한 이루어지고 있다(Cardina, 1995; Clark, 2007; Kuo et al., 1992; Moore et al.
월동이 가능한 피복작물이 경관 조성에 이점을 주는 이유는? , 1994; Ngouajioa and Mennanb 2005; Wyland, 1996). 이 밖에도 월동이 가능한 피복작물은 이른 봄 푸른 식물이 거의 없을 시기에도 잘 자라 들판에 생동감을 주어 경관 조성에 이점이 있다.
조에 함유된 어떤 성분이 임산부에게 좋은가? 그중에서 조는 잡곡 중에서 가장 부드러운 감미를 가지고 있으며, 예로부터 젖을 잘 나오게 하는 식품으로도 알려져 왔다. 또한 단백질과 미네랄이 임산부에 좋은 식품이며 당뇨 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Upadhyaya et al., 2011), 앞으로 많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nes, J. P. and A. R. Putnam. 1986. Evidence for allelopathy by residues and aqueous extracts of rye (Secale cereale). Weed Sci. 34 : 384-390. 

  2. Barnes, J. P. and A. R. Putnam. 1987. Role of benzoxazinones in allelopathy by rye (Secale cereale L.). J. Chem. Ecol. 13 : 889-906. 

  3. Belz, R. G. and K. Hurle. 2004. A novel laboratory screening bioassay for crop seeding alleopathy. J. Chem. Ecol. 30 : 175-198. 

  4. Brandsaeter, L. O., A. Olsmo., A. M. Tronsmo, and H. Fykse. 2002. Freezing resistance of winter annual and biennial legum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Crop Sci. 42 : 437-443. 

  5. Cardina, J. 1995. Biological weed management. In: Smith, A. E. (Ed.), Handbook of Weed Management Systems. Marcel Dekker, New York, pp. 279-341. 

  6. Choi, B. S., C. G. Kim, K. Y. Seong, D. Y. Song, W. T. Jeon, H. S. Cho, K. H. Jeong, and U. G. Kang. 2011. Change of weed community in no-till corn with legume cover crops as living mulch. Kor. J. Weed Sci. 31 : 34-40. 

  7. Clark, A. 2007. Managing cover crops profitably, 3rd edition. Sustainable agriculture network, Maryland. p. 12. and pp. 98-105. 

  8. Eckert, D. J. 1988. Rye cover crop for no-till corn and soybean production. J. Prod. Agric. 1 : 207-210. 

  9. Jeon, S. H., S. H. Lee, S. Y. Oh, Y. J. Kim, K. M. Kim, S. H. Kim, J. B. Hwang, S. T. Yoon, and S. I. Shim. 2011. Effects of hairy vetch and rye cover on weed occurrences and minor cereal growth. Kor. J. Crop Sci. 56 : 134-139. 

  10. Kang, M. H., S. H. Jeon, S. H. Lee, S. T. Yoon, J. B. Hwang, S. H. Kim, and S. I. Shim. 2010. Effects of winter cover crop-minor cereal cropping system on weed occurrences and crop growth. Kor. J. Weed Sci. 30 : 243-251. 

  11. Kuo, S., U. M. Sainju, and E. J. Jellum. 1992. Winter cover crop effects on soil organic carbon and carbohydrate in soil. Soil Sci. 61 : 145-152. 

  12. Lee, J. H., B. M. Lee, S. I. Shim, Y. Lee, and H. J. Jee. 2011. Effects of crimson clover, hair vetch, and rye residue mulch on weed occurrence, soybean growth, and yield in soybean fields. Kor. J. Weed. Sci. 31 : 167-174. 

  13. Moore, M. J., T. J. Gillespie, and C. J. Swanton. 1994. Effect of cover crop mulches on weed emergence, weed biomass, and soybean (Glycine max) development. Weed Technol. 8 : 512-518. 

  14. Ngouajioa, M. and H. Mennanb. 2005. Weed populations and pickling cucumber (Cucumis sativus) yield under summer and winter cover crop systems. Crop Prot. 23 : 521-526 

  15. Ock, H. S. and J. Y. Pyon. 2011. Trend and perspective of weed control techniques in organic farming. Kor. J. Weed Sci. 31 : 8-23. 

  16. Teasdale, J. R. 1996. Contribution of cover crops to weed management in sustainable agriculture systems. J. Prod. Agr. 9 : 475-479. 

  17. Teasdale, J. R. and C. C. Mohler. 1992. Weed suppression by residue from hairyvetch and rye cover crops. Proc. First. Int Weed Control Congress. 2 : 216-518. 

  18. Teasdale, J. R. and C. S. T. Daughtry. 1993. Weed suppression by live and desiccated hairy vetch (Vicia villosa). Weed Sci. 41 : 207-212. 

  19. Upadhyaya, H. D., C. R. Ravishankar, Y. Narasimhudu, N. D. R. K. Sarma, S. K. Singh, S. K. Varshney, V. G. Reddy, S. Singh, H. K. Parzies, S. L. Dwivedi, H. L. Nadaf, K. L. Sahrawat, and C. L. L. Gowda. 2011. Identification of trait-specific germplasm and developing a mini core collection for efficient use of foxtail millet genetic resources in crop improvement. Field Crops Res. 124 : 459-467. 

  20. Weston, L. A. 1996. Utilization of allelopathy for weed management in agroecosystems. Agron. J. 88 : 860-866. 

  2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09.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