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생산 주곡작물의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와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잔류량 및 섭취노출량 평가
Investigation on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of Grains and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for Korean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5 no.4, 2012년, pp.253 - 261  

최근형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최달순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홍수명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권오경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은희수 (Organochemical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for Agro-Environmental Sciences) ,  김정한 (Program in Applied Life Chemistry, School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진효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CDD/Fs 및 DL-PCBs는 농식품 잔류 유해물질 중 높은 생물독성 및 생물농축성으로 안전성 우려가 높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유해물질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오염조사연구는 지방함유량이 높은 육류 및 수산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다소비 농산물인 곡류를 대상으로 한 다이옥신 잔류분석 연구결과가 부족하여 식이섭취를 통한 다이옥신류 노출평가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7종의 PCDD/Fs 및 14종의 DL-PCBs에 대하여 2010년산 쌀과 2011년산 보리에 대한 잔류 분석 및 이를 통한 한국인의 일일 섭취노출량을 조사하였다. 전국 8개 도에서 채취한 36점의 백미시료와 전남 및 전북에서 채취한 7점의 보리시료에 대한 잔류분석결과 백미 중 다이옥신류의 각 도별 평균 잔류량은 2.98-4.98 pg/g w.w.이었으며, 보리의 다이옥신류 평균 잔류량은 3.00-3.24 pg/g w.w.로 확인되었다. 쌀과 보리를 통한 국민 1인당 다이옥신 섭취노출량은 1.03 pg-TEQ/day/person와 0.0534 pg-TEQ/day/person 수준이었고, 이를 한국인 평균체중 55 kg을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Lower bound 시나리오의 경우 TDI대비 0.46와 0.03%였으며, Upper bound 시나리오의 경우 5.5와 0.18%로 국내산 쌀과 보리를 통한 다이옥신류 노출기여도는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oxin contamination on agroproduc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food safety. Herein, we measured concentration of 17 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and 14 dioxin like-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in the main grain (ri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raction 1과 2는 각각 감압농축한 후 n-헥산으로 재용해 하고, Fraction 1에는 13C-동위원소표지 PCB (#70, #111, #138) 첨가하였고, Fraction 2는 3종의 13C-동위원소표지 PCB (#70, #111, #138) 혼합 내부 표준물질과 2종의 13C-동위원소표지 PCDFs (1,2,3,4,6-PeCDF, 1,2,3,4,6,8,9-HpCDF) 혼합 표준용액을 첨가한 후 시료용액 최종부피를 100 µL로 조절하였다.
  • 2 µm)가 각각 장착된 Agilent 6890 (Agilent, USA)과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 Autospec Ultima (Micromass, UK)를 사용하였다. Fraction 1은 DB-5MS 칼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Fraction 2는 우선 DB-5MS 칼럼을 이용하되 Fraction 1과 다른 GC 조건에서 4종의 DL-PCBs (#77, #81, #126, #169)와 5종의 PCDD/Fs (1,2,3,4,6,7,8-heptachlorodibenzodioxin (HpCDD), octachlorodibenzodioxin (OCDD), 1,2,3,4,6,7,8-heptachlorodibenzofuran (HpCDF), 1,2,3,4,7,8,9-HpCDF, octachlorodibenzofuran (OCDF))를 정량분석하였고, SP-2331 칼럼에서 나머지 이성질체에 대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PCDD/Fs 및 DL-PCBs의 정량분석은 동위원소 희석법에 따라 시험용액에서 검출된 대상물질과 내부 표준물질과의 상대반응계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 Fraction 1은 DB-5MS 칼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Fraction 2는 우선 DB-5MS 칼럼을 이용하되 Fraction 1과 다른 GC 조건에서 4종의 DL-PCBs (#77, #81, #126, #169)와 5종의 PCDD/Fs (1,2,3,4,6,7,8-heptachlorodibenzodioxin (HpCDD), octachlorodibenzodioxin (OCDD), 1,2,3,4,6,7,8-heptachlorodibenzofuran (HpCDF), 1,2,3,4,7,8,9-HpCDF, octachlorodibenzofuran (OCDF))를 정량분석하였고, SP-2331 칼럼에서 나머지 이성질체에 대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PCDD/Fs 및 DL-PCBs의 정량분석은 동위원소 희석법에 따라 시험용액에서 검출된 대상물질과 내부 표준물질과의 상대반응계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정성 및 정량분석은 Jeol사의 DioK 정량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각 이 성체별 LOD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 각각의 시료에서 정량된 값은 WHO-TEFs를 적용하였으며, 각 이성체 잔류분석결과 중 불검출값인 < LOD를 0으로 추정하여 예측하는 Lower bound (LB)와 < LOD를 각 이성체의 LOD값으로 추정하여 예측하는 Upper bound (UB)의 두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TEQ를 계산하였다.
  • 유기용매층은 증류수(500 mL × 3)로 분액하여 황산을 제거한 후 감압농축하였다. 농축시료는 n-헥산 5 mL로 재용해 후, 모든 시료에 13C-동위원소표지 31종 PCDD/Fs와 DL-PCBs 혼합표준용액을 spike하고, 실리카칼럼, 알루미나칼럼, 카본칼럼이 장착된 자동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장비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우선 10종의 DL-PCBs (#105, #114, #118, #123, #156, #157, #167, #170, #180, #189) 분석용 정제시료는 실리카겔칼럼에 정제용시료를 가하여 n-헥산 90 mL로 용출시키고, 그 용출액을 알루미나칼럼에 가한 후 72 mL n-헥산/디클로로메탄(98/2, v/v) 으로 용출시켜 정제하였으며(Fraction 1), 이어서 120 mL n-헥산/디클로로메탄(50/50, v/v) 용액으로 알루미나칼럼을 용출시켜 카본칼럼에 가하고 용출된 용액을 Fraction 1과 합친다.
  • 다이옥신류 시료분석을 위한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는 DB-5MS (60 m × 0.25 mm × 0.25 µm)와 SP-2331 (60 m × 0.25 mm × 0.2 µm)가 각각 장착된 Agilent 6890 (Agilent, USA)과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 Autospec Ultima (Micromass, UK)를 사용하였다.
  • 다이옥신류는 그 화학종의 특성에 따라 인체 독성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WHO에서 1998년 다이옥신류의 화학종별 TEFs를 발표하였고, 2005년에 TEFs를 수정 보완하였다(van den Berg 등, 2006). 본 연구에서는 2005년 발표된 WHO TEFs 값을 반영하여 TEQ를 산정하였다. 쌀의 각 지역별 TEQ 값은 LB 시나리오의 경우 0.
  • 3%로 매우 낮아 국내산 주곡류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하였다(MIFAFF, 2010). 본 연구진은 전국 8개 도에서 2010년 생산된 쌀 36점과 국내보리 주산지에서 생산된 2011년산 보리 7점을 대상으로 17종의 PCDD/Fs 와 14종의 DL-PCBs에 대한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국내 생산 곡류를 통한 한국인의 다이옥신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 다이옥신류의 검량선 작성용 표준물질, 정제용 표준물질, 기기 보정용 표준물질, 검량선작성은 미국 EPA 1613방법에 따라 사용하였고, 시료전처리는 Choi 등(2012)이 사용한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우선, 다이옥신 분석을 위해 시료 50 g을 n-헥산/디클로로메탄(1/1) 혼합용액 300 mL를 사용하여 16시간동안 Soxhlet 추출(5 cycle/h)한 뒤 포화 소금물 200 mL을 사용하여 분액정제하고, 유기용매층을 회수한 뒤 농황산 30 mL를 첨가 후 24시간동안 유기물을 분해하였다. 유기용매층은 증류수(500 mL × 3)로 분액하여 황산을 제거한 후 감압농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전처리에 사용한 물은 18 mΩ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Glass wool 및 cellulose thimble (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Japan)을 톨루엔으로 3시간동안 Soxhlet 추출하여 건조 후 사용하였다. 자동화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ower-PrepTM, FMS Co.
  • PCB-IS-B20) 혼합표준품을 Wellington Laboratories (Canada)에서 구입하였다. 디클로로메탄, n-헥산, 노난, 아세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는 GC용 등급을 Merck사에서 구입(Merck KGaA, Germany)하였으며, 무수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은 ACS급을 Merck사(KGaA)에서 구입하였다. 전처리에 사용한 물은 18 mΩ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잔류분석을 위하여 채집된 곡류는 2010년산 쌀을 백미형태로 도정하여 유통되도록 포장된 36점의 시료를 각 지역 미곡종합처리장(강원도 3점, 경기도 3점, 충청북도 3점, 충청남도 6점, 전라북도 5점, 전라남도 6점, 경상북도 6점, 경상남도 4점)에서 채집하였다. 보리는 2011년산 식용보리를 주산지인 전라남도에서 4점, 전라북도에서 3점을 채집하여 직접 도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분말로 분쇄한 후 0.
  • 시료채집. 본 연구에서 잔류분석을 위하여 채집된 곡류는 2010년산 쌀을 백미형태로 도정하여 유통되도록 포장된 36점의 시료를 각 지역 미곡종합처리장(강원도 3점, 경기도 3점, 충청북도 3점, 충청남도 6점, 전라북도 5점, 전라남도 6점, 경상북도 6점, 경상남도 4점)에서 채집하였다. 보리는 2011년산 식용보리를 주산지인 전라남도에서 4점, 전라북도에서 3점을 채집하여 직접 도정하였다.
  • 하지만, 곡류의 경우 2010년 Oh 등(2010)에 의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5년간 총 14점의 시료에 대한 잔류분석연구가 수행되었을 뿐, 지난 10여년간 지역별 곡류의 다이옥신류 오염실태 및 섭취노출량 예측에 활용 할 수 있는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 곡류의 다이옥신류 잔류량 및 섭취노출량 산정을 위해 국내 다소비 3대 곡류인 쌀(76.9 kg/인)과 밀(33.7 kg/인), 보리(1.1 kg/인) 중 곡류자급율이 높은 쌀(95.8%)과 보리(52.3%)를 선정하였으며, 밀은 국내 소비량은 많으나 자급율이 0.3%로 매우 낮아 국내산 주곡류 모니터링 대상에서 제외하였다(MIFAFF, 2010). 본 연구진은 전국 8개 도에서 2010년 생산된 쌀 36점과 국내보리 주산지에서 생산된 2011년산 보리 7점을 대상으로 17종의 PCDD/Fs 와 14종의 DL-PCBs에 대한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국내 생산 곡류를 통한 한국인의 다이옥신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 표준물질 및 시약. 시험에 사용된 표준물질은 13C-동위원소표지 PCDDs 7종, PCDFs 10종, DL-PCBs 14종이 혼합된 표준품 (Catalog No. DFP-LCS-A)과 2종의 13C-동위원소표지 PCDFs (1,2,3,4,6-PeCDF, 1,2,3,4,6,8,9-HpCDF, Catalog No. DF-IS-G40) 혼합표준품, 3종의 13C-동위원소표지 PCBs (PCB #70, #111, #138, Catalog No. PCB-IS-B20) 혼합표준품을 Wellington Laboratories (Canada)에서 구입하였다. 디클로로메탄, n-헥산, 노난, 아세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는 GC용 등급을 Merck사에서 구입(Merck KGaA, Germany)하였으며, 무수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은 ACS급을 Merck사(KGaA)에서 구입하였다.
  • 농축시료는 n-헥산 5 mL로 재용해 후, 모든 시료에 13C-동위원소표지 31종 PCDD/Fs와 DL-PCBs 혼합표준용액을 spike하고, 실리카칼럼, 알루미나칼럼, 카본칼럼이 장착된 자동화 칼럼크로마토그래피 장비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우선 10종의 DL-PCBs (#105, #114, #118, #123, #156, #157, #167, #170, #180, #189) 분석용 정제시료는 실리카겔칼럼에 정제용시료를 가하여 n-헥산 90 mL로 용출시키고, 그 용출액을 알루미나칼럼에 가한 후 72 mL n-헥산/디클로로메탄(98/2, v/v) 으로 용출시켜 정제하였으며(Fraction 1), 이어서 120 mL n-헥산/디클로로메탄(50/50, v/v) 용액으로 알루미나칼럼을 용출시켜 카본칼럼에 가하고 용출된 용액을 Fraction 1과 합친다. 이후, 카본칼럼은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50/50, v/v) 혼합액 4 mL 및 n-헥산 10 mL의 순으로 방해물질을 제거한 다음 톨루엔 75 mL로 역용리하여 4종 DL-PCBs (#77, #81, #126, #169)와 17종 PCDD/Fs 분석용 정제시료(Fraction 2)로 사용하였다.
  • 우선 10종의 DL-PCBs (#105, #114, #118, #123, #156, #157, #167, #170, #180, #189) 분석용 정제시료는 실리카겔칼럼에 정제용시료를 가하여 n-헥산 90 mL로 용출시키고, 그 용출액을 알루미나칼럼에 가한 후 72 mL n-헥산/디클로로메탄(98/2, v/v) 으로 용출시켜 정제하였으며(Fraction 1), 이어서 120 mL n-헥산/디클로로메탄(50/50, v/v) 용액으로 알루미나칼럼을 용출시켜 카본칼럼에 가하고 용출된 용액을 Fraction 1과 합친다. 이후, 카본칼럼은 에틸아세테이트/톨루엔(50/50, v/v) 혼합액 4 mL 및 n-헥산 10 mL의 순으로 방해물질을 제거한 다음 톨루엔 75 mL로 역용리하여 4종 DL-PCBs (#77, #81, #126, #169)와 17종 PCDD/Fs 분석용 정제시료(Fraction 2)로 사용하였다. Fraction 1과 2는 각각 감압농축한 후 n-헥산으로 재용해 하고, Fraction 1에는 13C-동위원소표지 PCB (#70, #111, #138) 첨가하였고, Fraction 2는 3종의 13C-동위원소표지 PCB (#70, #111, #138) 혼합 내부 표준물질과 2종의 13C-동위원소표지 PCDFs (1,2,3,4,6-PeCDF, 1,2,3,4,6,8,9-HpCDF) 혼합 표준용액을 첨가한 후 시료용액 최종부피를 100 µL로 조절하였다.
  • , Japan)을 톨루엔으로 3시간동안 Soxhlet 추출하여 건조 후 사용하였다. 자동화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Power-PrepTM, FMS Co., USA)의 칼럼은 1회용인 실리카겔 칼럼(Silica #CLDS-ABNSTD, FMS Co.), 알루미나칼럼(Alumina #CLDA-BAS-011, FMS Co., USA)과 카본칼럼(Carbon #CLDC-CCE-034, FMS Co.)을 사용하였다.
  • 디클로로메탄, n-헥산, 노난, 아세톤,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는 GC용 등급을 Merck사에서 구입(Merck KGaA, Germany)하였으며, 무수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은 ACS급을 Merck사(KGaA)에서 구입하였다. 전처리에 사용한 물은 18 mΩ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Glass wool 및 cellulose thimble (Advantec, Toyo Roshi Kaisha Ltd.

이론/모형

  • 시료전처리. 다이옥신류의 검량선 작성용 표준물질, 정제용 표준물질, 기기 보정용 표준물질, 검량선작성은 미국 EPA 1613방법에 따라 사용하였고, 시료전처리는 Choi 등(2012)이 사용한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우선, 다이옥신 분석을 위해 시료 50 g을 n-헥산/디클로로메탄(1/1) 혼합용액 300 mL를 사용하여 16시간동안 Soxhlet 추출(5 cycle/h)한 뒤 포화 소금물 200 mL을 사용하여 분액정제하고, 유기용매층을 회수한 뒤 농황산 30 mL를 첨가 후 24시간동안 유기물을 분해하였다.
  • 각각의 시료에서 정량된 값은 WHO-TEFs를 적용하였으며, 각 이성체 잔류분석결과 중 불검출값인 < LOD를 0으로 추정하여 예측하는 Lower bound (LB)와 < LOD를 각 이성체의 LOD값으로 추정하여 예측하는 Upper bound (UB)의 두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TEQ를 계산하였다. 또한 곡류를 통한 다이옥신 노출량은 2008년 국민건강영향조사표(Korean CDC, 2008)의 한국인 1일 섭취량(g/day) 및 평균체중(55kg)을 고려하여 노출량을 추정하였다
  • PCDD/Fs 및 DL-PCBs의 정량분석은 동위원소 희석법에 따라 시험용액에서 검출된 대상물질과 내부 표준물질과의 상대반응계수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정성 및 정량분석은 Jeol사의 DioK 정량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각 이 성체별 LOD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은 무엇에 의해 지정되는가? 스톡홀름협약을 통해 지정되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은 14종의 사용금지 농약류와 다이옥신류, 과불화합물 등 2011년까지 총 22종의 유해화학물질이 선정되어 의도적인 생산 또는 발생을 저감화하거나 근절하기 위해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특히 이들 중 다이옥신류로 분류된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그리고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는 높은 환경 잔류성, 생물 농축성 및 독성문제 등으로 인해 환경뿐만 아니라 농식품에서도 잔류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Parzefall 등, 2002; Grassi 등, 2010; Moon 등, 2010).
다이옥신류의 지용성 특성으로 인해 제기된 위험성은? 특히 이들 중 다이옥신류로 분류된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그리고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는 높은 환경 잔류성, 생물 농축성 및 독성문제 등으로 인해 환경뿐만 아니라 농식품에서도 잔류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Parzefall 등, 2002; Grassi 등, 2010; Moon 등, 2010). 특히 다이옥신류의 지용성 특성으로 인해 육류, 어류등 고지방함유 식품에 대한 잔류 위험성이 제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육류를 비롯한 고지방함유 농수축산물에 대한 잔류분석 모니터링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Bernard 등, 1999; Edwards 등, 2004; Guruge 등 2005; Kim 등, 2008). 이들 다이옥신류 중 2,3,7,8-PCDD/Fs와 non-ortho-PCBs 중 일부 화합물은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와 강하게 결합하여 DNA 염기서열 중 dioxin response element (DRE)와 결합함으로 인해 암 발생, 생식기능저해, 면역독성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fe 등, 1986; Sutter와 Greenlee, 1992; Park 등, 2010).
스톡홀름협약을 통해 지정되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중 다이옥신류로 분류된 물질은? 스톡홀름협약을 통해 지정되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은 14종의 사용금지 농약류와 다이옥신류, 과불화합물 등 2011년까지 총 22종의 유해화학물질이 선정되어 의도적인 생산 또는 발생을 저감화하거나 근절하기 위해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특히 이들 중 다이옥신류로 분류된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그리고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는 높은 환경 잔류성, 생물 농축성 및 독성문제 등으로 인해 환경뿐만 아니라 농식품에서도 잔류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Parzefall 등, 2002; Grassi 등, 2010; Moon 등, 2010). 특히 다이옥신류의 지용성 특성으로 인해 육류, 어류등 고지방함유 식품에 대한 잔류 위험성이 제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육류를 비롯한 고지방함유 농수축산물에 대한 잔류분석 모니터링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Bernard 등, 1999; Edwards 등, 2004; Guruge 등 2005; Kim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ars AJ, Bakker MI, Baumann RA, Boon PE, Freijer JI, Hoogenboom LAP et al. (2004) Dioxins, dioxin-like PCBs and non-dioxin-like PCBs in foodstuffs: occurrence and dietary intake in the Netherlands. Toxicol Lett 151, 51-61. 

  2. Bernard A, Hermans C, Broeckaert F, De Poorter G, De Cock A, and Houins G (1999) Food contamination by PCBs and dioxins. Nature 401, 231-2. 

  3. Choi G-H, Choi D-S, Hong S-M, Kwon O-K, Eun HS, Kim JH et al. (2012) Investigation on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Korean fruits and dietary intake estim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 423-7 

  4. Edwards R (2004) A fishy tale of salmon, dioxins and food safety. New Scientist 181, 8. 

  5. European Commission (2000) Scientific Committee on Food: Opinion on the Risk Assessment of Dioxins and Dioxin-like PCBs in Food : Adopted on 22 November 2000. Brussels, Belgium. 

  6. Grassi P, Fattore E, Generoso C, Fanelli R, Arvati M, and Zuccato E (2010) Polychlorobiphenyls (PCB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dibenzofurans (PCDFs) in fruit and vegetables from an industrial area in northern Italy. Chemosphere 79, 292-8. 

  7. Guruge KS, Seike N, Yamanaka N, and Miyazaki S (2005)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dibenzofurans, and biphenyls in domestic animal food stuff and their fat. Chemosphere 58, 883-9. 

  8. Kim K-S (2009)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ion and fate for PCDD/Fs in ambient air, Cheongju. J Korean Soc Environ Eng 31, 294-9. 

  9. Kim KS, Kim JG, and Kim MY (2000) Estimation of dietary daily intake of PCDDs/PCDFs from Korean retail food. J Korean Soc Envrion Eng 22, 1345-55. 

  10. Kim M, Choi SW, and Kim DG. (2008) Decreasing concentrations of PCDD/ Fs in pork based on Korean monitoring in years 2002 and 2005. Food Addit Contam A 25, 1278-82. 

  11. Kim M, Kim S, Yun SJ, Kim D-G, and Chung G-S (2007) Background levels and dietary intake of PCDD/Fs in domestic and imported meat in South Korea. Chemosphere 69, 479-84. 

  12. Korean CDC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 - Health Examination. p. 1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13. Kwon O-K, Eun H-S, Choi D-S, Hong S-M, Kwon H-Y, and Choi J-H. (2006) Comparative study of PCDDs/DFs concentration in crop and its cultural environment. Korean J Pestic Sci 10, 91-8. 

  14. MIFAFF (2010) 2010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s book (Report No. 11-1541000-000314-10), p. 279, Min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Gwacheon, Korea. 

  15. Moon HB, Kannan K, Choi HG, An YR, Choi SG, Park JY et al. (2010) Concentrations and accumulation features of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in cetaceans from Korean coastal waters. Chemosphere 79, 733-9. 

  16. Oh KS, Suh J, Paek OJ, Kim M, and Lee K-H (2010) Exposure assessment of dioxins through foods, Anal Sci Tech 23, 595-606. 

  17. Park YJ, Kim HR, Lee MJ, Lee W-O, Lee JS, Chung KH et al. (2010) Early life stage toxicity for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Environ Health Toxicol 25, 241-51. 

  18. Parzefall W (2002) Risk assessment of dioxin contamination in human food. Food Chem Toxicol 40, 1185-9. 

  19. Safe SH (1986) Comparative toxicology and mechanism of ac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enzofurans. Annu Rev Pharmacol Toxicol 26, 371-99. 

  20. Shin SK, Jin GZ, Kim WI, Kim BH, Hwang SM, Hong JP et al. (2011) Nationwide monitoring of atmospheric PCDD/Fs and dioxin-like PCBs in South Korea. Chemosphere 83, 1339-44. 

  21. Statistics Korea (2011) 2010 Crop production statistics (Report No. 11- 1240000-000512-10), p. 102, Daejeon, Statistics Korea. 

  22. Sutter TR and Greenlee WF (1992) Classification of members of the Ah gene battery. Chemosphere 25, 223-6. 

  23. Uegaki R, Seike N, and Otani T (2006)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rice plants: Possible contaminated pathways. Chemosphere 65, 1537-43. 

  24. van den Berg M, Birnbaum LS, Denison M, De Vito M, Farland W, Feeley M et al. (2006) The 2005 World Health Organization reevaluation of human and mammalian toxic equivalency factors for dioxins and dioxin-like compounds. Toxicol Sci 93, 223-41. 

  25. Zhang J, Jiang Y, Zhou J, Fang D, Jiang J, Liu G et al. (2008) Concentrations of PCDD/PCDFs and PCBs in retail foods and an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for local population of Shenzhen in China. Environ Int 34, 799-8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