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지에서 LED 트랩을 이용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성충의 유인효과
Attraction Effects of LED Trap to Spodoptera exigua Adults in the Greenhouse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5 no.4, 2012년, pp.273 - 275  

김민기 (Department of Bioenvironmental Chemistry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회선 (Department of Bioenvironmental Chemistry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파밤나방에 대한 LED 트랩의 유인활성을 no light 트랩과 상업적 대조구인 black-light 트랩과 비교하였다. 7일 후, 흰색 LED 트랩($83.0{\pm}0.7$)은 black-light 트랩($34.0{\pm}2.6$)보다 약 2.4배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no light 트랩에서는 낮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흰색 LED 트랩이 친환경적 해충방제법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ttraction effects of light emitting diode (LED) trap to Spodoptera exigua adults were evaluated in greenhouse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 light trap and black-light trap, which is typical used in commercial trap. 7 days later, white LED trap ($83.0{\pm}0.7$) was 2.4 times more at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LED에 대한 파밤나방의 행동반응 실내 실험결과 파밤나방은 광에 대해 주광성 행동반응을 나타냈으며, 기존광원보다 우수한 유인활성을 나타내었다(Oh 등,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제작된 LED 트랩의 시설재배지내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설재배지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밤나방이란 무엇인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은 기주 범위가 광범위 하여 파 이외에 감자, 고추, 담배, 대두, 딸기, 목화, 사탕수수, 양파, 옥수수, 토마토, 콩 등 거의 모든 작물을 가해하는 광폭식성 해충으로 많은 경제적 피해를 주는 밤나방과(Noctuidae) 농업해충으로 알려져 있다(Bhonwong 등, 2009). 국내의 경우 1년중 4-5회 발생하고, 남부지방의 경우 6월 초에서 11월 말까지 발생하여 9월 중순경이 발생 최성기로, 2000년 이후로 시설재배지가 늘어남에 따라 온실하우스에서는 시기와 지역을 불문하고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가 연중 발생하고 있다(Kang 등, 2008).
비화학적 방제기술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화학농약의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비화학적 방제기술에 대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어왔다. Jin 등은 기존 살충제와 Bacillus thuringiensis (BT)제를 교호 처리하여 단일처리보다 10%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Jin et al., 2009), 이 외에도 파밤나방에 특이적 바이러스 병을 유발하는 핵다각체바이러스(nucleopolyhedrosis virus)를 이용한 방제(Kim과 Kim 2011), 선충을 통한 방제(Han 등, 1999), 합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방제(Bae 등, 2007) 및 스트레스 음파를 이용한 물리적 해충방제(Park 등, 2011)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효과가 미비하거나 경제적 이유로 인해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국내 파밤나방의 발생 현황은 어떠한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은 기주 범위가 광범위 하여 파 이외에 감자, 고추, 담배, 대두, 딸기, 목화, 사탕수수, 양파, 옥수수, 토마토, 콩 등 거의 모든 작물을 가해하는 광폭식성 해충으로 많은 경제적 피해를 주는 밤나방과(Noctuidae) 농업해충으로 알려져 있다(Bhonwong 등, 2009). 국내의 경우 1년중 4-5회 발생하고, 남부지방의 경우 6월 초에서 11월 말까지 발생하여 9월 중순경이 발생 최성기로, 2000년 이후로 시설재배지가 늘어남에 따라 온실하우스에서는 시기와 지역을 불문하고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가 연중 발생하고 있다(Kang 등, 2008). 이렇게 경제적 피해가 심한 파밤나방 방제를 위하여 많은 화학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파밤나방은 선천적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해충으로 부화 유충이 집단으로 작물의 줄기 속에 들어가 가해하므로 약제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져 방제가 어려운 난방제 해충이다(Kim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SD, Kim HJ, Lee GH, and Park ST (2007) Seasonal occurrence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different locations and regions in yeongnam district. Korean J Appl Entomol 46, 27-35. 

  2. Bhonwong A, Stout MJ, Attajarusit J, and Tantasawat P (2009) Defensive role of tomato polyphenol oxidases against cotton bollworn (Helicoverpa aramiger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J Chem Ecol 35, 28-38. 

  3. Han SC, Lee SS, and Kim YG (1999) Pathogenicity and multiplic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podoptera litura (Fabricius) Korean J Appl Entomol 38, 255-60. 

  4. Jeon JH, Oh MS, Cho KS, and Lee HS (2012) Phototactic response of the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Linnaeus (Coleoptera: Curculionidae), to lightemitting diod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 35-9. 

  5. Jin DY, Paek SK, Kim JS, Choi SY, Park C, Kim TH et al. (2009)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gua (Noctuidae: Lepidoptera) to reduce insecticides use. Korean J Appl Entomol 48, 253-61. 

  6. Junji H, Makoto A, Tomoki N, Toshio M, Tetsuo Y, and Hiroki I (2002) Studies on the control of insect pests using illuminators made from ultrahigh luminance light-emitting diodes. Characteristics of insect eloctroretinagrama (ERG) with respect to wavelength and frequency of pulsed light stimuli. J Jpn Soc Agric Mach 64, 76-82. 

  7. Kang EJ, Kang MG, Seo MJ, Park SN, Kim CU, Yu YM et al. (2008) Toxicologica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against welsh onion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Korean J Appl Entomol 47, 155-62. 

  8. Kim JH and Kim YG (2011) Three metabolites from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inhibit larval development of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by inhibiting a digestive enzyme, phospholipase $A_{2}$ . Insect Sci 18, 282-88. 

  9. Kim SG, Kim DI, Ko SJ, Kang BR, Kim HJ, and Choi KJ (2009) Determination of Economic injury levels and control thresholds for Spodoptera exigua on Chinese cabage. Korean J Appl Entomol 48, 81-6. 

  10. Kim YM, Lee CH, Kim HG, and Lee HS (2004) Antraquinones isolated from Cassia tora (Leguminosae) seed show an antifungal property against phytophthogenic fungi. J Agric Food Chem 52, 6696-9100. 

  11. Langevelde FV, Ettema JA, Donners M, Wallisdevries MF, and Froenendijk D (2011) Effect of spectral composition of artificial light on the attraction of moths. Biological Conservation 144, 2274-81. 

  12. Oh MS, Lee CH, Lee SG, and Lee HS (2011) Evaluation of 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s (HPLEDs) and potential attractant for adult Spodoptera exigua (Hubner) (Lepidoptera: Noctuidae). J Korean Soc Appl Biol 54, 416-22. 

  13. Park JA, Seok J, Parasad SV, and Kim Y (2011) Sound stress alters physiological processes in digestion and immunity and enhances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Korean J Appl Entomol 50, 39-46. 

  14. Tamulaitis G, Duchovskis P, Bliznika Z, Breive K, Ulinskaite R, Brazaityte A et al. (2005) High-power light-emmitting diode based facility for plant cultivation. J Phys D: Appl Phys 38, 3182-7. 

  15. Yang YC, Lee SG, Lee HK, Kim MK, Lee SH, and Lee HS (2002) A piperidine amide extracted from Piper longum L. fruit show activity against Aedes aegypti mosquito larvae. J Agric Food Chem 50, 3765-7. 

  16. Yeh N and Chung JP (2009) High-brightness LEDs-energy efficient lighting sources and their potential in indoor cultivation. Renew Sust Energy Rev 13, 217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