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추 첨가 청국장의 제조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Chinese Cabb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5, 2012년, pp.659 - 664  

김진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배추 부산물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국장의 제조시 배추를 첨가하여 배추 혼합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배추 첨가량을 달리하여 10%(A10), 20%(A20) 혼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배추 첨가 청국장의 pH는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배추 첨가량에 따라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청국장의 발효 후 총균수는 8.65~9.11 log CFU/mL이었으며, 유산균수는 A10, A20이 각각 5.62 log CFU/mL와 5.87 log CFU/mL이었으며, 대조구는 발효 전 기간 동안 유산균이 검출 되지 않았다. 배추 혼합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량과 점질물량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후 모든 군이 증가하였으며, A10의 증가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발효 후 A10이 대조구와 A20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A10이 맛, 색상,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Chinese cabbage, which is produced as a by-product in the kimchi industry, were investigated. Cheonggukjang was prepared with cooked soybean without Chinese cabbage (control), with 10% Chinese cabbage (A10), and with 20% Chinese cab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환경오염을 고려한다면 이렇게 폐기되는 배추의 이용은 중요하다(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의 활용방안으로 배추가 가지는 식품학적 특성을 청국장에 부가하면 청국장의 기능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배추를 첨가한 청국장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배추 첨가량에 따른 청국장의 발효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에 대한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지금까지 알려진 청국장의 효능으로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2), 고혈압예방(3), 항암(4), 항산화(5), 혈전용해(6), 골다공증 예방(7), 간 기능 개선(8) 등이다. 하지만 식생활의 변화와 주거문화의 서구화로 인하여 청국장의 소비는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 특히 발효 또는 조리과정 중에 발생되는 특유한 이취는 청국장에 대한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9). 청국장의 기호성과 품질 개선을 위해 약용식물이나 천연소재를 첨가한 생약초 청국장(10), 홍삼 청국장 (11), 녹차 청국장(12), 키토산 청국장(13) 등이 보고되고 있다.
배추는 민간과 한방에서 어떤 효능을 갖는 것으로 전해지는가? 배추는 섬유소, 비타민 C 및 칼슘이 비교적 풍부하며(15),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C, 섬유질 등의 영양성분 뿐만 아니라 독특한 생리활성 물질인 glucosinolates가 함유되어 있다(16). 또한, 민간과 한방에서 화상 및 감기의 치료, 갈증해소, 소화촉진 등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17), 배추를 비롯한 십자화과 채소에 존재하는 indole-3-carbinol, sulforaphane, phenyl isothiocyanate와 같은 glucosinolates의 분해물질들에 대한 암예방 효능도 보고되고 있다(18-20).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환경오염을 고려한다면 이렇게 폐기되는 배추의 이용은 중요하다(21).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전통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의 효능은? 우리나라 전통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은 콩 유래의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질 등의 영양성분 이외에도 식이섬유, 인지질, 이소플라본(isoflavone), 페놀릭산, 사포닌, 트립신 저해제, 피틴산 등을 포함하고, 비타민, 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등의 필수 영양소 및 약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1). 지금까지 알려진 청국장의 효능으로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2), 고혈압예방(3), 항암(4), 항산화(5), 혈전용해(6), 골다공증 예방(7), 간 기능 개선(8) 등이다. 하지만 식생활의 변화와 주거문화의 서구화로 인하여 청국장의 소비는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 특히 발효 또는 조리과정 중에 발생되는 특유한 이취는 청국장에 대한 소비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KJ, Ryu MK, Kim SS (1982)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with rice straw.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1-308 

  2. Yoo JY (1997) Present status of industries and research activities of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13-30 

  3. Song JER, You HJ, Hwang JS, Lee DS, Kim HB (2004) Isolation of angiotensin Ι-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from chungkookjang. Korean J Microbiol, 40, 355-358 

  4. Min HK, Kim HJ, Chang HC (2008) Growth-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f porphyran-chungkookjang on cancer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26-833 

  5. Park MK (2011) Effect of enzymatic hydrolysis by proteas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chungku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27-333 

  6. Yoo CK, Seo WS, Lee CS, Kang SM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exerted by Bacillus subtilis K-54 isolated from chungkookjang.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506-514 

  7.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ungkukjang. Food Indus Nutr, 4, 40-46 

  8. Lee EH, Chyun JH (2009) Effect of chongkukjang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alcoholic fatty liver rats. J Korean Soc Sci Nutr, 38, 1506-1515 

  9. Ju KE, Oh NS (2009) Effect of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u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99-404 

  10. Park JS, Cho SH, Na HS (2010) Properties of cheongkukjang prepared with admixed medicinal herb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7, 343-350 

  11. Park NY, Seong JH, Choi MS, Moon KD, Kwon JH, Jeong YJ (2008) Comparis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Cheonggukjang by using red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61-266 

  12. Kim JH, Kim SI, Kim JG, Im DK, Park JG, Lee JW, Byun MW (2006) Effect of tea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rt, 35, 482-486 

  13. Jung YK, Lee YK, No HK, Kim SD (2006) Effect of chitosa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76-481 

  14. Choi TD (1994) Market structure and development plan of kimchi industry. Science of kimchi.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 400 

  15. Hyun YH, Koo BS, Song JE, Kim DS (2004) Food materials. Hyungseul Publish, Daegu, p 81-84 

  16. Shim YH, Ahn GJ, Yoo CH (2003) Character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 in relation to salt content,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10-215 

  17. Seong JH, Park SG, Park EM, Kim HS, Kim DS, Chung HS (2006)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organic korean cabbages. Korean J Food Preserv, 13, 665-660 

  18. Hwang ES, Lee HJ (2006) Phenylethyl isothiocyanate and its N-acetylcysteine conjugate suppress the metastasis of SK-Hep1 human hepatoma cells. J Nutr Biochem, 17, 837-846 

  19. Clarke JD, Dashwood RH, Ho E (2008) Multi-targeted prevention of cancer by sulforaphane. Cancer Lett, 269, 291-304 

  20. Hayes JD, Kelleher MO, Eggleston IM (2008) The cancer chemopreventive actions of phytochemicals derived from glucosinolates. Eur J Nutr, 47, 73-88 

  21. Chun YK, Yoon SK, Kim WJ (1997) Improvement of kimchi juice fermentation by combined method for chinese cabbage waste utiliz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94-799 

  22. Baek LM, Park LY, Park KS, Lee SH (2008) Effect of starter cultures on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00-405 

  23.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2009) Food code. Moonyongsa Co, Seoul, Korea, p 319-320 

  24. Lee Y, Kim SH, Jung NH, L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gkookjang ferment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5, 202-209 

  25.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Ann YG (2011) Changes in compon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ookjang. Korean J Food & Nutr, 24, 124-131 

  28.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29.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01-210 

  30. Park HY, Cho EJ (2008)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ol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1-404 

  31. Choe JS, Yoo SM, Kim HI, Kim JS, Chang CM (1999) Volatile compounds of Chungkukjang prepa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soybean cultivar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11-115 

  32. Gramaza A, Khokhar S, Yoko S, Swiglo AG., Hes M, Korczak 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tea extracts in lipids and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Eur J Lipid Sci Technol, 108, 351-362 

  33. Lin CH, Wei YT, Chou CC (2006) Enhanced antioxidative activity of soybean koji prepared with various filamentous fungi. Food Microbiol, 23, 628-633 

  34. Esaki H, Onozaki H, Osawa 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In Food 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I: Fruits and Vegetables. Huang MT, e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 353-360 

  35.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36. Cheigh HS, Lee YO, Choi YS (199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kimchi and materials for kimchi. Food Industry Nutr, 3, 47-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