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소플라본 genistein이 전지방세포 성장 및 지방세포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istein on Cell Proliferation and Adipogenesis in Mouse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1 = no.141, 2012년, pp.49 - 54  

임승현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효림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민정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김종식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소플라본 genistein이 마우스 전지방 3T3-L1세포주의 성장과 지방세포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마우스 전지방 3T3-L1 세포주의 성장이 처리한 genistein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Oil Red O 염색에 의하여 50 ${\mu}M$ genistein 처리에 의해 지방세포형성과정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genistein에 의한 지방세포성장 억제효과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oligo DNA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 중 항비만, 항염증 활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sirtuin-1 유전자를 선택하여 발현변화를 확인하였다. 처리한 네종류의 파이토케미칼(resveratrol, capsaicin, daidzein, genistein)에 의해 sirtuin-1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이 중 genistein에 의한 sirtuin-1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높았다. 또한, sirtuin-1-siRNA에 의한 sirtuin-1 유전자의 발현 감소에 의해 지방세포형성 억제과정이 복구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genistein에 의한 전지방세포의 성장 저해와 지방세포형성의 저해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genistein on cell proliferation and adipogenesis were examined in mouse 3T3-L1 preadipocyte cells. Genistein decreased viability of 3T3-L1 pre-adipocytes in a dose-dependent manner. Oil Red O staining of these cells also indicated that adipogenesis was inhibited by 50 ${\mu}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enistein에 의한 마우스 전지방 3T3-L1세포주의 성장과 지방세포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genistein에 의한 세포생존 및 지방세포형성의 억제기전을 유전자 발현변화를 통해 이해하고자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 또한, genistein에 의한 세포생존 및 지방세포형성의 억제기전을 유전자 발현변화를 통해 이해하고자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sirtuin-1 유전자의 발현과 genistein에 의한 adipogenesis과정 저해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genistein의 항 비만 활성의 새로운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enistein이란 무엇인가? Genistein은 대두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중 하나로서 식물계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diphenol 화합물로서, 콩 속에 약 0.1~0.
식물유래의 파이토케미칼은 어떤 생리활성을 갖는가? 또한,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칼에 의한 지방세포 세포주기 조절에 관한 논문이 보고된 바 있다[16]. 이러한 파이토케미칼은 보통 과일이나 야채에 포함되어있는 비 영양성분들로 항 비만 활성뿐만 아니라, 항 염증, 항 산화, 항암 등의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11,18].
genistein이 식물성 estrogen으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3% 정도의 양이 함유되어 있다[2]. 또한, genistein은 estrogen과 유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estrogen receptor-β에 높은 친화도를 가지고 있으며, 여성호르몬 유사 작용이 있어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 이라고도 불린다[3]. 또한, genistein은 마우스3T3-L1 전지방 세포에서 지방세포의 증식과 지질축적을 억제하며 지방세포의 지방분해를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lander, G. and L. Guarente. 2004. The Sir2 family of protein deacetylases. Annu. Rev. Biochem. 73, 417-435. 

  2. Choi, J. S., T. W. Kwon, and J. S. Kim. 1996.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Food Biotechnol. 5, 167-169. 

  3. Duncan, A. M., W. R. Phipps, and M. S. Kurzer. 2003. Phyto-oestrogens.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17, 253-271. 

  4. Eberhardt, M. V., K. Kobira, A. S. Keck, J. A. Juvik, and E. H. Jeffery. 2005. Correlation analyses of phytochemical composition, chemical, and cellular measures of antioxidant activity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J. Agric. Food Chem. 53, 7421-7431. 

  5. Harmon, A. W. and J. B. Harp. 2001. Differential effects of flavonoids on 3T3-L1 adipogenesis and lipolysis. Am. J.Physiol. Cell Physiol. 280, C807-813. 

  6. Harmon, A. W., Y. M. Patel, and J. B. Harp. 2002. Genistein inhibits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beta) activity and 3T3-L1 adipogenesis by increasing C/EBP homologous protein expression. Biochem. J. 367, 203-208. 

  7. Hwang, J. T., I. J. Park, J. I. Shin, Y. K. Lee, S. K. Lee, H. W. Baik, J. Ha, and O. J. Park. 2005. Genistein, EGCG, and capsaicin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via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8, 694-699. 

  8. Jang, M. J., H. E. Kim, S. M. Son, M. J. Kim, E. W. Seo, Y. H. Kim, and J. S. Kim. 2009 Overexpression of NSAID Activated Gene-1 by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J. Life Sci. 19, 1787-1793. 

  9. Kang, J. H., C. S. Kim, I. S. Han, T. Kawada, and R. Yu. 2007. Capsaicin, a spicy component of hot peppers, modulates adipokine gene expression and protein release from obese-mouse adipose tissues and isolated adipocytes, and suppresses the inflammatory responses of adipose tissue macrophages. FEBS Lett. 581, 4389-4396. 

  10. Kang, M. S., S. Hirai, T. Goto, K. Kuroyanagi, J. Y. Lee, T. Uemura, Y. Ezaki, N. Takahashi, and T. Kawada. 2008. Dehydroabietic acid, a phytochemical, acts as ligand for PPARs in macrophages and adipocytes to regulate inflamm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369, 333-338. 

  11. Khor, T. O., S. Yu, and A. N. Kong. 2008. Dietary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 targeting inflammation and Nrf2 signaling pathway. Planta Med. 74, 1540-1547. 

  12. Livak, K. J. and T. D. Schmittgen. 2001. Analysis of relative gene expression data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CR and the 2(-Delta Delta C(T)) Method. Methods 25, 402-408. 

  13. Mercader, J., A. Palou, and M. L. Bonet. 2011. Resveratrol enhances fatty acid oxidation capacity and reduces resistin and Retinol-Binding Protein 4 expression in white adipocytes. J. Nutr. Biochem. 22, 828-834. 

  14. Picard, F., M. Kurtev, N. Chung, A. Topark-Ngarm, T. Senawong, R. Machado De Oliveira, M. Leid, M. W. McBurney, and L. Guarente. 2004. Sirt1 promotes fat mobilization in white adipocytes by repressing PPAR-gamma. Nature 429, 771-776. 

  15. Pi-Sunyer, X. 2009. The medical risks of obesity. Postgrad. Med. 121, 21-33. 

  16. Rayalam, S., M. A. Della-Fera, and C. A. Baile. 2008.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J. Nutr. Biochem. 19, 717-726. 

  17. Schug, T. T. and X. Li. 2011. Sirtuin 1 in lipid metabolism and obesity. Ann. Med. 43, 198-211. 

  18. Surh, Y. J. 2003. Cancer chemoprevention with dietary phytochemicals. Nat. Rev. Cancer 3, 768-780. 

  19. Zhang, M., K. Ikeda, J. W. Xu, Y. Yamori, X. M. Gao, and B. L. Zhang. 2009. Genistein suppresses adipogenesis of 3T3-L1 cells via multiple signal pathways. Phytother. Res. 23, 713-71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