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과 단백식이가 흰쥐의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a Protein Diet on Serum Lipid Profiles, Liver Function, and Immunoglobulin in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1 = no.141, 2012년, pp.92 - 97  

성기동 (부산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손원목 (부산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백영호 (부산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4주간의 유산소운동과 단백질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총 24마리를 대상으로 4주간 20-30분씩 14~17 m/min의 속도로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운동단백식이군(A, n=6), 단백식이군(B, n=6), 운동군(C, n=6), 대조군(D, n=6)으로 분류하였고, 유산소 운동 4주후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측청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산소 운동과 단백질식이를 실시 후 총콜레스테롤(TC)는 운동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TG)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는 운동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는 운동단백식이군과 운동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간기능에서는 운동단백식이군과 단백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GPT는 차이가 없었다. 면역글로불린 IgG는 운동단백식이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나, IgA, IgM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과 단백섭취는 혈중지질 개선과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 Ig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항체 형성 인자에 영향을 주어 인체의 면역항체 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a protein diet on serum lipid profiles, liver function, and immunoglobulin levels in rats. The subjects, 24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grouped into an exercise with protein diet group (A, n=6), a protein diet group (B,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대상으로 고단백 식이와 운동이 혈중지질, 간기능 및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할 필요성이 있어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의 몸에 단백질이란? 단백질은 인체의 다양한 조직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근육내 효소 및 혈액의 세포성분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이고, 인체에 매우 중요한 필수영양소로서 다양한 생리적인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며 운동 중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4]. 또한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작용에 의해 유리아미노산(free amino acid)과 디펩타이드(dipeptide)로 분해되는데 간으로 이동된 아미노산은 혈장 단백질 및 간세포대사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며, 알부민(albumin)이나 글로불린(globulin)같은 혈장 단백질은 혈액으로 이동되어 각각의 세포에서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한다[15].
규칙적인 운동이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운동은 인류 건강을 위한 가장 중요한 방법들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으며, 운동을 하는 동안 심장의 관상동맥혈류가 증가되어 심근세포로의 산소 및 영양물질의 충분한 공급과 대사산물의 신속한 제거가 이루어진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 심혈관 질환,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감소시켜주고 골다공증, 비만, 노화를 예방해주며 감기와 같은 감염성질환에 대한 인체 저항 능력을 높여 준다[4,32].
동물실험에서 지속적인 중강도의 운동을 실시했을 때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도는 어떻게 되는가? 그러나 과다한 운동량, 고강도의 운동 등은 면역기능을 떨어뜨리는데[26,31],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적정 강도의 지속적인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자연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면역기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21]. 그러나 10주간 중강도의 운동을 실시한 동물실험에서는 자연살 세포의 활성도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 Y. G. 2005. Training Regimens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nd Muscle Strength. Ph.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Korea. 

  2. Andersen, R. E., T. A. Wadden, S. T. Bartlett, R. A. Vogt, and R. S. Weinstock. 1995. Realations or weight loss to changes i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 in obese women. Am. J. Clin. Nutr. 62, 350-357. 

  3. Aronson, D., P. Bartha, O. Zinder, A. Kerner, W. Markiexicz, O. Avizohar, G. J. Brook, and Y. Levy. 2004. Obesity is the major determinant of elevated C-reactive protein in subjects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t. J. Obes. Relat. Metab. Dis. 28, 674-679. 

  4. Bassuk, S. S. and J. E. Manson. 2005.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reducing risk of type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App. Physiol. 99, 1193-1204. 

  5. Bedford, T. G., C. M. Tipton, N. C. Wilson, R. A. Oppliger, and C. V. Glsolfi. 1979. Maximum oxygen consumption of rats and its changes with various experimental procedures. J. Appl. Physiol. 47, 1278-1283. 

  6. Blank, S. E., J. O. Johansson, M. M. Origines, and G. G. Meadows. 1992. Modulation of NK cell activity by moderate intensity endurance training and chronic ethanol consumption. J. Appl. Physiol. 72, 8-14 

  7. Booth, F. W., S. E. Gordon, C. J. Carson, and M. T. Hamilton. 2000. Waging war on mogen chronic disease: primary prevention through exercise biology. J. Appl. Physiol, 88, 774-787. 

  8. Choi, S. L. 2002. Effect of long-term bicycle exercise on blood lipids and serum enzyme in obese student. M. 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iu, Korea. 

  9. Colberg, S. R., J. M. Hagberg, S. D. McCole, J. M. Zmuda,P. D. Thompson, and D. E. Kelley. 1998. Utilization of glycogen but not plasma glucose is reduced individuals with NIDDM during mild-intensity exercise. J. Appl. Physiol. 81. 2027-2033. 

  10. Goldberg, L., D. L. Elliot., R. W. Schultz, and F. E. Kloster. 1984. Change in lipids and lipoprotein levels after weight training. J. Am. Med. Assoc. 252, 504-506. 

  11. Jung, Y, J., E. J. Lee, S. U. Kwak. 1998. Basic immunology. Kyungsung university Publisher. 

  12. Katzmarzyk, P. T., A. S. Leon, T. Rankinen, J. Gagnon, J. S. Skinner, J. H. Wilmore, D. C. Rao, and C. Bouchard. 2001. Change in blood lipids consequent to aerobic exercise training related to changes in body fatness and aerobic fitness. Metabolism 50, 841-848. 

  13. Kim, B. R. and J. P. Park. 2003. The effect of bare feet walk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s of obese female-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Korean J. Phy. Edu. 12, 517-528. 

  14. Kim, C. G. 2001. The Change of Oxidative Damage's Factors, Antioxidant Enzymes & Related Variables for the Period of Vitamin Mixture Supplement at Specific Exercise Intensities.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H. S., C. H. Yu, M. H. Kang, S. H. Kim, G. J. Kim, J. M. Lee, and H. O. Lee. 2001. Nutrition. Seoul, Shin Kwang Publisher. 

  16. Kim, Y. S. and C. C. Park. 2005.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muscle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of menoposal obese women. J. Korea Environ. Sci. 12, 345-351. 

  17. Ko, Y. S. 1999. The effect of protein supplement in body composition, muscular strength and proximal. M. 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Korea. 

  18. Lee, C. S., S. H. Lee, G. D. Sung, and Y. H. Baek. 2010. The effect of 4 weeks of treadmill exercise and protein diet on immunoglobulin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J. Life Sci. 20, 1483-1489. 

  19. Lee, S. J. 2010. (For successful aging) Senior Exercise and Nutrition. Glnurim publish. 

  20. Lee, S. H. and Y. H. Beak. 2010.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J. Life Sci. 20, 245-252. 

  21. MacNeil, B. and L. Hoffman-Goetz. 1993. Chronic exercise enhances in vivo and in vitro cytotoxic mechanisms of natural Immunity in mice. J. Appl. Physiol. 74, 388-395. 

  22. Moon, P. M. and P. J. Lee. 2003. The long term effect of buchu (chinese chives) diet on ROS formation in the liver and skin tissue of ICR mice. J. Korean Society Food Sci. Nutr. 32, 444-449. 

  23. Nakanish, N., K. Suzuki, and K. Tatara. 2003.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white blood cell count: a style of Japanese male office workers. Occup. Med. (Lonnd), 53, 135-137. 

  24. Ndon, J. A., A. C. Synder, C. Foster, and W. B. Wehreberg.1992. Effects of chronic intense exercise on the leckocyte response to acute exercise. Int. J. Sports Med. 29, 289-296. 

  25. Nehlsen-Cannarelia, S. L., D. C. Nieman, J. Jessen, L. Chang, G. Gusewitch, G. Gusewitch, and G. Blix. 1991. The effect of acute moderate exercise on lymphhocyte function & serum immunoglobulin levels. Int. J. Sports Med. 11, 467-473. 

  26. Nieman, D. C. 1998. Exercise and resistance to infection. Can. J. physiol. Pharmacol. 76, 573-580. 

  27. Oh, Y. S., K. S. Lee, H. S. Han, C. H. Yang, D. S. Yang, J. Y. Cho, and M. H. Kim. 1999. Effect of Aerobic Training on Blood Cells and Immune Function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Sports Med. 40, 348-355. 

  28. Ortega, E., C. Barriga, and M. De. La. Fuente. 1993. Study of the phagocytic process in neutrophils from elite sportswomen. Eur. J. Appl. Physiol. 66, 37-42. 

  29. Oscai, L. B., K. Gorski, W. C. Miller, and W. K. Plamer. 1988. Role of the alkaline TG lipase in regulating intramuslar TG content. Med. Assoc. J. 5, 637-40. 

  30. Park, J. Y., M. J. Kim, Y. K. Kim, Y. S. Jin, and H. J. Lee. 1999. The effect of exercise pattern and antioxidant supplement on antioxidant enzymes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Korean J. Phy. Edu. 38, 451-460 

  31. Perdesen, B. K., T. Rohde, and M. Zacho. 1996. Immunity in athletes. J. Sports Med. Phys. Fitness 36, 236-245. 

  32. Roberts, C. K. and R. J. Barnard. 2005. Effects of Exercise and diet in chronic disease. J. Appl. Physiol. 98, 23-30. 

  33. Ryder, S. D. and I. J. Beckingham. 2001. ABC of diseases of liver, pancreas, and biliary system: Chronic viral hepatitis. British Medical J. 322, 219-221. 

  34. Scjokman, C. P., H. Ingrid, E. Rutishauser, and R. J. Wallace. 1999. Pre and post game macronutrient intake of a group of elite Australian football players. Int. J. Sport Nutr. Exerc. Metab. 9, 60-96. 

  35. Shephard, R. J., S. Rhind, and P. N. Shek. 1994. Exercise and the Immune system. Sports Med. 18, 340-369. 

  36. Song, S. K. 2007. Effect of Dance Sports Exercise on Health-related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in Old-aged Wom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Jinju, Korea 

  37. Stone, R. M. and T. R. Harrison. 2001.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New York: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s. 

  38. Styne, D. M. 1999. Childhood obesity: Time for action, not complacency. Am. Fam. Physician 59, 758-762. 

  39. Tharp, C. D. and M. W. Barnes. 1999. Reduction of salivary immuonglobulin levels by swimming. Eur. J. Appl. Phisiol. 60, 61-64. 

  40. Yoon, J. H., T. B. Seo, N. S. Jin, J. O. Kim, W. S. ji, E. M. Lim, S. O. Choi, and H. H. Lee. 2008. A study of in vivo and in vitro on aerobic exercise on functional activation of schwann cells following sciatic nerve crush injury in rats. Korean J. Phy. Edu. 47, 451-4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