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살롱문화시대의 패션스타일에 대한 분석 - 17, 18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Fashion Style of Salon Cultural Era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Fashion - Mainly about France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1, 2012년, pp.14 - 28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인성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auty(美)' is pursued by many women. It has been expressed through fashion which has become more various as the society became wealthier. This phenomenon can also be found in the Salon Culture of the 17~18th Centuries and in the way that the free-style socialization without specific purposes bega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7세기의 살롱은 어떤 개념을 띄었는가? 살롱은 기원전 4~5세기 고대 아테네 귀족들의 스포츠문화에서 그 최초의 모습을 엿볼 수 있지만 살롱이란 단어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것은 1664년 프랑스에서였다. 17세기의 살롱은 과거 보수적인 시대 분위기 속에서 남ㆍ여 귀족과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유일한 만남의 광장을 지칭하는 공간적 개념을 띄었으며, 이것이 후일 프랑스에서 ‘살롱’의 개념으로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8) ‘대화의 광장’에서부터 시작되어 발전한 프랑스의 살롱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궁정에 있었던 ‘살로네’를 모델로 하였기 때문에 ‘이탈리아식 살롱’으로 불려졌다.
살롱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살롱’의 사전적 의미는 일반적으로 ‘서양풍의 객실이나 응접실’을 뜻하며, 복수형의 `salons'은 상류 가정의 객실에서 열리는 사교적인 집회인 ‘사교계’를 뜻한다. 또 ‘살롱’은 단어의 첫 글자가 대문자인 `Salon'으로 표기될 때는 미술전람회나 자동차 전시회 등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며, 다과점이나 미장원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살롱문화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살롱문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휘재1)의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살롱과 여성문화’는 당시 살롱의 사교문화를 비교, 고찰하였고, 김은아, 정흥숙, 김선화2)의 ‘17~18세기의 살롱문화가 패션에 미친 영향’은 살롱문화에서 복식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후 살롱문화 패션스타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이휘재 (2007),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살롱과 여성문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은하. 정흥숙, 김선화 (2002), 17-18세기 살롱(salon) 문화가 패션에 미친 영향, 복식, 52(8), p. 124. 

  3. 이희승 (1994),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p. 2514. 

  4. 서정복 (2007), 살롱문화, 서울: 살림출판사, p. 12. 

  5. 네이버 백과사전 "살롱", 자료검색일 2009. 3. 12, http://100.naver.com/100.nhn?docid85856 

  6. 서정복 (2007), 살롱문화, 서울: 살림출판사, p. 6. 

  7. 하이덴-린쉬, Europ aische salons, 김종대, 이기숙 역 (1999), 유럽의 살롱들, 서울: 믿음사, p. 14. 

  8. 서정복 (2007), 살롱문화, 서울: 살림출판사,pp. 3-12. 

  9. 오한진 (2000), 유럽에 있어 초기 살롱문화 연구, 외국문학연구학회지, 6, p. 1. 

  10. 이종완 (2000), 유럽의 살롱문화, 충남: 공주대학교 출판부, pp. 1-2. 

  11. Dena Goodman, Dena Goodmand, & Elizabeth C. (1995), Going Pubic: Women and Pubishing in Early Modern France, Ithaca: Comell Universty Press, p. 2. 

  12. 서정복 (1999), 18세기 프랑스 계몽사상의 전파-살롱은 통하여-, 서양사학연구집, 3, p. 7. 

  13. G. Teurwik, Histoire illustree dr la femme, 이재형, 도화진 역 (1995), 세계여성사 2, 서울: 문예출판사, pp. 32-33. 

  14. C. Lanson et Tuffrau (1957), Manuel Illustre d'histoire de la litterature Francaise des origine a l'epoque contemporaine, Paris: Classiques Hachette. p. 171. 

  15. G. Teurwik, Histoire illustree dr la femme, 이재형, 도화진 역 (1995), 세계여성사 2, 서울: 문예출판사 p. 170. 

  16. Process in Women's Formal Evening Dress, 1789- 1980,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9(1), pp. 50-58. 

  17. G. Teurwik, Histoire illustree dr la femme, 이재형, 도화진 역 (1995), 세계여성사 2, 서울: 문예출판사, pp. 72-85. 

  18. 정흥숙 (200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12. 

  19.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p. 182- 184. 

  20. 정흥숙 (200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11. 

  21. 정흥숙 (200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pp. 213-240. 

  22.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190. 

  23. 지정아 (1999), 18세기 로코코 시대의 복식, 헤어, 메이크업 경향에 대한 연구-프랑스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 

  24. 정경희 (2006), 현대 패션에 응용된 후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3. 

  25. 신상옥 (2006),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 210. 

  26. 정흥숙 (200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243-251. 

  27. 정흥숙 (200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251-254. 

  28. 제임스 레버, Costume & fashion : a concise history, 정인희 역 (2005), 서양패션의 역사, 서울: 시공사.시공아트, pp. 146-147. 

  29. 정흥숙 (200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47. 

  30. 김민자 (2004),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II):반 미학과 열린 패션을 중심으로, 복식, 38, p. 376. 

  31. 이봉덕 (2001), 21세기 전환기 패션의 미학적 특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