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노출량 조사를 통한 한국인의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수준
Estimation of ELF-MF Exposure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through 24-Hour Personal Exposure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8 no.1, 2012년, pp.18 - 30  

정준식 (한양대학교 보건학과) ,  김근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홍승철 (인제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  조용성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  김윤신 (한양대학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xposure level to extremely low frequency-magnetic fields (ELF-MF) among a selected Korean population using 24-hour personal exposure measure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of MF exposure under the ass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일반인들의 생활환경중 자기장 노출량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신뢰도가 높은 숫자에는 미치지 못하나 전 국민을 대표할 수 있는 일반인의 생활환경 중 자기장 노출현황 파악이라는 1차적 목적을 가지고 인구학적 분류를 통한 조사 대상자를 선정하고, 극저주파대역 자기장 개인노출량을 측정하여 노출수준을 파악하고, 일반인들의 생활 활동에 따른 자기장 노출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개인 노출량 조사를 통한 한국인의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 수준』에 관한 연구로 전자파 방출 특성에 기인하는 무작위적, 비자발적 노출 증대와 이에 수반하는 건강위해 가능성 증대에 따라 노출인구에 대한 평가 및 노출자료의 생산을 목적으로 극저주파(ELF)대역 자기장 개인노출량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선통신 및 전기ㆍ전자제품의 이용 증가에 따른 영향은? 무선통신 및 전기ㆍ전자제품의 이용 증가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방출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대중의 비선택적, 비자발적 노출기회는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화의 심화에 따른 인구밀도 증가와 협소한 토지이용에 기인하는 비자발적 노출 기회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의 경우, 높은 수준의 노출 및 노출인구의 상대적 증가가 예상된다.
전체 인구의 극저주파 대역 노출 수준 및 노출인구수 추정에서 연구 대상자 선정에 고려된 점은? 전체 인구의 극저주파 대역 노출 수준 및 노출인구수 추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가지 특성에 따른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을 설계하였다. 각 지역별 거주 인구수 및 남녀 성비, 연령, 직업, 비직업 취업자 인구수를 고려하였다. 거주 지역별 인구 및 도시형태에 따라 총 6개 그룹, 연령 3개 그룹, 남/여 성비에 따른 2개의 그룹으로 세분화하였다.
극저주파 대역의 자기장 노출이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은? 역학연구와 일부 실험실 연구를 통해 극저주파(Extremely Low Frequency: ELF) 대역의 자기장 노출이 소아의 백혈병, 뇌종양, 유방암과 같은 만성적 악성 건강영향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1-3) 2001년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4)는 거주지에서의 어린이 백혈병 역학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 mG 수준의 극저주파(ELF) 자기장을 암 분류 등급 2b(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 Group 2b) 인자로 분류하고, 직업적 노출뿐만이 아니라 일반 생활환경에서의 전자파 노출이 특정 질병의 발생과 같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개연성을 경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ertheimer N, Leeper E. Possible effects of electric blankets and heated waterbeds on fetal development. Bioelectromagnetics. 1986; 7: 13-22. 

  2. Vena JE, Graham S, Hellmann R, Swanson M, Brasure J. Use of electric blankets and risk of postmenopausal breast cnacer. Am J Epidemiol. 1991; 134: 180-185. 

  3. Lovely RH, Buschbom RL, Slavich AL, Anderson LE, Hansen NH, Wilson BW. A preliminary study. Am. J. Epideliol. 1994; 140: 510-517. 

  4. IARC Work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Non-ionizing radiation, Part 1: Static and extremely low-frequency (ELF)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Lyon, IARC, 2002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80). 

  5. WHO. Extremely low frequency fields.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Geneva). 2007; 238. 

  6. Kim YS, Kim SY, Park JY, Choi WU. Measurement and personal exposure assessment of extremely low frequency (ELF) electromagnetic fields (EMF). Kor J Environ Health. 1997; 23(1): 55-61. 

  7. Cho YS, Kim YS, Lee JT, Hong SC, Jang SK.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melatonin levels and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for the selected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and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Kor J Environ Health. 2004; 30(3): 191-206. 

  8. Hong SC, Jung JS, Kim KY, Park HJ, Choi SH. Evaluation of the magnetic field exposure level in 60 Hz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nearby residential area. Kor J Environ Health. 2008; 34(1): 27-33. 

  9. NIESH. EMF RAPID Program.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2. 

  10. John FBB, Pruppers MJM, Kamer J, Zande G, Schipper CMA, Fleurke SR, Kluwer T, Kamp I, Kromhout J. ISEE-ISEA (Conference proceedings). 2008. 

  11. Joseph DB, Jennifer AT, Michael GY. A populationbased job exposure matrix for power-frequency magnetic fields. J Occup Environ Hyg. 2007; 4: 715-728. 

  12. Kim YS, Hyun YJ, Choi SH, Lee CM, Roh YM, Cho YS, Hong SC. Exposure assessment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by variable exposure matrices for the selected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and away from a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6; 16(4): 334-345. 

  13. Hong KH. The functional changes of Korean Cities (1960-1978) a classification. J Korean Geomorphlogical Association. 1982; 17(2): 1-14. 

  14.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05. http://www.kosis.kr 

  15.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2000. http://laborstat.molab.go.kr 

  16.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wwwn.cdc.gov/epiinfo 

  17. Zaffanella LE. Survey of residential magnetic field sources EPRI TR-102759-V1 (Project 3335-02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Palo Alto, CA). 1993. 

  18. Zaffanella LE, Kalton GW. Survey of personal magnetic field exposure (Phase II: 1000-person survey interim report EMF RAPID Program Engineering Project #6 Enertech Consultants: Lee, MA). 1998. 

  19. Levallois P, Gauvin D, Gingras S, St-Laurent J. Comparison between personal exposure to 60 Hz magnetic fields and stationary home measurements for people living near and away from a 735 kV power line. Bioelectromagnetics. 1999; 20: 331-337. 

  20. Swanson J, Kaune WT. Comparion of residential power frequency magnetic fields awey from appliances in different counties. Bioelectromagnetics. 1999; 20: 244-254. 

  21. Schz J, Grigat JP, Stmer B, Rippin G, Brinkmann K, Michaelis J.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in residences in Germany. Distribution of measurements,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assessing exposure, and predictors for the occurrence of magnetic fields above background level. Radiat Environ Biophys. 2000; 39: 233-240. 

  22. Foliart DE, Iriye RN, Silva M, Mezel G, Tarr KJ, Ebi KL. Correlation of year-to-year magnetic field exposure metrics among child in a lukemia survival study. J Expos Anal Environ Epidemiol. 2002; 12: 441-447. 

  23. Yang KH, Ju MN, Myung SH. Survey on the Distributions or Magnetic Field Exposure in the Living Environments of Sample Koreans. 6th Workshop on Health Effects of EMF and Bioelectromagnetic Environment. 2002. 

  24. Minder CE, Pfluger DH. Leukemia Brain Tumors, and Exposure to extremel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in swiss railway employees. Am J Epidemiol. 2000; 153(9): 825-835. 

  25. Jolanta K. Residential and occupational exposures to 50-Hz Magnetic Fields and Breast Cancer in women. Am J Epidemiol. 2003; 159(9): 852-861. 

  26. David AS, Duanping L, Antonio S, Robert CK, Robert K. Magnetic field expo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among electric utility workers. Am J Epidemiol. 1999; 149(2): 135-142. 

  27. Anthony BM, Teresa T, David AA, Claus W, Lois MG. Leukemia following occupational exposure to 60-Hz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among ontario electric utility workers. Am J Epidemiol. 1996; 144(2): 150-160. 

  28. Kangmin Z. Use of electric bedding devices and risk of breast cancer in African-American women. Am J Epidemiol. 2003; 158(8): 798-806. 

  29. Verkasalo PK. Magnetic fields and leukemia-risk for adults living close to power lines. Scan J Work Environ Health. 1996; 22: 1-56. 

  30. Kavet R, Silva JM, Thornton D. Magnetic fields exposure assessment of adult residents of Maine who live near and far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line. Bioelectromagnetics. 1992; 13: 35-55. 

  31. Clinard F, Milan C, Harb M, Carli PM, Bonithon- Kopp C, Moutet JP, Faivre J, Hillon P. Residential magnetic field measurements in France-Comparison of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 Bioelectromagnetics. 1999; 20: 319-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