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장읽기에서의 말더듬 감소율: 합독과 변조청각피드백
Stuttering Reduction Rate during Sentence Reading: Choral Speech and Altered Auditory Feedback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4, 2012년, pp.109 - 115  

박진 (서강대학교) ,  박희영 (우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mainly aim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ly choral speech and altered auditory feedback (i.e., delayed auditory feedback, frequency-altered feedback) enhance speech fluency during sentence reading. To do this, a stuttering reduction rate was used and measured how much stuttering in frequ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AF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순한 읽기뿐 아니라 자발화까지 매우 다양한 상황에 적용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합독과 AAF 간의 말더듬 감소 정도에서 보이는 차이를 주요 논점으로 하고 있다.
  • 이러한 점을 주지하고 본 연구에서는 합독과 AAF 간의 유창성 증대 정도의 차이가 단순히 제공되는 자극의 출처, 즉 말더듬화자 자신의 목소리인가 아니면 다른 사람의 목소리인가라는 요인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을 전제로, 특히 수행과제의 용이성(easiness)이 두 상황 간 말더듬 감소 정도의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지금까지 합독과 AAF 간 유창성 증대 효과의 차이에 대한 연구에서 주로 수행된 과제는 구절읽기다(Kiefte & Armson, 2008; Saltuklaroglu et al.
  • 만약 상대적으로 수월한 과제에서 두 상황 간 말더듬 감소 정도의 차이에 변화가 발생한다면 과제의 용이성은 관측되는 말더듬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중요 변수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말더듬화자로 하여금 읽기 분량과 통사적 복잡도가 통제된 상대적으로 용이한 수준의 일련의 문장을 소리 내어 읽게 했을 때 합독과 AAF 간 말더듬 감소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높은 유창성 증대효과에도 불구하고 합독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무엇인가? 이렇게 높은 유창성 증대효과에도 불구하고 합독은 기본적으로 말더듬화자 자신의 목소리가 아닌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말더듬치료법으로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Kiefte & Armson, 2008; Saltuklaroglu et al., 2009).
말더듬이란 무엇인가? 의사소통장애 영역 중 말빠름증과 더불어 대표적 유창성장애인 말더듬은 주로 말소리, 음절, 단어 등이 비정상적으로 반복되거나 연장과 막힘과 같은 소위 “비운율적 음성”(disrhythmic phonation)으로 정상적인 말 산출 또는 흐름이 어렵게 되는 장애이다(Perkins, 1983; Van Riper, 1982; Wingate, 1988). 이러한 말더듬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Conture, 2001, Kraft & Yairi, 2012), 대부분의 학자들은 말더듬이 특정 단일요인으로 발생하기 보다는 생리적, 심리언어적, 유전적, 사회적 요인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 간의 복합적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Kraft & Yairi, 2012; Smith & Kelly, 1997).
말더듬 치료로 사용되는 발화 유창성을 유도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의 말더듬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비교적 다양하지만 주로 말더듬의 핵심행동이나 이차행동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행동수정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천천히 말하기, 부드럽게 말하기, 음절 단위로 말하기 등 주로 발화 유창성을 유도하는 방법을 연습함으로 기본적으로 “더 유창하게 말하는 법”을 학습하는 “유창성완성법”(fluency shaping therapy), 상대적으로 진전된 말더듬화자를 대상으로 말을 더듬는 순간 근육의 긴장을 풀고 서둘러 말하지 않으면서 이완된 상태에서 힘들이지 않고 “좀 더 편하게 말을 더듬게 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말더듬수정법”(stuttering modification therapy) 등이 대표적인 말더듬치료법에 속한다(이승환, 2010; Curlee & Perkins, 1984; Gregory,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m. P. A. (2004). Stuttering and basal ganglia circuits: A critical review of possible rela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7, 325-396. 

  2. Andrews, G., Howie, P. M., Dozsa, M. & Guitar, B. E. (1982). Stuttering: Speech pattern characteristics under fluencyinducing condition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5, 208-216. 

  3. Barber, V. (1939).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stuttering: XV. Chorus reading as a distraction in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Disorders, 4, 371-383. 

  4. Bloodstein, O. (1950). A rating scale study of conditions under which stuttering is reduced or absent. Journal of Speech Hearing Disorders, 15, 29-36. 

  5. Bloodstein, O. (1995). A handbook on stuttering (5th ed.). Clifton Park, NY: Thomson-Delmar. 

  6. Bloodstein, O., and Bernstein Ratner, N. (2006) A handbook of stuttering. (6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7. Brayton, E. R. & Conture, E. G. (1978). Effects of noise and rhythmic stimulation on the speech of stutter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1, 285-294. 

  8. Conover, W. J. (1980). Practical nonparametric statistics. Toronto: John Wiley and Sons. 

  9. Conture. E. G. (2001). Stuttering: Its nature, diagnosis, and treatment. Allyn and Bacon. 

  10. Curlee, R. F. & Perkins, W. H. (1984).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 San Diego: College-Hill Press. 

  11. Dunn, L. M. & Dunn, L. M. (1997).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Third Edition, Bloomington, MN: Pearson Assessments. 

  12. Freeman, K. & Armson, J. (1998). Extent and stability of stuttering reduction during choral read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22, 188-202. 

  13. Goldberg, G. (1985). Supplementary motor area structure and function: Review and hypothesis. Th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8, 567-616. 

  14. Gregory, H. H. (1997).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ole in stuttering self-help groups.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18, 401-09. 

  15. Ingham, R. J. (1984).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treatment. In R. F. Curlee & W. H. Perkins (Eds.),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pp. 447-71). San Diego: College-Hill Press. 

  16. Ingham, R. J. & Packman, A. (1979). A further evaluation of the speech of stutterers during chorus-and nonchorus reading condition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2, 784-793. 

  17. Ingham, R. J., Warner, A., Byrd, A. & Cotton, J. (2006). Speech effort measurement and stuttering: Investigating the chorus reading effor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9, 660-670. 

  18. Jastak, J. & Jastak, S. (1984). Wide Range Achievement Test-Revised. Washington, DE: Jastak Associates. 

  19. Kalinowski, J. & Saltuklaroglu, T. (2003). Choral speech: the amelioration of stuttering via imitation and the mirror neuronal system.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7, 339-347. 

  20. Kalinowski, J., and Saltuklaroglu, T., Guntupalli, V. & Stuart, A. (2004). Gestural recovery and the role of forward and reversed syllabic repetitions as stuttering inhibitors in adults. Neuroscience Letters, 363, 144-149. 

  21. Kent, R. D. (1984). Stuttering as a temporal programming disorder. In R. F. Curlee and W. H. Perkins (Eds.),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 San Diego: College-Hill Press. 

  22. Kiefte, M. & Armson, J. (2008). Dissecting choral speech: Properties of the accompanist critical to stuttering redu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1, 33-48. 

  23. Kraft, S.J. & Yairi, E. (2012). Genetic Bases of Stuttering: The State of the Art. Folia Phoniatr Logop, 64, 34-47. 

  24. Lee, S. H. (2010). Fluency Disorders. Seoul: Sigma Press. (이승환 (2010). 유창성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25. Lincoln, M. A., Parckman, A. & Onslow, M. (2006). Altered auditory feedback and the treatment of stuttering: A review.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1, 71-89. 

  26. Onslow, M., Andrews, C. & Costa, L. (1990). Parental severity scaling of early stuttered speech: Four case studies. Australian Journal of Human Communication Disorders, 18, 47-61. 

  27. Onslow, M., Packman, A. & Harrison, E. (2002). The Lidcombe program of early stuttering intervention: A clinician's guide. Austin, TX: Pro-Ed. 

  28. Park, J. & Chung, I. (2012). The Noise Effect on Stuttering and Overall Speech Rate: Multi-talker Babble Nois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2), 121-126. (박진, 정인기 (2012). 다화자잡음이 말더듬의 비율과 말속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4권 2호, 121-126.) 

  29. Perkins, W. H. (1983). The problem of definition: commentary on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48,, 246-249. 

  30. Rami, M. K., Kalinowski, J., Rastatter, M. P., Holbert, D. & Allen, M. (2005). Choral reading with filtered speech: effect on stutter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00, 421-431. 

  31. Saltuklaroglu, T., Kalinowski, J., Robbins, M., Crawcour, S. & Bowers, A. (2009). Comparisons of stuttering frequency during and after speech initiation in unaltered feedback, altered auditory feedback and choral speech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44(6), 1000-1017. 

  32. Smith, A. & Kelly, E. (1997). Stuttering: A dynamic, multifactorial model. In R. Curlee & G. Siegal (Eds.), Nature and treatment of stuttering: New directions (2nd ed.) (204-18). Boston: Allyn & Bacon. 

  33.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Wingate, M. E. (1970). Effect on stuttering of changes in audi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3, 861-8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